•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2~1975 사이에 간행된 漢文文法書의 品詞理論硏究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06.12
47P 미리보기
1922~1975 사이에 간행된 漢文文法書의 品詞理論硏究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字漢文敎育 / 17권
    · 저자명 : 김용한

    목차

    Ⅰ. 序言
    Ⅱ. 文法書의 書誌
    1.『漢文解釋』 2.『漢文大綱』
    3.『漢文敎疑書』 4.『漢文通釋』
    Ⅲ. 品詞
    1. 名詞 2. 代名詞 3. 動詞 4. 形容詞 5. 副詞
    6. 接續詞 7. 感歎詞 8. 助詞․終尾詞․終結助詞 9. 助動詞․補助詞(助動詞等)
    10. 前置詞․後置詞․介詞․前後置詞
    Ⅳ. 結語

    초록

    우리나라에서 서구의 문법이론을 기초로 한 한문문법의 연구는 1908년에 시작된 이래 1921까지 4권의 한문문법서가 간행되었다. 그러나 이후 40년간 한문문법서의 간행이 없다가 1960부터 다시 간행되기 시작하였다. 본고는 1960년부터 1975년까지 간행된 4권의 문법서에 수록된 形態論의 이론 중 品詞에 대한 연구이다. 초기간행문법서(1908-1921)에는 11가지로 品詞가 분류 되었는데 實辭(名詞, 代名詞, 動詞, 形容詞, 副詞)와 接續詞와 感歎詞등의 品詞는 名稱은 동일하였고, 槪念定義도 언어적 표현을 달랐지만 공통성이 있었다. 그러나 하위분류에는 造語的방법이 수용되어 과도기적 현상이 나타나 있고, 동일한 하위분류도 저자에 따라 각기 다른 용어를 사용하여 혼동을 초래하였다. 심지어 文의 性質上분류인 假定文, 反語文, 漸層文등을 轉詞란 품사로 설정하기도 하였다. 특히 虛辭 (助詞, 助動詞. 介詞)는 독립된 품사로 인정하지 않은 것이 특성이었다. 그 후 40년간의 공백기를 두고 60년대에 들어와 발간된 문법서들이 초기에 간행된 한문문법서에 이론을 어떻게 수용하고 발전시켰는가를 究明하는 것은 漢文 文法書硏究史에 필수적이라 본다. 이러한 검토가 있은 후에야 품사분류와 하위분류에 합리적인 기준이 제시되리라 생각된다. 본고는 ꡔ漢文解釋(1960)ꡕ, ꡔ漢文大綱(1971)ꡕ, ꡔ漢文敎疑書(1973)ꡕ, ꡔ漢文通釋(1975)ꡕ을 대상으로 품사를 검토하였다, 名詞, 代名詞, 動詞, 形容詞, 副詞, 接續詞, 感歎詞등은 品詞의 名稱이 동일하고, 槪念定義는 표현적인 차이가 다소있으나 내용은 일치하였다, 품사의 下位分類도 초기문법서와는 달리 용어나 하위 분류에서 상당히 합리적으로 대부분의 분류와 명칭이 후대문법서에 수용되고 있다. 그러나 助詞, 終尾詞, 終結助詞, 助動詞, 補助詞, 前置詞, 後置詞, 介詞, 前後置詞등은 품사의 명칭도 다르고, 개념 정의도 차이가 있으며, 하위분류는 상당한 부분이 견해를 달리하고 있어 여전히 과도기적 현상을 보이고 있다.

    영어초록

    In the year of 1908, the first Chinese grammar book was published adopting the modern western grammar theories, and 4 more books was introduced by the year of 1921. 40years had been passed before the next grammar book was released in 1960. this study is designed to compare and analyzed the theories of the parts of speech in the 4 Chinese grammar books, HanMunHeaSeok(漢文解釋), HanMunTaeGang(漢文大綱), HanMunGyoUiSeo (漢文敎疑書), HanMunTongSeok(漢文通釋).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No difference can be found in the terms of parts of speech in the books as : (1) Noun, (2)Pronoun, (3)Verb, (4)Adjective, (5)Adverb, (6)Conjunction, (7)Interjection, and small difference in the notional definition but still have same meaning of them. The subordinate classification of parts of speech can be regarded as in the same classification and terms regardless of small difference among them. The contents of classification is more resonable than that of the grammar books in earlier age. 2. Some difference can be found in terms of parts of speech in the books as : (8)'Josa'(auxiliary word) 'Jongmaisa'(closing word) 'Jonggyeljosa (closing auxiliary) (9)Jodongsa(auxiliary verb) Bojosa(support auxiliary verb) (10) Jeonchisa(preposition)Huchisa(postposition)Ges (preposition) Jeonhuchisa(pre/postposition), and definition of conception differs. These difference can be often found in the subordinate classification, the phenomenon of transition period prevailed in grammar just like the early published one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있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字漢文敎育”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