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韓國)의 채소(菜蔬) 음식(飮食) 문화(文化)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03.12
12P 미리보기
한국(韓國)의 채소(菜蔬) 음식(飮食) 문화(文化)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18권 / 6호
    · 저자명 : 조미숙

    초록

    이상으로 한국의 채소음식에 대한 시대적인 변화 경향과 최근의 채소 섭취량 및 섭취형태 변화 경향을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부족국가시대와 고려시대를 거치면서 채소의 종류는 점차 다양해졌으며, 조선시대에는 거의 현재와 비슷한 채소를 이용하였다. 상고시대 이래 계속 섭취하고 있는 채소로는 마늘과 쑥이 있으며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이후 현재까지 계속 섭취하고 있는 채소는 가지, 오이, 상추가 고려시대 이후로는 죽순, 토란, 우엉, 무, 순무, 파, 부추, 미나리, 배추, 아욱, 시금치, 쑥갓 등이 조선시대 이후 현재까지 계속 섭취하고 있는 채소는 고추, 호박, 토마토, 캐비지, 셀러리, 케일, 순무(turnip), 근대(beet), 등이 있다. 한편, 과거에는 섭취했으나 현재는 섭취하지 않는 채소로는 박과 마, 순채 등과 각종 식용야생초들이 있다. 2. 한국인의 채소 공급량은 일인당 연간 232.2kg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양은 이러한 양은 전세계의 평균 공급량인 101.9kg과 비교해서 많은 편이며 아시아 지역에서 비교해 보면 중국(203.5kg)이나 일본(111.6kg) 보다는 많은 양이었다. 3. 채소섭취량은 1970년 이후에 뚜렷한 증가가 나타났으며 1990년에 201.1kg으로 가장 많았고 그 이후 감소하여 2000년에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경우 1965년 이후 큰 변화없이 110-120kg 수준을 공급하고 있으며 중국의 경우에는 1995년 이후에 급속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미국은 채소류의 공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나라로 나타났다. 4. 한국인이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는 채소는 마늘, 파 등의 양념류와 배추김치, 무, 양파, 당근 등으로 종류가 매우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114종 가운데 섭취한 채소의 종류는 모두 72종으로 나타났으며 남자의 경우 1인 1일 섭취량이 가장 많은 채소는 배추김치였고, 그 다음으로 무, 양파, 파, 깍두기, 감자, 배추, 시금치, 애호박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도 남자와 같은 경향이었으나 애호박이 다소비식품 내에 포함되지 않았다. 5. 구황식품과 부식으로 이용되었던 산나물과 야생식물의 이용은 현재 거의 사라진 반면 새로운 외래채소와 허브류의 도입은 급증하고 있으며, 채소를 섭취하는 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나물에 대한 기호도는 낮아지는 반면 다양한 채소를 이용한 쌈싸기와 녹즙, 생식등이 상업화되었으며, 채소전문식당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여러 형태의 채식주의도 나타나서 채식문화가 다양해짐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채소 음식의 소비는 더욱 다양해질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우리가 과거에 섭취했던 산나물들의 효능과 함께 우리나라 전통 채소 음식의 조리방법에 대한 연구 및 보급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변화하고 있는 채소의 생산과 소비 현황에 대한 보다 정확한 통계자료의 수집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In Korean history, vegetables were the major side dishes of meals and originally korean diets were based on vegetables. But recently people prefer meat dishes rather than vegetables and traditional vegetable cooking seems to be disappeared. So it is needed to be positioning the importance of vegetables in food culture of Korean. In present study, history of vegetable eating was reviewed and recent consumption pattern were analyzed. 1. Since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and Koryo dynasty, the kinds of vegetables varied and at Chosun Dynasty people used similar kinds of vegetables as nowadays except a few things. A Garlic and mug wort had been used from the age of tribes to present and an egg, apple, cucumber, lettuce from the three Kingdom and a bamboo sprout, a taro, a burdock, a radish, a turnip, a stone-leek, a scallion, a Chinese cabbage, a marsh mallow, a spinach and a crown daisy from Koryo Dynasty and a pepper, a pumpkin, a tomato, a cabbage, a salary, a kale, a turnip and a beet from Chosun Dynasty to present. A guard, a water shield plant, a yam and wild plants would have been used before but they would not use any more. 2. Current vegetable consumptions of Korean is 232.2kg/person/yr and comparing with world mean consumption(101.9kg), Koreans still eat the largest amount of vegetables than any other countries and among Asian countries, Koreans consume more vegetables than China(203.5kg) and Japanese people(111.6kg) do. 3.The most frequently consumed vegetables were vegetables for seasonings such as a garlic or stone-leek and for kimchi such as a Chinese cabbage, radish, and carrot. But from data of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2001), kinds of vegetables which people had were only 72 items showing that the kinds of vegetables were limited. 4. A lot of wild plants that would have been used for famine relief are now disappeared and on the other hand, it is increasing of some new and foreign vegetables and herbs. Cooking methods and intake pattern of vegetables are changed and varied so a traditional cooking method such as namuel is less preferred than before. But vegetable wrapping and green vegetable juice, eating uncooked vegetables(sang-sik) are very popular.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덕분에 과제 제출 기한을 맞출 수 있어 정말 감사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