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시 비전캠프 제도가 복무 부적응 병사의 군 생활 적응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2.11 최종저작일 2015.12
16P 미리보기
상시 비전캠프 제도가 복무 부적응 병사의 군 생활 적응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원리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원리연구 / 4권 / 1호
    · 저자명 : 유종훈, 김완일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초록

    상시 비전캠프는 최초 2008년 12월 1일부로 복무 부적응 병사 및 자살 우려자를 관리하기 위해 1군 예하 사․여단
    에서 운영된 이후 인사 사고의 감소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2009년 6월 1일 부로 육군 사․여단급 부대로 확대 운영
    되었다. 하지만 상시 비전캠프 제도의 세부 시행 지침이 사․여단장에게 위임되어 부대별 여건과 지휘관심에 따라
    그 효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전개하였다. 연구 대상
    부대를 2008년 12월 1일부, 상시 비전캠프를 시행한 이후 단 한건의 인사사고도 발생하지 않은 A여단으로 선정하
    였다. 또한, A 여단의 상시 비전캠프 제도의 인사 사고예방의 효과를 검증을 하기 위해 기존 선행연구를 통해 신뢰
    도와 타당도가 확인된 측정도구를 이용,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계 처리와 공변량 분석을 통해 제시하
    였다. 본 연구문제는 첫째, 상시 비전캠프 제도가 복무 부적응 병사의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
    째, 상시 비전캠프 제도가 복무 부적응 병사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이었다. 연구문제를 규명하
    기 위하여 A여단 상시 비전캠프에 입소대기중인 복무 부적응 병사 15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 하였으며, 해당 부대
    에서 관리중인 15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검사 도구는 군 생활 척도와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상시 비전캠프가 종료되는 직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두 집단간의 차이 검증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복무 부적응 병사의 군생활 적응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보면 사전검사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 검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시 비전캠프 프
    로그램이 복무 부적응 병사의 군생활 적응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둘째, 복무 부적응 병사의 자
    아존중감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보면 사전검사에서는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검
    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상승한 것
    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Ordinary Vision Camp System(OVCS) has been expanded to the army entire corps as of June 1, 2009 as the system
    shows reducing effect of personnel accident since it was enforced in some division and brigade of the 1st army for
    managing the maladjusted soldier as of December 1, 2008. But, according th a troops circumstance and concern by the
    delegation of detailed action guideline, the result shows some differences, especially, the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about
    prevention of personnel accident remained a certain level based on the chance for simple accident. Therefore, this research is
    developed as follows for solving this limit. ‘A’ brigade without a personnel accident since OVCS carried into effect as of
    December 1, 2008 is selected as an object of study. Particularly, other division and brigade were limited to demagnified
    form of previous vision camp system by focusing on moral education about the maladjusted soldiers, on the other hand, ‘A’
    brigade is applying OVCS that is discriminatory system bringing military adjustment and self-esteem improvement of the
    maladjusted soldiers by using active program such as various sports activities, voluntary service and etc. Also, the measuring
    devices that have lot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a precedent study are personnel accident. And the result is
    presented through statistical treatment and covariant analysis. Two Research subjects are set. First, how does the OVCS
    effects the maladjusted soldier's military adjustment? Second, how does the OVCS effects the maladjusted soldier's
    self-esteem? To examine the research subjects, fifteen maladjusted soldiers who are waiting to enter the Ordinary Vision
    Camp of ‘A’ brigade are composed of research group and other fifteen who already entered the camp are made up for
    control group. Testing tool of this research is testing the before-test on the research group and the control group using the
    military life standard and self-esteem standard. Also, right after when the camp was finished, after-test was tested on the
    same way as before-test and analyzed the effect from the difference verification of two groups. In statistical process, the
    standard deviation from the score of the before and after-test was figured out and to find the difference of the lower factor
    average, before-test was set to be covariance and the after-test was set to be dependent variable to analyze the covarian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the following. First,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earch group and control group
    about maladjusted soldier's military adjustment, difference was not shown on the before-test but difference was shown on the
    after-test. In other word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search group has improved. This shows that the Ordinary
    Vision Camp program has an notable effect on the maladjusted soldier's military adjustment. Second,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earch group and control group about self-esteem, notable difference was not found on the
    before-test but on the after-test. Precisely, research group has improved notably compare to the control group.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있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원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