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용산 새 국립중앙박물관의 성과와 과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2.11 최종저작일 2011.12
32P 미리보기
용산 새 국립중앙박물관의 성과와 과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학보
    · 저자명 : 김권구

    목차

    I. 머리말-변화된 환경 속에서의 방향 모색
    II. 박물관 운영철학과 평가기준
    III. 용산 시대 국립중앙박물관의 성과
    IV. 국립중앙박물관의 미래과제
    V. 맺는말
    참고문헌・웹사이트

    초록

    이 논문은 용산 새 국립중앙박물관의 성과를 평가하고 과제를 검토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 이 논문은 국립중앙박물관이 2005년 이전개관이후 1년 동안 정상적으로
    박물관이 기능하기 시작한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박물관활동을 국립중앙박물관
    이 발간한 연보를 토대로 평가할 것이다.
    박물관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박물관의 운영철학과 평가기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데 양적인 평가와 질적인 평가가 있겠으나 양적인 평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용
    산 새 국립중앙박물관의 5년간의 성과(2006년~2010년)는 관람객분석, 시설규모분
    석, 유물관리현황분석, 예산과 인력분석, 특별전시의 개최양상분석, 사회교육, 학술활
    동, 국제교류현황 등이 주로 양적인 기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양적인 분
    석이 갖는 한계를 피할 수는 없다.
    위의 기준으로 평가된 국립중앙박물관은 5년간 그 이전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크게
    활성화되었고 범위가 다양화되었다고 평가되었다. 그러나 박물관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성찰, 관람객과의 소통방식의 개선에 대한 성찰, 방문객 관람환경의 개선과 만
    족도 향상, 유물관리개선, 전시와 교육프로그램의 개선 등 박물관 사업의 질 향상 노력, 학술능력강화, 민족주의 등 각종 편견에서 벗어나 지식을 학습하는 비판적 사고
    능력의 배양장소로서의 박물관기능강화 등이 앞으로의 과제로 논의되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at evaluating not only the accomplishments of the new
    National Museum for five years(2006~2010) after its opening to the public in
    October, 2005 but also its future challenges. This article has examined
    mainly the activities shown in a series of the annual report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during the five years. Basically its activities in 2005 have
    been excluded because the new museum had been opened in October, 2005
    and they could not be operated for a whole year properly.
    Before museum evaluation some discussion on philosophy in museum
    management and evaluation standards have been done. In this article mainly
    quantitative evaluations have been done rather than qualitative ones. So
    statistics on various crucial variables have been reviewed and compared
    including their scopes and changing trends for the consecutive five
    years(2006~2010): they include the statistics on visitor's number, facilities,
    collection management, budget and staffs, special exhibitions and permanent
    exhibition, educational programmes, academic activities, and international
    exchanges. So it must be mentioned that there are some inevitable limitations
    in this article because it has depended on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s.
    The result of the evaluations turns out that the new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been managed more actively in all arenas for the five years after
    its reopening and diverse exhibitions along with programmes have been
    operated than ever before. But there are many things to be desired; in the
    future it needs more thoughtful considerations on wh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like and what it should do, improvements in communication with
    visitors, more efforts to build up comfortable museum environments for
    visitors' satisfaction, more systemic and academic collection management,
    continuous developments in exhibitions and educational programmes,
    strengthening academic abilities, and encouraging the visitors' critical thinking
    upon their learning free from all kinds of biases including nationalism.
    Basically more efforts for quality upgrading of all museum arenas are
    essentially demanded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