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동거울 석제거푸집의 복원 제작기술과 주조 실험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2.11 최종저작일 2015.12
29P 미리보기
청동거울 석제거푸집의 복원 제작기술과 주조 실험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학보 / 29권
    · 저자명 : 윤용현․ 윤석빈․ 정영상

    목차

    Ⅰ. 서론
    Ⅱ. 청동기 복원 제작기술 연구사
    Ⅲ. 청동거울 석제거푸집의 복원 제작기술
    Ⅳ. 청동거울 주조 실험
    Ⅴ. 청동거울 가공기술
    Ⅵ. 맺음말

    초록

    본 연구는 청동기시대 전주 여의동, 익산 다송리, 대전 괴정동의 거친무늬거울을 모델로 활석
    거푸집을 복원제작한 뒤, 그 거푸집에 청동거울 주조 실험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정리․분석한 것
    이다. 거푸집 제작에는 청동기시대 거푸집에 많이 사용된 활석을 이용하였으며, 특히 당시에 사용
    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전남 영암 출토 석제거푸집에 새겨진 끌, 도끼, 송곳 등을 모델로 연모를
    제작하여 활석 거푸집 제작과 주조된 청동거울의 가공에 사용하였다. 거푸집을 제작할 때 활석의
    석질이 좋고 표면이 매끄러운 것은 문양 새김작업이 용이했으나 활석에 잡석과 맥이 섞여있고 미
    세한 균열이 있는 것은 문양 새김에 어려움이 있었고 제작 시간이 더 소요되었다.
    청동거울 주조 실험 후 각각의 석제거푸집을 관찰한 결과, 잡석과 맥이 있는 활석으로 복원한
    전주 여의동 거푸집은 양질의 활석 거푸집에 비해 주물 작업 시 문양 면이 떨어지거나 균열 현상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미세 균열이 있고 석질이 좋지 않은 활석으로 복원된 익산 다송리 거푸집도
    주물 시 균열 부분이 떨어지거나 갈라짐이 관찰 되었다. 반면 양질의 활석으로 복원 한 대전 괴정
    동 거푸집은 두 차례 이상 주조하고도 문양 면 상태에 변화가 없어 수차례 더 사용할 수 있을 것으
    로 판단되었다. 석제거푸집 주변을 ⅔ 정도 흙으로 메우고 640℃로 가열한 뒤 청동 쇳물을 붓고
    주물 상태를 관찰 한 결과, 흙으로 메운 면 까지는 주물 상태가 깨끗하고 문양이 뚜렷하였으나 그
    렇지 않은 부분은 깨끗하지 못하고 문양이 희미해지는 등 청동거울 주물 상태가 달라짐을 확인하
    였다. 이러한 현상은 청동 쇳물을 붓기 전 거푸집이 공기에 노출되면서 나타난 냉각 속도 차이(51
    0℃)와, 그에 따른 부은 쇳물의 굳기 차이 등에 의해 메우지 않은 면의 거푸집 속 쇳물이 주입구
    쪽인 위로 빨려 올라가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관찰되었다. 주조된 청동거울의 형태와 거울면에
    대한 가공기술이 진행 되었는데, 열풀림 작업을 통해 거울의 주입구가 무른 상태가 되면, 동 도끼
    를 사용하여 거울에 붙어있는 주입구를 손쉽게 제거하였다. 또한 거울면의 반사도를 높이기 위해
    숫돌, 모래, 나무 재 등 단계별로 사용하여 광택내기를 실시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시도 및 확인 된 1) 동시대 연모를 사용한 활석 거푸집 복원 제작, 2) 청동거울
    주조 시 활석의 질에 따라 생긴 거푸집의 파손과 변형 현상, 3) 흙과 가열 등 거푸집 냉각 차이로
    인해 생긴 주물 상태 변화는 청동기시대 거푸집의 제작과 주조기술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
    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research, the experimental results of recreating bronze mirrors cast using
    different talc casts based on the rough linear patterned bronze mirrors excavated at
    Yeoui-dong, JeonJu; Dasong-ri, Iksan and Goejeong-dong, Daejeon were analyzed.
    The most commonly used Bronze age material, talc was used to make the casts.
    Also, cast manufacturing tools such as a chisel, axe and awl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a recreation of Bronze Age tools that is thought to have been used for the same
    purpose. The recreated tools were based on the tool marks on the stone cast excavated
    at YeongArm, Jeonnam.
    High quality talc with smooth surface afforded ease for detailed carving. The carving
    process became arduous when there were impurities and fine internal cracks in talc.
    From the observation made on the stone cast after experimental casting, one could see
    the Yeoui-dong, JeonJu cast made with impure and fine hair line cracked talc was
    prone to splitting and the end product lacked fine details compared to the product from
    a high quality talc cast. The splitting and loss of split areas were also observed on the
    Dasong-ri, Iksan cast made with low quality talc. In comparison, the Goejeong-dong,
    Daejeon cast made with high quality talc was robust even after it was used to cast
    twice. Thus, it could withstand multiple casting
    When approximately 2/3 of a casts’ surrounding was filled with dirt then bronze
    melted at 640 ℃ was poured into the cast, the area filled with dirt had smooth surface
    and obtained detailed pattern, in contrast the exposed area had rough surface and failed to take fine detail.
    This is contributed to a molten metal seeping up to the inlet of the cast from
    different metal hardening rate due to different cooling time (510℃) as part of the cast
    was exposed to surrounding air.
    The surface finishing process was conducted when the cast bronze mirror became
    soft after annealing step. The inlet cast was easily removed using a bronze axe. Also,
    to increase its reflectance, the mirror was polished using whetstone, san and wood ash
    in sequen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on 1) Restoration of the talc cast using contemporary
    tools, 2) Effect of talc quality on its end product, 3) Difference on surface finish
    depending on the different cooling rate will provide valuable data for understanding
    cast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Bronze Age cas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박물관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