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울선교의 주요원리로 본 한국교회 선교의 분석과 적용방안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1.03
44P 미리보기
바울선교의 주요원리로 본 한국교회 선교의 분석과 적용방안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개혁주의교회성장학회
    · 수록지 정보 : 개혁주의교회성장 / 6호
    · 저자명 : 이종우

    목차

    Ⅰ. 서 론
    Ⅱ. 바울선교의 주요 원리들
    Ⅲ. 한국교회의 선교
    Ⅳ. 바울선교 원리들에서 본 한국교회 선교
    Ⅴ. 결 론

    초록

    􀀀2014년 WEA대회를 앞두고, 성경과 선교신학 부문에서 바울의 선교와 우
    리의 선교를 비교해 보고 방향을 제시하는 일은 매우 뜻 깊은 일이다. 바울의
    선교에 대하여 20세기 초부터 서구의 선교사들과 국내 선교학자들이 통찰력
    있는 연구를 하였다. 그것들을 참고하여 다섯 가지 부분에서 바울선교의 원리
    들을 살펴보고, 그것을 한국교회 선교에 대비하면서 분석하고 방향제시를 하
    고자 했다. 바울선교의 원리는 첫째, 복음의 본질에 충실하게 전파하였다. 바
    울이 전한 복음의 핵심내용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 회개, 구원, 그
    리스도의 재림과 심판이다. 둘째, 성령의 능력과 인도에 붙잡힌 선교였다. 선
    교를 인간이성으로 계획하고 추진하지 않고 성령의 인도를 받았으며, 성령의
    능력으로 선교 하였다. 셋째, 동료들과 함께 하는 팀 사역이었다. 그것은 예수
    님의 원리를 따른 것이며, 팀 사역을 통하여 그는 훨씬 사역이 증대됨을 발견
    하였다. 넷째, 전략적 거점도시를 중심하여 사역을 펼쳤다. 주로 2차 선교여
    행부터 그렇게 하였는데, 거점도시에서 중점적으로 사역함으로서 주변도시에
    까지 복음이 퍼져 나아가도록 하였다. 다섯째, 상황화 사역이다. 즉 복음의 수
    용자들의 문화코드에 자신을 적응시키는 태도이며, 토착교회를 세우는 것이
    었다.
    이에 준하여 한국교회 선교를 생각해 볼 때, 첫째, 한국교회 선교는 초기에
    는 복음의 본질을 강력하게 전파하였으나 선교방법이 다양화되면서 복음의
    본질을 증거하는 일이 많이 퇴색되었다. 그러므로 교회개척선교사들과 다른
    프로젝트 선교사들의 네트웍으로 서로 협력을 증진해야 한다고 본다. 둘째,
    성령의 능력을 받고 성령께 인도받는 선교를 지향해야 한다. 선교가 너무나
    인간적 계획으로 프로그램화하는 것을 지양하고, 선교에 있어서 성령과 기도
    를 강조하고, 성령의존적인 선교를 추구할 것을 촉구한다. 셋째, 동역자들과
    의 팀 사역인데, 한국선교사들은 팀 사역을 매우 힘들어한다. 이것을 극복하
    기 위해 신학훈련과 선교사훈련 과정에서부터 토론문화, 팀이 함께 하는 수업
    과 훈련과정들을 적극 개발해야 하며, 한국선교사의 수준에 적절한 팀 사역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넷째, 전략적 거점도시를 중심한 선교원리이다. 현재 세
    계는 점점 도시화 현상이 급진전되고 있고, 도시는 많은 문제들을 안고 있으
    며 복음에 더욱 수용적이다. 그러므로 도시에 더 집중할 필요가 있으며, 도시
    선교 프로젝트들을 개발하고, 점차 지방의 거점도시들, 미전도지역으로 골고
    루 나아가야 한다. 다섯째, 상황화적 선교이다. 한국교회 선교사들은 현지인
    에 의한 리더십을 세워주는 일에 인색한 편이다. 너무 오랫동안 담임목사직을
    맡는다. 현지인 리더십을 세워 토착교회를 세우고 선교사는 리더들을 양육하
    고 세우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것은 지원하는 한국교회에서부터
    충분한 이해를 가져야 가능한 일이기도 하다. 한국교회는 보다 성숙한 자세로
    나아가야 한다. 실적위주의 선교, 선교사중심, 파송교회 중심의 욕심을 내려
    놓고, 현지 토착교회들이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도와주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영어초록

    As we expect the WEA World Convention in 2014, I'd like to
    compare Paul's mission in the first century with today's missions
    and then to suggest some practical ideas to apply Paul's mission
    principles to the present Korean mission field.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the Western and domestic mission scholars have achieved
    many insightful studies of Paul's mission. While referring to these,
    I try to analyze the principles of Paul's mission in five parts and
    compare them with Korean church missions, in order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mission.
    The first principle of Paul's mission is that Paul preached
    faithfully the substance of Gospel. The core contents of the Gospel
    that Paul preached wer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repentance, deliverance, the Advent of Christ and Judgment. The
    second principle is that Paul's mission was done with the power
    and lead of Holy Spirit. Paul did not plan any missions according to
    the human reality and desire but only followed the lead of Holy
    Spirit. Thirdly, Paul's was a team ministry. Here once again Paul
    faithfully followed Jesus Christ's example and consequently his
    ministry became much more effective. Fourthly, Paul's mission was
    centered on some strategic base cities. Paul did so mainly during
    and after his second mission travel, hence spreading the Gospel
    more effectively around such base cities. Lastly, Paul's was a
    contextualization ministry. In other words, it is an attitude to let
    himself adapt to the culture code of the recipients of the Gospel
    and build native churches.
    With Paul's principles in mind, let us analyze the present reality
    of Korean mission. First, Korean missionaries preached the
    substance of Gospel strongly in the beginning days of Korean
    missions, but that passion has been diminished while missionary
    methods were being diversified. Therefore, I think that the church
    planting missionaries and other project missionaries should
    cooperate together. Second, we should avoid doing mission only
    with human plan; we should spread the Gospel with the power
    and lead of Holy Spirit. Third, Korean missionaries feel team
    ministry very difficult.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we
    should include in our missionary training programs crosscultural
    discussion and team workshops. It is also needed that we develop
    a team ministry appropriate for Korean missionaries. Fourth,
    today's world is being rapidly changed and urbanized. Cities have
    a lot of problems, and urban people are readier to accept the
    Gospel than rural people. Therefore, we have to concentrate more
    on cities and develop projects for city mission. Then we can go
    gradually to unreached people. Fifth, Korean missionaries are
    usually reluctant to build native leadership. They are often in a
    position of the senior pastor for too long a time. In order to build
    genuine local churches, we should build up native leadership.
    Korean churches which support missionaries have also a deep
    understanding about the contextualization. Korean churches
    should have more mature attitude about this; we should discard
    the desire to show off visible achievements and the desire for
    missionary-centered mission and sponsor-centered mi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개혁주의교회성장”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