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교회의 영성훈련과 교회성장 간의 상관성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5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1.03
52P 미리보기
한국교회의 영성훈련과 교회성장 간의 상관성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개혁주의교회성장학회
    · 수록지 정보 : 개혁주의교회성장 / 6호
    · 저자명 : 정윤제

    목차

    Ⅰ. 서론
    Ⅱ. 영성훈련의 필요성
    Ⅲ. 영성훈련의 원리
    Ⅳ. 한국교회 영성훈련의 분석
    Ⅴ. 한국교회의 영성훈련과 교회성장과의 상관성
    Ⅵ. 결론

    초록

    본 연구는 한국교회에 있어 교회성장의 핵심적인 논제라고 할 수 있는 한국
    교회에 있어 이루어지는 영성훈련의 실제를 살펴보고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논리의 전개를 위하여 먼저, 2장에서 영성훈련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고 3장
    에서 영성훈련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그 원리들은 내적 충만의 원리, 성도 간
    교제의 원리, 공동체 훈련의 원리, 그리고 참여와 봉사의 원리 등이었다.
    4장에서는 현재 한국교회에서 영향력 있게 전개되는 영성운동들의 실제를
    살펴보았다.
    첫째, 부흥회 운동은 가장 강력하게 한국교회의 부흥과 교회성장을 도출하
    였지만 그만큼 오해의 소지도 있었다. 둘째, 기도원 운동에서도 역시 긍정적
    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교차하고 있다. 한편 제자 양육을 통한 평신도 운동은
    새롭게 일어나는 평신도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할 수 있었
    다. 영성훈련의 주 대상이 또한 평신도가 주축이 될 것이라는 관점에서도 영
    성훈련의 강력한 진원지로서 역할을 기대할 수 있었다.
    셋째, 제자양육은 한국교회에 소그룹을 통한 영성훈련의 강력한 모델을 제
    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제자훈련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훈련의 내용은 성경
    의 명령에 따라 성경적인 성도들과 성경적인 교회를 세우기 위한 운동으로서
    영성훈련의 좋은 모델로 제시되었다.
    넷째, 큐티와 묵상을 통한 영성훈련에서는 말씀과 기도 중심의 삶을 강조
    하였다. 종교개혁을 통해 말씀이 모든 성도들에게 주어졌지만 말씀을 읽고,
    묵상하고, 적용하는 성도들은 한국교회에서 소수였다. 비록 왜곡되게 진행될
    위험성은 있었지만 그 본래의 취지대로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예수님처럼 매
    일 경건의 시간을 가지고, 경건의 삶을 살아가도록 한 것은 모든 그리스도인
    들이 성경적인 영성을 갖게 하려는 것이었다.
    다섯째, 예배를 통한 영성훈련에는 찬양과 경배 운동을 살필 수 있었다. 예
    배가 살아 계신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만남이어야 한다는 자각에서 시작되었
    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의도라 하더라도 예배의 중심에서 지나쳐서 사람의
    축제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예전의 회복 또한 성경적인 영성의 회복을 위
    한 시도로서 의미를 가진다. 현대교회에서 그 의미가 퇴색된 성만찬의 회복은
    성경으로 돌아가자는 의미의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도 예배와 성례전
    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 다른 영성훈련에 대해 균형을 취하지 않는다면 지나
    친 감이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대로 20세기 말부터 한국교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영성운
    동들은 그 시작이 성경적인 교회 회복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비록 비판의
    여지가 있기도 하지만 본질은 성경적인 그리스도인으로 구비시키고자 하는
    운동이라는 점에서 한국교회의 영성훈련은 비판적 대안을 가지고서 진행한다
    면 긍정적인 열매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has considered and analyzed the spiritual training in
    Korean churches, as one element for the churches growth. This
    study is developed logically in chapter 2 and explains why we
    need spiritual exercises. In chapter 3 the principles of the spiritual
    exercise are presented. These principles consist of the inner
    ful lness, association among saints, community exercise,
    participation and service. Chapter 4 addresses how the spiritual
    exercises influence present Korean churches.
    First, the revival movement has successfully aided Korean churches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but has bred some
    misunderstanding. Secondly, the movement of a prayer house is both
    positive and negative. However, the movement of lay believers
    through the disciple training has led to the rising roles and
    functions of lay believers. From the point of view that lay believers
    are abl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movement, we can expect
    this movement will be a strong fountainhead for the spiritual
    exercise.
    Thirdly, the constructive model of spiritual exercise is presented
    by the rearing of the disciple training through the activities of
    small groups in Korean churches. As movement to produce biblical
    believers and churches, the content of the exercises within the
    disciple training presents a good model for spiritual exercise.
    Fourthly, the spiritual exercise through Q.T(Quiet time) and
    meditation emphasizes the life focusing on Biblical phrases and
    prayer. Since the Reformation, the Bible has reached literally all of
    the saints. But, in the reality of Korean churches, we assume that
    only a minority of saints read the Bible, meditate and apply it to
    their lives. Even though it can be distorted sometimes, the original
    intention of Q.T(Quiet time), meditation and living a holy life as
    Jesus did is only to let all saints obtain biblical spirituality.
    Fifthly, there is the movement of worship and adoration in the
    spiritual exercise. This movement began with an awareness that
    saints can personally meet God in their worship. But, with good
    intention, the center of worship should not be deviated from or
    turned into a festival for men. The movement for returning to the
    Ritual implies an attempt to recover biblical spirituality. That is,
    recovery of the Eucharist faded in the modern churches aims at
    returning to the Bible. On the other hand, it will be difficult for us
    to maintain the balance with other spiritual exercises if we too
    emphasize on worship and sacrament.
    As viewed in the above, the movements of spirituality rising in
    Korean churches since the late 20th century is important for the
    recovery of the biblical churches. There is room for argument about
    the spiritual exercise, but its essence is to raise Korean saints as
    biblical Christians. If the spiritual exercise of Korean churches
    could be fulfilled with significant alternatives, it can come to
    positive fru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개혁주의교회성장”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