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령-스펙트럼 프로이트 - 리비도-코나투스(libido-conatus)는 가능한가? -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4.08
34P 미리보기
유령-스펙트럼 프로이트 - 리비도-코나투스(libido-conatus)는 가능한가? -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집 / 38권
    · 저자명 : 윤지영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리비도(libido)란 성 충동 에너지는 생 추동에너지일 수는 없는가?
    III. 코나투스 개념과 리비도 개념의 비교 분석
    IV. 리비도-코나투스(libido-conatus)는 가능한가?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초록

    필자는 프로이트와 스피노자의 사상 궤적 안에서, 리비도-코나투스라는
    혼융적, 확장적 개념을 제창함으로써 기존 리비도 개념의 인간중심주의와 남근중심
    주의적 경향을 첨예하게 비판하고자 한다. 나아가, 기존 코나투스 개념과 리비도
    개념에서 배격되는 타나토스적 충동이 어떻게 에로스적, 코나투스적 충동과 뒤섞임
    이 가능한지, 그럼으로써 어떻게 쾌락원칙을 넘어서는 쥬이상스와 리비도-코나투스
    가 연동될 수 있는가를 모색해 보려 한다. 리비도-코나투스는 몸과 몸의 마주침으
    로서의 위상학이기 때문에 인간과 인간만이 아니라, 인간과 사물, 인간과 동물, 인
    간과 기계간의 존재 역량이 어떻게 충돌하고 접속되며 계쟁의 장을 이루는가 등을
    다룰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 리비도-코나투스는 인간과 동물, 인간과 사물, 인간
    과 기계의 이분법적 존재 분할선마저 문제 삼음으로써 인간만의 합리적 소통 체계
    의 견고성을 넘어서는 탈인간화된 공동체적 연대는 어떻게 가능한가를 사유하게 하
    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리비도-코나투스를 통해 인간중심주의의 해체가 가해
    진다면, 주체(subject)라는 ‘무엇 아래로 내던져짐’이 아닌, 이 개념의 극복 변형어
    로서의 새로운 개념화 작업도 세공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metamorphosis란 ‘형태의 변신’과 ject라는 ‘내던져짐, 기투’의 새로운 합성
    어인 ‘변이체’(metamorpho-ject)라는 새로운 개념어를 제창해 본다. 이러한 관점에
    서 변이체는 탈인간화된 힘의 역동체이다. 인간과 기계, 인간과 사물, 인간과 동물
    의 탈경계적 충동 에너지인 리비도-코나투스는 인간만을 특징짓는 것이 아니라 끊
    임없는 생성 변이를 향한 기투의 힘이기 때문에 이러한 ‘변이체’는 전통적 인간 주
    체 개념을 파기해 버리는 것이다. 나아가 ‘변이체’는 확장, 증대, 보존하는 원리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죽음과 사라짐이라는 쾌락 원칙 너머의 장으로 이행하는 것이
    기도 하다. 이것은 인간의 질서에 의해 정제될 수 없는 파동이자 기존 의미화 체계
    의 분쇄로서의 쥬이상스의 정치학이 모색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Dans cet article, je tente de cr?er la notion “libido-conatus” qui est une
    notion hybride et transversale imbriquant le sillage de la pens?e de Freud et de
    Spinoza. La libido-conatus est une notion strat?gique qui critique la propension
    de la notion libido ? l’anthropocentrisme et au phallocentrisme. En outre, cette
    nouvelle notion implique cette question suivante; comment il est possible que la
    pulsion de la mort est imbriqu?e ? celle de l’eros et au conatus qui sont en
    principe ? l’encontre l’un de l’autre. Et comment est-il possible que la
    libido-conatus est li?e ? la jouissance? Dans la mesure o? la libido-conatus est
    une topologie de la rencontre du corps avec le corps, cette nouvelle notion se
    focalise sur l’intensit? de la puissance d’?tre entre humains et choses, humains
    et animaux, humains et cyborgs etc. C’est-?-dire que la libido-conatus suscite la
    possibilite de la pens?e radicale qui consiste ? ?laborer l’agir collectif dans la
    perspective post humaine qui surmonte la rigidite du systeme de la
    communication rationnelle entre humains. Dans ce sillage de la pens?e, cette
    notion in?dite n?cessite la d?construction de l’anthropocentisme et rend possible
    l’?laboration de la notion qui remplacerait la notion ‘sujet’ encore subjugu?e ?
    l’ordre phallique. C’est en cela que j’exerce le travail de la cr?ation de la
    notion “m?tapho-ject” qui signifie ce qui se jette sans cesse dans la
    m?tamorphose. Le m?tapho-ject est un vecteur dynamique de la puissance d’?tre
    aui est d?shumanis?e et post-humaine. Parce que la libido-conatus est une
    pulsion qui defait les fronti?res entre humains et cyborgs, humains et choses,
    humains et animaux, et que la libido-conatus est une puissance qui se jette
    dans le devenir impr?visible. En ce sens, le m?tamorpho-ject est une nouvelle
    modalite de la subjectivation dans l’?re de la nouvelle technologie. Cette
    nouvelle modalite de la subjectivation qui est une d?classification et une
    d?sidentification ayant la tendance ? la mort, est une ?labration de la politique
    de la jouissance qui est au-de-l? du principe du plaisir et qui n’est pas
    cantonn?e ? la pulsion de la vie et ? celle de la conserv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