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바닷물이 짠 이유> 설화의 한일 비교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4.06
42P 미리보기
&lt;바닷물이 짠 이유&gt; 설화의 한일 비교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38권
    · 저자명 : 박연숙

    목차

    1. 머리말
    2. 유형적 특징?분포?역사
    3. 한국구전자료 검토
    4. 일본구전자료 검토
    5. 비교 분석
    6.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이 글은 <바닷물이 짠 이유>(AT 565)의 유형적 특징, 분포, 역사, 우리의 고유성, 상징
    들, 유입된 경로와 변이 등의 제반 문제를 고찰하였다. 그를 위해서 유럽 및 중국의 설화를
    돌아보며 우리 설화와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는 일본 설화의 구성 및 구성요소와 비교하는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범세계적 분포를 보이는 이 설화의 유형적 특징은 ‘맛난 죽(KHM 103)’, ‘맷돌을 훔친 사
    람이 주인을 불러 멈추다’, ‘선장이 훔친 맷돌을 바다 위에서 소금을 내다가 멈추는 방법을
    몰라 배가 가라앉고 바다 속에서 계속 소금을 내서 바닷물이 짜다’라는 세 방향의 전개가
    지적되고 있다. 그 역사는 중국의 물 여신 신화 <수모낭낭> 및 북구의 신화 <그로티 노래>
    에 거슬러 올라가고 전자의 문헌기록은 명대(明代)의 패사휘편 , 후자는 고 에다 산문
    에다 에 전한다. 우리 설화는 대체로 세 번째의 전개양상을 보인다. 구성은 맷돌획득과 상
    실(적대자1), 맷돌탈환과 상실(적대자2), 그리고 바닷물이 짠 이유로 이루어지며, 이 모티프
    를 모두 갖춘 C형, 맷돌획득과 탈환과 상실(적대자2)이 누락된 A형, 맷돌탈환과 상실(적대
    자2)만이 누락된 B형과 D형, 바닷물이 짠 이유가 누락된 E형으로 구전되어 왔다. B형은 증
    여자가 특히 선한 자질의 주인공에게 맷돌을 증여하는 특징을 보이고, D형은 조력자와 증여자 모두 나타나는데 증여자가 ‘꼬마사람’이라는 특이함을 보인다. A형이 가장 단순한 구
    성이면서 더 많이 채집되었고 C형은 그 다음이다. 일본 설화는 B형에 대응하는 b형이 다
    수이고 D형에 대응하는 c형이 그 다음이다. 우리의 C형은 유럽형에 더 가깝고 D형은 일본
    형과 흡사하다. 이 두 형은 일제강점기에 유럽형의 일본어번역서를 통해 각기 유입되어 자
    국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A형은 구성의 단순함과 요소의 특이함, 평북 및 함남의 채집 등을
    고려하여 자국 내 변이와 아울러 중국대륙 등 다른 경로를 추정해 볼 여지도 남는다. B형
    과 E형은 자국 내에서 변이한 것이다.
    이 설화에서 핵심적 기능을 하는 마법 맷돌은 선한 자질을 가진 자에게는 부의 기적을
    발휘하고 시기와 탐욕과 한탕의 횡재를 바라는 자에게는 바다 속으로 침몰시켜 경계한다.
    그러나 그 자신은 바다 속에서 돌기를 멈추지 않고 끊임없이 귀중한 소금을 생산하여 우리
    의 생명을 유지시키고 생활을 풍요롭게 한다. 그로 인해 악을 물리치고 윤택한 삶을 영위하
    도록 생산과 풍요의 상징으로 지금껏 전해내려 오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a wide range of issues including typical attributes,
    distribution, history, uniqueness of Korean folktales, symbols, influx routes and
    transformation of Why the Sea is Salty(AT 565).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folktales of the world and neighboring countries and compared
    the composition and composing factors of Korean folktales with those of
    Japanese folktales which show similarities with Korean ones.
    The typical attribute of this folktale, which shows worldwide distribution,
    is development of the story in 3 different directions, which is 'delicious
    porridge(KHM 103)', 'the man who stole the mill called the master to stop'
    and 'a captain produced salt on the ship, had his ship sunk because he did
    not know how to stop the mill and the mill keeps producing salt, which is
    the reason why the sea is salty.' Its origin dates back to Chinese myth Water
    Goddess Shuimu Niangniang(水母娘娘) and northern European myth
    Grottas?ngr or the Song of Gr?tti and bibliographical record for the former
    can be found in Baishi Huibian(稗史彙編) of Ming Dynasty(明代) while the that
    for the latter are shown in Elder Edda and Snorra Edda.
    The Korean folktales show 3rd type of development. They are composed of acquisition and loss of the mill(opponent 1), reclamation and loss of the
    mill(opponent 2) and the reason why the sea is salty and have been passed
    down in oral tradition in C type with all the motifs, A type with the omission
    of acquisition, reclamation and loss(opponent 2) of the mill, B and D type
    with the omission of only reclamation and loss of the mill and E type with
    the omission of the reason why the sea is salty. B type exhibits the attribute
    that the giver donates the mill to the proponent with good character and D
    type has both helper and giver and has the peculiarity that the giver is adwarf.
    Type A is the simplest in composition and has been collected most
    frequently followed by type C. Type b corresponding to type B is the majority
    in Japanese folktales followed by type c corresponding to type C. Korean type
    C is closer to European types, whereas type D is similar to Japanese ones.
    These two types are presumed to have flowed i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European-style Japanese translation and became Koreanized.
    Type A has the room to assume other routes of delivery, probably through
    mainland China, considering the simplicity of composition, uniqueness of
    factors and existence in Pyeognbuk and Hamnam areas. Type B and E have
    undergone transformation within the bounds of Korean peninsula.
    The magic mill playing pivotal role in this tale works wonders of wealth
    for the good and warns the jealous, the greedy and those who pursue a quick
    fortune by sinking them under the deep sea. Still the mill itself maintains and
    enriches our life by continuing to work to produce precious salt. It has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as a symbol of production and abundance so that
    we can beat the evil and lead affluent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제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과제 제출일이 얼마 남지 않아 시간이 부족했는데, 이 자료 덕분에 과제를 제출 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