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플로티노스의 형이상학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08
31P 미리보기
플로티노스의 형이상학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집 / 34호
    · 저자명 : 조규홍

    목차

    I. 들어가기: 형이상학적 사유
    II. 플로티노스의 “하나의 형이상학”
    III. 나오기: 플로티노스의 목표

    초록

    본 논문은 플로티노스의 관심 및 철학적 사유의 목표가 무엇이었는지 밝히려 했다. ‘하나’(?ν)에 관한 그의 설명은 몇 가지 일정한 관점을 따라 분명하고도 확고하게 포착될 수 있다. 그의 표현이 우리에겐 가끔 낯설고 특이하게 비칠지라도 플로티노스는 사유전통을 따랐다. 다시 말해 최소한 파르메니데스에서 플라톤으로 이어지는 전통 아래서 ‘하나의 형이상학’이 탄생했다. 그처럼 누구보다도 플라톤을 신뢰했던 만큼, 그는 플라톤주의자다. 본 논문은 무엇보다도 엔네아데스(플로티노스의 작품)에 더 많이 집중했고, 그로써 그의 목소리 및 발췌문을 통해서 그의 의도를 드러내고 귀를 기울이게 하려고 했다. 그의 통찰은 항상 절대적이고 초월적인 존재원천인 ‘하나’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그것은 우리의 손(영혼)이 닿지 않는 곳에 있는 것도 아니요, 그 어떤 신비로운 힘(혹은 마법)에만 의존해서 다가갈 수 있는것도 아니다. 영혼은 ‘하나’로부터 유래했고 또 항상 그 곁에 있다는 존재론적인 관점에서 “하나의 형이상학”(Henology)은 우리에게 언제든 실현 가능하다. 그렇게 자각한 영혼이 ‘하나’에게로 올라가는 것(혹은 되돌아감)이 플로티노스가 지향하는 목표다. ‘하나’와의 합일은 플로티노스의 관점에서 완전한 ‘하나-됨’을 내포한다. 그렇다면 ‘하나’ 혹은 ‘하나-됨’의 의미에 대해 먼저 물었어야 할 것 같다. 가뜩이나 다원주의(pluralism)를 표방하는 이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말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ed to brighten what was Plotinus' concern or his target of
    thinking. His explaining of the One(?ν) lets us apprehend clearly and
    determinedly on several define viewpoints. His expressions appear occasionally
    for us as unfamiliar and unique, nevertheless he had followed the contemporary
    tradition of thinking. Namely, his 'Henology' came into being under the
    tradition which was inherited at least from Parmenides to Platon. Plotinus is so
    a platonist as he had adhered above all to Platon. This article focused
    especially on Enneades(Opera Plotini) a little more and so intended to show
    and direct Plotinus' idea along with his tones or extractions. His insight
    concentrated into the One, the absolute and transcendent origin of beings,
    however It is nowhere we can never touch and reach besides owing to an
    mystic power. Because our soul is once born of It and then stays eternally
    nearby It, Henology is ontologically at any time to realize on us. It is Plotinus'
    idea, that a self-awaked soul is so going(or returning) up to the One. Union
    with the One contains in sense of Plotinus the perfect unity. If so, I think, we
    should have before questioned what means union or unity, moreover in this
    Postmodern-time which adopts a platform of plur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