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성과 사회복지에 대한 소고: 개념에 대한 분석 중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04
17P 미리보기
영성과 사회복지에 대한 소고: 개념에 대한 분석 중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성과 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성과 사회복지 / 1권 / 1호
    · 저자명 : 오윤수, 정현태

    목차

    Ⅰ. 서론
    Ⅱ. 영성 개념의 원류: 영성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Ⅲ. 영성과 사회복지
    Ⅳ. 영성개념의 정립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초록

    현대사회는 과학기술의 발전에 의한 편리성, 경제발전에 따른 풍요로움을 누리고 있으나 한편으
    로는 이런 풍요가 오히려 인간을 소외시키고 있다. 그 결과 초월성에 대한 갈구나 삶의 의미에 대
    한 추구, 자기충족이나 자기실현의 욕구를 더 원하게 되었다. 사회복지의 인간관은 육체적-정서적-
    사회적 측면을 통합하는 인간관이다. 이 세 가지 측면에 영적 측면을 새롭게 추가하여 인간을 보
    다 폭 넓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많은 사회복지사는 사람들의 삶에서 종교적이고 영적인 측면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 길잡이를 찾고 있다. 사회복지영역에서도 영성이라는 용어의
    사용이 증가하고 연구가 진척되어 가고 있으나 종교영역에서 사용되던 용어인 만큼 그 개념에 대
    해 일관되고 합의된 의미가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분야에서 유용한 영성 개념
    을 찾고자 하였다. 영성은 어떤 한 종교나 신앙이 아니라 인간의 보편적 본성(본질)으로서의 ‘초월
    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폭넓게 표현한 것이다. 하지만 종교나 신앙과 무관하기보다는 오히려 시대
    의 변화에 따라 기존의 용어가 다 담아내지 못하는 것을 새로이 표현하기 위한 용어라 할 수 있
    다. 또 영성은 몸과 마음이라는 이원론적인 인간에 대한 이해에서 몸과 마음(심리)을 초월하는 어떤
    것을 포함한 삼원론으로의 변화인 것으로 보인다. 즉, 몸(body)과 마음(mind)의 이분 내지 대비에서
    몸과 마음과 얼(정신, 영)의 삼분으로의 이동이다. 새로운 인간에 대한 이해, 통합적이고 전체적인
    인간 이해를 추구하는 영성은 사회복지가 가져야할 인간관에 적지 않은 시사점을 준다고 할 수 있
    다. 영성은 개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의미를 깨닫고 초월적이고 신성한 것, 깨달음을 추구함으로써
    인간 삶의 풍요로움과 안정감, 충만감을 선사하고 건강하고 조화로운 삶을 살아가게 하며, 사회복
    지사로 하여금 개인이 이런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사회복지실천을 보다 효과적이고 풍성
    하게 만들어 줄 것이다.

    영어초록

    People in modern society are enjoying convenience by scientific technology and
    bountifulness consequent on economic development, but on the other hand, such
    bountifulness is rather isolating humans. As a result, they've come to have a thirst
    for transcendence, pursuit of the meaning of life, and desires for self-fulfillment or
    self-realization. The outlook on Man of social welfare is the human view
    integrating physical-emotional-social aspects. It's necessary to broadly understand a
    human by adding a spiritual aspect to these three aspects. Many social workers are
    looking for a guide who knows how to deal with religious and spiritual aspects in
    people's life. Even in the realm of social welfare, the use of the term of
    'Spirituality' is increasing and the research on this is in progress, but insomuch as
    this word is being used in religion, in reality, the consistent and agreed meaning
    of the concept is short. Hereupon,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concept of
    spirituality useful for social welfare field in Korea. Spirituality is neither a religion
    nor a faith, but a broad expression of 'Transcendence' as a human's universal
    nature(essence) in a new method. However, it can be defined as a term for newly
    expressing what the existing term fails to reflec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In addition, spirituality seems to be a change from the dualistic
    understanding of a human as body and mind to triality principle including
    something transcending body and mind (psychology). In other words, spirituality is
    the shift from dichotomization to contrast of body and mind to trisection of
    body, mind and spirit( psyche, soul). It can be said that spirituality in pursuit of
    the understanding of a new human and an integrative, holistic human gives not a
    few implications to the human view which social welfare must have. Spirituality
    will presents an individual with human life's plentifulness and a sense of stability
    and fulfillment and gets them to lead a healthy and harmonious life by inducing
    an individual to realize the meaning of oneself and pursue the transcendental,
    sacred and awakening, and make the practice of social welfare more effective and
    abundant by helping social workers to assist an individual to lead such a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성과 사회복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