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대학의 박물관 전문인력 양성과정에 대하여 - 대학의 고고?박물관학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1998.12
24P 미리보기
중국 대학의 박물관 전문인력 양성과정에 대하여 - 대학의 고고?박물관학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학보
    · 저자명 : 오일환

    목차

    Ⅰ. 머리말
    Ⅱ· 중국의 교육 및 대학의 고고?박물관학 교육과정
    Ⅲ. 전문인력 단기 양성 교육과정
    Ⅳ. 맺음말
    참고문헌
    * 부록:중국대학의 고고?박물관학 전공교과명(1988-1996)

    초록

    박물관에 대한 연구는 근래에 들어 정의나 설립?운영 및 박물관학 등의 기초적인 분야에 대
    하여 다양한 분석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박물관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 인력의 양성
    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다각적으로 연구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며 더구나 박물관학 교과과정과
    관련된 연구는 더욱 적다.
    이에 본인은 중국 대학의 고고? 박물관학 관련 학과들의 교과 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박물관
    의 전문 인력 양성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2)
    본 연구는 먼저 1949년 이후 중국의 교육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중국 박물관의
    형성과정과 유형들에 대하여 고찰해 봄과 동시에 대학에 설치된 박물관의 성격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두번째는 중국 대학 내의 고고?박물관학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과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
    았다. 그리고 북경 대학의 고고?박물관학 전공교과 과정에 대하여도 알아보았다.
    세번째는 대학원 교육과정으로서 북경대학 대학원과 중국 사회과학원 대학원의 고고학 전공
    과정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는 대학이나 각종 기관에 설치된 단기 교육과정이나 발굴 자격
    등 전문직의 단기 양성 교육을 살펴보았다.
    이상과 같이 본인이 살펴보고자 한 박물관 전문직 양성 체계의 하나인 중국 대학의 교육 과
    정에 대한 연구는 비록 교육 과정을 바탕으로 한 기본적인 분석에 불과하지만 중국 박물관에
    대한 우리의 연구 현실을 감안할 때 적지 않은 의의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국내의 고
    고?박물관학 관련 교육 기관들에게도 여러 가지 시사를 줄 수 있을 것이다. 부록으로 중국 대
    학 내의 고고?박물관학 전공 교과 과목을 실어 놓았다.

    영어초록

    The Chinese museums, centering round the churches of cities in Chinese coastal area,
    have been established by western missionaries since the middle of 19th century. The first
    modern museum was built by Chang-Gun in 1905. Though the situation in China has been
    chaotic-which means ceaseless repetition of revolutions, military dictatorships and internal
    wars between democrats and communists, more and more museums were built nonetheless
    and the quality (as well as the number) of the museums increased dramatically after the
    foundation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Especially, after they reformed their political system and accepted the open-economy
    policy, the Chinese began to see their museums as parts of the important national
    enterprises and felt the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professional personnel who can
    manage the museums and research the archaeology. So several Chinese universities have set
    up the departments of archaeo-museology and successfully brought up the professional
    personnel for digging historical sites and managing museums. There are now fourteen
    universities in China which have the departments of archaeo-museology that contribute to
    cultivating the professionals in the related fields.
    In these days, the Chinese universities, however, are facing new challenges-most of which
    result from the lack of training expenses, the change of educational concepts, and
    restructuring of school management. And only 29 universities have the museums that are officially registered to the 'Professional Committee of Chinese High-school Museums,'
    though there are more than 50 museums since they began to found the university museums
    in 1949. Most of university museums in China reach no more than the level for displaying
    referential resources and do not open their doors except on some special occasions.
    Moreover, due to the difficulty of adopting membership system and charging admission fee
    (which can be effective ways to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expenses) and the increased
    number of historical museums in local areas, the university museums can not overpass their
    limitations to fulfill their functions in the right way.
    And it'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is ongoing situation in the Chinese university
    museums applies to that of Korean ones exactly in the same way. Based on this, it seems
    to be rational enough to assert that the university museums have to be set up in accordance
    with the foundational ideology of respective schools and their features. It also seems to be
    fair to say that those museums, by concentrating on managing and researching with the
    other professionals in the related fields of studies and aggressively developing new lectures
    & courses for studying local cultures, have to try hard to decrease their sizes but increase
    their effectiveness. They, moreover, have to employ the appropriate professionals who can
    manage their collection efficiently and exert themselves intensively to study the museology.
    They also need to make their efforts to manage their collection by using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More important thing than the all of the efforts mentioned above is, that they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ultural events of their schools and concentrate on the research &
    development of archeo-museology. It's also important that they have to play the role of
    cultural bridge between the masses and the professional scholars by displaying their
    conspicuous research achievements and conveying the basic knowledge of history to the
    public.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