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연수의 판소리 학습과 활동에 관하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12
40P 미리보기
김연수의 판소리 학습과 활동에 관하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37권
    · 저자명 : 최동현

    목차

    1. 머리말
    2. 김연수의 판소리 학습
    3. 김연수의 판소리 활동
    4.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본고에서는 김연수의 학력, 판소리 학습과 판소리 활동을 중심으로 새로운 사실들을 밝
    혀 정리하고자 하였다.
    그 동안 김연수가 서울로 유학하여 중동중학교를 졸업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김연
    수의 친구였던 노희상의 증언을 찾아냄으로써 이것이 사실이 아님을 밝혔다. 김연수가 한
    문 공부를 한 것은 맞으나 신식 교육을 받은 바는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그렇다면 14세(1920년)까지 9년 동안 한학을 공부한 다음 1935년 유성준으로부터 <수
    궁가>를 배우기까지의 15년 동안에 김연수는 무엇을 했을까? 1942년에 김연수가 만들어
    발매한 <아우를 생각코>라는 노래의 가사에는 김연수가 유성준에게 판소리를 배우기 전에
    이미 소리를 배우고 있었을 가능성이 암시되어 있다. 또 이경엽은 유성준으로부터 본격적
    인 판소리 수업을 받기 이전에 지방의 소리꾼에게 소리를 배웠다는 증언을 소개하기도 했
    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김연수는 유성준으로부터 본격적으로 판소리를 배우기 이전에 이
    미 지방의 소리꾼들로부터 판소리를 배웠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김연수는 본격적인 판소리 학습을 시작한 이래 유성준, 송만갑, 정정렬에게 배웠다고 하
    였으나, 정응민으로부터도 많은 부분을 배웠다. 김연수의 판소리 학습의 특징은 세세한 부
    분까지 판소리 전승형을 익히는 방식이 아니고 사설과 장단을 위주로 하여 대강의 뼈대를
    익히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것이 후에 김연수 판소리의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김연수는 배운 대로만 소리를 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의 소리나 신소설, 신재
    효 사설 등으로부터 많은 부분을 차용하여 새로 판소리를 짰다. 그래서 김연수의 판소리는
    이전의 판소리와는 전혀 다른 판소리가 되었다. 정정렬 같은 사람은 이를 ‘자작’이라고 하였다.
    김연수의 판소리 활동을 해방 전과 해방 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김연수의 해방 전 활
    동을 대표하는 것은 조선성악연구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김연수 자신은 1937년 조선성
    악연구회 직속의 <조선창극좌>의 대표를 맡았다고 했으나, 이는 실체가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그러나 1938년에는 ‘조선의 일류명창 여섯 분’이라고 일컬어지는 등 판소리계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었다. 해방 전부터 김연수는 일부 창극에 출연했을 뿐만 아니라 총 76면
    에 이르는 음반을 발매했으며, 수차례 방송에도 출연하여 활동하였다.
    해방 후에는 <김연수국악단>, <우리국악단> 등의 창극단체를 만들어 활동했는데, <김
    연수국악단>의 창단 공연 작품인 <장화홍련전>에서 김연수는 배좌수 역으로 이름을 널리
    알렸으며, 이어서 <단종과 사육신>도 큰 성공을 거두어 창극계의 중심 인물이 되었다. 김
    연수는 6.25 후 <우리국악단>을 창단하여 공연에 나섰으나 연이은 실패로 재기하지 못하
    고, 마침내 1956년 창극계 일선에서 물러나고 말았다. 창극계에서 물러난 김연수는 대한국
    악원장, 국립극극단장(현 국립창극단장)을 맡아 창극의 재건을 위해 노력했다. 1964년 최초
    로 판소리 부문 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가 되었으며, 74년 3월 9일에 별세하였다. 김연수는
    생전에 판소리 사설집을 정리했는데, ??창본 춘향가??는 1967년에 ??창본 심청가 ? 흥보가 ? 수
    궁가 ? 적벽가??는 1974년에 출판되었다.
    김연수의 판소리 일생을 한 마디로 한다면 ‘창극과 함께 한 일생’이라고 할 수 있다. 김
    연수는 창극이 본궤도에 접어들기 시작한 1930년대 후반부터 창극에 관여하기 시작해서
    해방 후 창극의 전성기에 가장 인기 있는 창극인이 되었으며, 창극과 함께 판소리가 흥행예
    술로서의 생명을 다하게 되자 창극단을 떠났다. 그러나 그는 다시 대한국악원장을 거쳐 초
    대 국립국극단장이 되어 창극의 재건에 힘을 쏟았다. 김연수의 최후를 지킨 사람들의 증언
    을 들어보면 김연수는 끝까지 창극을 놓지 않았으며, 자신이 새로 짠 연극적인 판소리의 전
    승에 온 힘을 다하였다고 하였다.
    김연수의 업적에 대한 일부 부정적인 평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김연수 바디 판소리는
    그 뛰어난 전달력으로 인해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이제 우리나라 판소리의 양대 산맥 중의
    하나로 굳건하게 자리잡고 있는 김연수의 판소리는 김연수의 선택과 지향이 결코 무모한
    것이 아니라 시대를 앞서간 필연적인 선택이었음을 증명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aims of this study are investigating the new facts of academic
    background, pansori learning and pansori activity of Kim Yeon-su.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s.
    1) Kim Yeon-su have never attended Jungdong Middle School.
    2) Kim Yeon-su already had learned pansori from unknown country singer
    before he met Yu Seong-jun.
    3) Kim Yeon-su learned much from Jeong Eung-min.
    4) The characteristic of Kim Yeon-su's pansori learning is to learn the
    important structure instead of details. He created the details of his pansori.
    In that way, his pansori became unique.
    5) Kim Yeon-su worked in Joseonseongakyeonguhoe(The Society of Korean
    Traditional Vocal Music). He made an appearance in some changgeuk(pansori
    theatre) works and issued 76 sp pieces of pansori before 8.15 Liber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6) Kim Yeon-su organized pansori theatres such as Kim Yeon-su
    Kugakdan(Kim Yeon-su Pansori Theatre Company), Urigugakdan(Uri Pansori Theatre Company). He won a greate fame as the Baejwasu character in pansori
    theatre Janghwahongryeonjeon(The Story of Janghwa and Hongryeon). He
    was the first president of National Pansori Theatre Company of Korea.
    7) Kim Yeon-su wrote his whole pansori literature in two books.
    8) Kim Yeon-su wa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1964, at
    first time in Korea. He died in 1974.
    We can say that the lifetime of Kim Yeon-su is a life together with the
    changgeuk(pansori theatr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