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경과 앉은뱅이 서사의 불교적 의미와 구비문학적 수용 양상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12
32P 미리보기
소경과 앉은뱅이 서사의 불교적 의미와 구비문학적 수용 양상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37권
    · 저자명 : 신호림

    목차

    1. 서론
    2. 소경과 앉은뱅이 서사의 불교적 의미
    3. 구비문학적 수용 양상: 설화와 서사무가를 중심으로
    4. 결론
    참고문헌

    초록

    본고에서는 소경과 앉은뱅이 서사의 불교적 의미를 밝히고, 그 구비문학적 수용 양상을
    고찰하고자 했다. 소경과 앉은뱅이 서사란, 보지 못하는 소경이 걷지 못하는 앉은뱅이를 등
    에 업음으로써 신체적 결핍을 해소하는 모티프를 가진 일련의 서사물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다. 이 특수한 모티프는 다양한 문학 장르에서 발견되지만, 본고에서 주목한 대상은 소경
    과 앉은뱅이의 협력 이후 보시 행위와 부처의 감응을 통해 두 인물의 신체적 결핍이 완전
    히 해소되는 서사를 가진 작품군이라고 할 수 있다.
    서사 분석에 앞서 우선적으로 서사를 이끌어 나가는 두 결핍된 존재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경과 앉은뱅이는 여타의 장애인들과 마찬가지로 신체적 결핍을 가진 존재지만, 불교적
    비유로 활용되면서 업, 윤회, 인과율, 인연, 연기 등의 원리와 밀접한 연관을 맺게 된다. 그
    리고 ‘결핍-협력-획금-보시-결핍해소’의 순차적 구성을 가진 서사물로 정착하면서, 열반으로
    나아가는 ‘해탈의 구조’를 성립시켰다. 곧, 소경과 앉은뱅이 서사는 불교적 맥락에서 봤을
    때, 다양한 불교적 원리를 이야기에 내재시킴으로써 종교적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었던 것이다.
    불교적 원리를 담고 있는 소경과 앉은뱅이 서사는 우리나라 구비문학으로 수용되면서
    그 의미망이 변하게 되었다. 설화의 경우 ‘지성이면 감천이다’ 속담과 결합하면서 <지성이와 감천이> 유형을 생성시켰다. 전승과정에서 구연자가 구연상황이나 청중들에 따라 특정
    모티프를 생략하거나 추상적인 형태로 대체하면서, <지성이와 감천이>는 다양한 서사적 변
    개를 가지게 되었다. 특히, 불교적 맥락에서 멀어지면서 ‘협력’이 가지고 있는 윤리의식이
    강조되었고, 이를 통해 전국적인 전승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 것으로 보인다.
    서사무가의 경우, <숙영랑 ? 앵연랑 신가>와 <데석님 청배>, 그리고 <혼쉬굿>의 후반 서
    사에 소경과 앉은뱅이 서사가 수용되었다. 함경도 문화권의 서사무가에서는 필요에 의해서
    적극적으로 다른 작품들을 서사 안으로 견인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당시 구비전승되
    던 소경과 앉은뱅이 서사가 서사무가에 등장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서사무가
    에서는 소경과 앉은뱅이 서사에 나타나는 열반의 과정을 신의 좌정으로 단순히 대체하는
    모습을 보인다. 신격이 일치하지 않는 등 신으로의 좌정 과정이 서사적 개연성 없이 제시됨
    으로써 서술층위와 연행층위 사이의 괴리를 발생시키게 되었고, 결국 함경도 문화권 밖으
    로 전파될 수 있는 전승력을 상실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소경과 앉은뱅이 서사는 한반도로 불교가 유입된 이후 구비문학에 수용되면
    서 점차 불교적 맥락에서 이탈하기 시작했고, 이후 고전소설 <한후룡전>이나 현대소설 <잃
    어버린 도원>의 창작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소경과 앉은뱅이 서사의 장르적
    횡단을 구비문학의 영역뿐 아니라 문자로 정착된 소설 작품에서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문자로 정착된 이들 소설 작품들에 대한 세밀한 접근은 불교 서사가 구비문학
    으로 수용되면서 거쳤던 서사적 변개 및 의미망의 변화를 파악했을 때 가능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considering a buddhistic meaning of 'a blind
    person and a cripple' narrative and its aspects of acception to Korean oral
    literature. 'A blind person and a cripple' narrative can be defined as a series
    of stories with the motif that a blind person and a cripple resolve their physical
    lacks by cooperation. Specially, in this article, they overcome a situation of
    lack by giving alms and response from Buddha.
    In buddhistic context, a blind person and a cripple are not just one of the
    disabilities. They connect to buddhistic principle like karma, samsara, causal
    relationship, and so on as a literal metaphor. When it becomes one narrative
    with a sequential structure of 'lack-cooperation-getting gold-giving alms-resolving
    physical lack', it can be interpreted as a structure of nirvana.
    However, when it is accepted to Korean oral literature, a meaning of
    narrative becomes changed. For Korean folktales, buddhistic narrative is
    combined with a proverb ‘sincerity moves heaven’ and generates new type
    of folktale. Because of the narrator’s memory or narrate atmosphere, the
    specific motif is replaced or omitted. In folktales, the cooperation as a behavior of ethics is highlighted, so it is more and more far from the buddhistic context
    but establishes new way of transmission instead.
    For Korean mythical epic, 'a blind person and a cripple' narrative is also
    fined. The process of nirvana is changed to the way to be god who has ability
    to cure patients or make lands fertile. But because, in mythical epic, there
    is no probability in narrative to replace that process ?from nirvana to being
    god- the power of transmission becomes diminished and could not spread to
    entire region of Korea.
    In conclusion, 'a blind person and a cripple' narrative is occurred in the
    context of Buddhism, and changes itself when it crosses the genre of narrative
    literature. Now, we can seek for another 'a blind person and a cripple'
    narrative in other genre like Korean classic novel or modern one, and try to
    analyse it with diachronic and synchronic 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