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心經』「尊德性齋銘」장의 尊德性과 道問學에 대한 시비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12
26P 미리보기
『心經』「尊德性齋銘」장의 尊德性과 道問學에 대한  시비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13권
    · 저자명 : 송희준

    목차

    1. 서론
    2. ?존덕성재명?장의 구성과 程敏政의 의도
    3. ?心經後論?에서의 退溪의 입장
    4. 『心經釋疑』와 『心經講錄刊補』에 나타난 견해
    5. 결론
    참고문헌

    초록

    『심경(心經)』 마지막장인 ?존덕성재명(尊德性齋銘)?장을 두고 조선조
    성리학자들은 존덕성(尊德性) 공부와 도문학(道問學) 공부 중에서 어느
    것을 중시하였는가에 대하여 격렬하게 논쟁을 벌이게 된다. 진덕수(眞德
    秀)가 편찬한 『심경』에 주륙절충론(朱陸折衷論)과 주자만년정론(朱子晩年
    定論)을 주장한 정민정(程敏政)이 부주(附註)와 안(按)을 달아 『심경부주
    (心經附註)』를 편찬하면서 선학적(禪學的) 기미가 있는 것으로 만들었는
    데, ?존덕성재명?장에 그 경향이 더욱 심하다. 그는 ?존덕성재명?장을
    주자(朱子)가 초년에는 도문학을 강조하고, 중년에는 존덕성을 강조하고,
    만년에는 육상산(陸象山)과 절충하여 존덕성과 도문학의 균형을 강조하
    였다고 하면서 3단계로 나누었다. 그러나 이것은 정민정이 존덕성 공부
    를 강조하기 위하여 의도적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 『심경』에 대하여 본
    격적인 연구를 한 이황(李滉)은 정민정의 『심경부주』가 이런 선학적 성
    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적극 변호하여 사서삼경 못지 않게 중
    요한 책으로 만들어놓았다. 그러므로 이황은 존덕성 공부를 더 강조하였
    는데, 그가 만약 이 책이 선학의 기미가 있으므로 읽어서는 안 된다고
    선언하였다면 『심경부주』는 조선조 성리학자들의 관심에서 멀어져 자취
    를 감추게 되었을 지도 모른다. 조선조 심경주석서로 기호학파의 대표적
    인 송시열(宋時烈)의 『심경석의(心經釋疑)』는 존덕성보다는 도문학을 더
    중시하되 병진(竝進) 또는 병중(竝重)할 것을 강조하였고, 영남학파의 대
    표적인 김종덕(金宗德)의 『심경강록간보(心經講錄刊補)』에서는 도문학보
    다는 존덕성을 중시한 듯하면서 양자의 균형을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With respect to ?Jonduksungjaemyung尊德性齋銘?, the last chapter
    of 『Simkyung心經』, 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had
    a heated argument about which was more important, honoring the
    moral nature and following the path of study. While compiling 『
    Simkyungbuzu心經附註』 by adding detailed annotations and
    proposals to 『Simkyung』 compiled by Jin, Deok-soo眞德秀, Jeong,
    Min-jeong程敏政, who claimed Treatise on the Last Theory of Zhuxi
    朱子 and Zhuryukjeolchungron朱陸折衷論, made it Zen Buddhistic禪
    學的 and the trend is more severe in ?Jonduksungjaemyung? Chapter.
    He divided ?Jonduksungjaemyung? Chapter into three stages, saying
    that Zhuxi朱子 emphasized following the path of study in early years,
    emphasized honoring the moral nature in middle years and
    emphasized the balance between honoring the moral nature and
    following the path of study by compromising with Lu Xiang-shan陸象
    山 in later years. However, this is nothing more than a means of
    Jeong, Min-jeong程敏政 to emphasize following the path of study.
    Despite such Zen Buddhistic tendency of Jeong, Min-jeong’s 『
    Simkyungbuzu』, Yi Hwang李滉, who carried out full-scale research
    on 『Simkyung』, actively advocated this book and made it as important
    as Saseosamgyeong. Therefore, Yi Hwang placed more emphasis
    on the study of honoring the moral nature and if he had declared
    that Confucian scholars should not read this book because of its
    sign of Zen Buddhism, 『Simkyungbuzu』 would have been out of their
    interest and disappeared without a trace. 『Simkyungseokui心經釋疑』, which is the Simkyung commentary in the Joseon Dynasty and
    was written by Song, Si-yeol宋時烈, who is the representative of
    the Kiho School畿湖學派, emphasized using both things at the same
    time while more valuing following the path of study than honoring
    the moral nature and 『SimKyeongKangRokGanBo心經講錄刊補』 of
    Kim, Jong ?deok金宗德, the representative of Yeongnam School嶺南
    學派 emphasized the balance of the two while more valuing honoring
    the moral nature than following the path of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