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탄력성 연구 동향분석: 가정학 계열 학회지와 심리학회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2000∼2013)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12
19P 미리보기
국내 탄력성 연구 동향분석: 가정학 계열 학회지와 심리학회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2000∼2013)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 8권 / 2호
    · 저자명 : 이정숙, 박현숙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복잡한 사회 속에서 인간은 피할 수 없는 일상의 스트레스를 경험하면서 내적 및 외적갈등을 경험한다. 이런 일상 속에서 개인에게 필요한 문제 해결 능력과 적응력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런 관심은 어려운 상황을 효율적으로 다루고 긍정적인 성취와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인 ‘탄력성(resilience)’이 요구되어졌다(Masten & Coatsworth||| 1998). 이 탄력성의 개념은 일상의 사건부터 삶의 전환을 가져올 수 있는 심각한 스트레스나 역경을 극복하고 오히려 새로운 기회로 삼아 도전하여 자신을 발전시키는 능력이라고 설명하기도 하였다(Reivich & Shatte||| 2002). 따라서 다양한 개인 및 사회적 요구에 따라 탄력성에 대한 관심과연구가 꾸준하게 발전되어왔다. 간단히 살펴보면||| 우선 국외 연구는 국내보다 4-50년 전부터 탄력성 연구가 시작되었다. 초기 연구에서는 개인||| 가정 및 사회를 중심으로 탄력성을촉진시키는 보호요인과 위험 요인 등을 탐색하였다(Goldstein & Brooks||| 2009). 초기 연구를통해서 개인의 탄력성은 한 가지 위험요인이 아닌 여러 위험 요인이 누적되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를 극복하여 얼마나 긍정적인 결과를 얻고 지속하는지에 대한 인과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뤄졌다(홍은숙||| 2006). 이 시기에 이뤄진 종단연구를 통해 개인이 발달과정중에 직면하거나 직면될 위험 요인과 역경을 이기는 요인 모두 분별하고 예측할 수 있었다(Goldstein & Brooks||| 2009). 그 결과 탄력성을 높이는 개인적인 특징으로는 적응적이고 순한기질||| 높은 지적 능력||| 정서와 행동 조절과 문제해결 능력||| 높은 자아존중감||| 자신 및 자신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과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태도||| 스트레스 극복 능력||| 등을 구분하였다(홍은숙||| 2006; Daniel||| Wassell||| Campbell||| 2008a||| 2008b; Goldstein & Brooks||| 2009). 또한가족 및 부모와 관련하여 탄력성은 유대감 높은 부모 자녀관계와 형제관계||| 자녀교육에 대한 부모의 관심||| 좋은 경제적 상황과 고등교육을 받은 부모||| 부부의 결속력과 화합||| 가족구성원 간의 유대감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제시하였다(홍은숙||| 2006; Goldstein & Brooks|||2009). 그리고 탄력성을 높이는 지역 사회와의 특성으로 오염되지 않은 생활환경||| 안전한사회 분위기와 지원||| 효과적인 학교 교육에 대한 제반시설 등을 밝혀내었다(Daniel et al.|||2008a||| 2008b). 반면에 위험요인은 개인적인 특성과 관련하여 낮은 지적 기능||| 자신에 대한부정적이고 낮은 평가와 부정적인 믿음||| 매우 예민하고 까다로운 성격과 기질||| 학교 부적응과 학대 경험 등이 속한다(홍은숙||| 2006; Daniel et al.||| 2008a||| 2008b; Goldstein & Brooks|||2009). 가정 및 부모와 관련하여 부모의 정신병리||| 부적절한 양육방식||| 불안정한 부모-자녀관계||| 가족구성원 간 및 부부간의 갈등이 포함되었다(홍은숙||| 2006; Goldstein & Brooks|||2009). 탄력성을 낮추는 사회적 요인으로는 불안정한 사회적 분위기||| 의식주 제공이 원활하지 못한 사회적 지원 및 정신적 지원(예: 부모교육||| 자녀보육||| 직업교육||| 정신보건||| 주거 및교육서비스) 등이 있다(Goldstein & Brooks||| 2009).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of resilience to the future researches by analyzing a total of 65 in August 2013 from 2000 in the journal of home economics department and psychology. First, resilience studies began since 2001. In 2012, resilience researches was studied actively as an increasing trend. Second, subjects were studied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ults and parents, adulthood, teacher and speciality consultant and multi-cultural family in order, while relatively infants were few. Third, purpose of studies were individual protective factors and dangerous factors, factors related on parents and family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And subjects studied the most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ulthood and then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the subject for transnational marriage and families were interested picks up in these days because of the growing trend in Korea. Forth, the study researches of the sampling personnel were mainly more than ‘200 or 300 people’. The reason of this result was that many researches used questionnaire method. Fifth, measurements of resilience were used Block and Kremen(1996) scale, Klohnen(1996) scale and Block & Block(1980) scale in domestic research. They were translated into Korean. But scales for adult and family were used by reconstituting the established scales for components of resilience. So it needed to make resilience measurements for each age group. Sixth, this study was for the trend of resilience researches in domestic focus on the journal of home economics department and psychology. Through this results of study, it needed to be studied in various subjects and research field from youth to adult equally. And also methods was researched by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more than quantitative research such as questionnaire metho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