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언과 성리학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0.01
41P 미리보기
우언과 성리학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7권
    · 저자명 : 윤주필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정도전과 권근: 창의적 우언과 교학적 도상의 시작
    3. 조식과 이황: 직관적 혹은 학문적 우언·도상의 분화
    4. 김우옹과 임제: 철학담론으로서 우언 서사의 개척과 한계
    5. 마무리

    초록

    본고는 조선전기 철학담론으로서의 우언과 도상을 살피면서 우언과
    성리학의 관련성을 점검하였다. 여기서 철학담론이란 어떤 철학적 인식
    이 문학적 표현과 역사적 사실 속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를 지칭한다.
    정도전은 <謝魑魅文> <心問天答> <心氣理篇> 등의 해당 작품을 남
    겼다. 이것들은 작가의 사상적 결단, 사회적 불평등에 대처하는 인간의
    주체성과 책무, 불교의 심과 도교의 기에 대한 리의 포괄성과 근원성을
    환유하였다. 권근은 조선 신유학의 방향을 사회적 제도적 관심보다는 성
    리학적 수양론에 두고 입학도설 등을 통해 교학적 논설을 폈다. 특히
    <天人心性合一之圖>는 사람의 형상 속에 천명과 인심을 함께 배치하고
    마음의 여러 요소를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도상성이 돋보인다. 조식은
    <杏壇記> <陋巷記> <神明舍圖銘> 등에서 철학담론의 우언 글쓰기를
    시도하였다. 앞의 두 작품은 작가가 젊은 날 깨우쳤다는 이윤의 뜻과 안
    연의 배움을 환유한 것이다. 맨뒤의 것은 도상(圖像)과 명문(銘文)을 통
    해 마음을 ‘신명의 집’으로 환유하고, 깨어 있는 밝은 정신이 사람 몸의
    안팎에서 어떻게 유지되고 작용하는지를 우의적으로 표현했다. 이황은
    <천명도설>의 수정 작업을 통해 ‘공경함’이란 ‘성(性)’을 찾는 작업이며
    ‘정(情)’을 ‘성’에 의거해 견제하는 일로 나타내었다. 또한 학문적 논쟁을
    농부와 목수의 일에 비유하면서 자신의 학문 태도를 옹호하였다. 김우옹
    은 도상우언 <신명사도명>을 근거로 천군이 신명전에 즉위하여 나라를
    다스린다는 서사우언 <天君傳>을 지었다. 전체적으로는 경(敬)-성(誠)-
    의(義)의 수양론적 과정을 계기적 사건으로 묘사하였지만, ‘게으름’과 ‘오
    만함’을 반란의 괴수로 의인화하고 ‘양심’과 ‘뜻’을 외로운 충신과 용맹스
    러운 장수의 보조인물로 추가하였다. 임제는 <愁城誌>를 통해 <천군
    전>을 계승하면서도 단순한 수양론의 수준을 넘어서 모순된 역사와 강
    개한 정서를 환유함으로써 심각한 문제의식을 제기하였다. 사람의 감정
    이 나름대로 정당함을 인정하면서도 ‘삶의 의지’[生意]라는 주체적 역사
    관을 도출하면서 우언 소설의 새 영역을 개척했다.
    조선전기에서 우언의 철학담론은 두 부류의 전통을 지니고 전개되었
    다. 실천적 경향이 강한 철학자들에게 해당 작품이 많았던 비해 이론적
    철학자들에게는 퍽 적었다. 전자는 우언글쓰기를 적극적으로 구사하여
    창의와 직관적 사유를 나타내며, 주체적 심리 수양론과 실천적 역사 의
    식을 환유하였다. 또 기꺼이 앞선 시대의 우언작품을 반의 모방하고 우
    언소설과 같은 새로운 양식을 개척하는 등의 적극성을 보였다. 이에 비
    해 후자는 성리설의 교학적 도구로서 활용하거나 논쟁적 학문태도를 옹
    호하는 데 활용하는 정도에 머물러서 보수적인 경향을 드러냈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I checked a connetion between allegory and
    Neo-Confucianism, while researched several allegorical works and
    iconographies as a philosopical discourse in former period of Choson
    Dynasty. Here so-called 'philosopical discourse' indicates the texts that a
    philosopical knowledge is included in literary expression and historical
    facts.
    Joeng, Do-jeon leaved several relevant works of <Essay on thanks the
    ghosts> <Mind asks and Heaven replies> <Piecies of mind, universal
    spirit, and reason> etc. These metonomized the author's ideological
    determination, human identity and duty through which one can meet
    social unfairness, and comprehension and rootedness of Confucianism's
    reason against Buddism's mind and Taoism's universal spirit.
    Kwon-Geon made 《Introdution to Neo-confucianism's study with the
    charts & explainations》, through which he was concerned in the theory
    of mind's cultivation than in the sytem of society. Cho-Sik allegorically
    wrote or drew the philosopical discourse in his works of <A narrative
    on the platform surrounded with apricot trees> <A narrative on an
    humble alley> <A iconography & inscrived aphorisms of holy spirit's
    dwelling>. The two ones of the former is to metonomize Yi-Yoon(伊尹)'s
    dream and An-Yeon(顔淵)'s study which the author has perceived in his
    youth. The last one of the latter is to metonomize the mind as a holy
    spirit's dwelling through a icongraphy & inscrived aphorisms, to
    represent allegorically how awoken bright mind maintains and functions
    in or out of our body. Lee-Hwang modified <A Chart & expalnation on
    Heaven's misson>, in which he understanded devotion as the process of
    seeking the original nature, checking the emotion by it. Also he
    defended his own controversy attitude of study while used a metaphor
    to compare the dipute of scholar as the job of a farmer or carpenter.
    Kim, Woo-ong wrote <A Biography of Heaven's King> as a allegory of
    narrative, which based on <A iconography & inscrived aphorisms of
    holy spirit's dwelling> as his master's allegory of icongraphy. Lim-Se
    wrote <Recording on a castle of worry> also as a allegory of narrative,
    which suceeded to Kim's work but raised the common level of mind's
    cultivation through the metonomy of controdictory history and lamented
    emotion.
    There are two sorts of tradition suceeded in the philosopical discourse
    of allegory in the former period of Choson Dynasty. The practical
    philosopers had many appropriate works, but the theoritical ones had a
    few. The former were keen on allegorical writing through which they
    exercised their ingenuity, represented the intutive thinking, and
    menotomized the initiative cultivation of mind and active understanding
    of history. Also they developed positively new style of allegory, while
    were willing to parody after the classical allegories. In comparision with
    it, the latter showed their conservative tendencies towards which they
    used the works merely as a instruction of mind's cultivation or a
    defense of controversy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