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경새재아리랑의 영남아리랑사적 고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6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09
62P 미리보기
문경새재아리랑의 영남아리랑사적 고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문헌학회
    · 수록지 정보 : 음악문헌학 / 4권
    · 저자명 : 배경숙

    목차

    1. 머리말
    2. 영남전래민요집 조사 아리랑
    3. 문경새재아리랑의 문화적 현상
    4. 영남권 아리랑과의 관계
    5. 맺음말ː문경새재아리랑의 위상
    영남전래민요집의 ‘아리랑’ 조사 원본

    초록

    풍류란 이재욱은 1931년 졸업논문 “영남민요연구”로 경성제국대학 법
    문학부조선어문학과를 제3회로졸업한, 제도적으로는최초의 민요전공
    자이다.1) 또한 1929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주관의 전국민요조사 때
    의 과학적 조사방법을 적용해 1930년 영남 30개 군의 민요를 조사하여
    영남전래민요집을 남겼다.
    이 자료집을 통해 민속적 전승체가 대체로 유지되었던 1920년대의 대
    표적인 영남의 민요와 아리랑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즉, 곡명이나 후렴
    에서 ‘아르랑’, ‘어러렁’, ‘어리랑’, ‘아랑렁’ 등으로 나타나고 있어 1930년
    전후에는 ‘아리랑’으로의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1930년에도<정선진아랑렁이>을수록하여곡명에‘정선’의지
    역명을 특화하여 사용하였고, 진’(긴)과 ‘자진’으로 구분하여 불렸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문경새재아리랑>의 경우, 영남지역의 논농사 일노래로도 수용
    되어 불렸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영남 지역의 아리랑 상황 뿐 아니라
    동시대 아리랑 전체의 상황에서도 의미가 있는 논점인 것이다.
    본 논문은 영남지역 아리랑의 위상을 확인하고자 심층적으로 학술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최초의 아리랑악보인 1896년 헐버트
    가 채보한 ‘아라렁’(Ararung)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진도아리랑>
    등에도 영향을 주므로 근대아리랑의 시작이 <문경새재아리랑>부터 임
    을 확인 했다.
    특히 <문경새재아리랑>의 형성시기와 배경, 그리고 동시대 다른 아
    리랑과의 관계 등을 통해 민요사적 가치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는 근대아리랑의 출발점인 <문경새재아리랑>의 민요사적
    의미와 위상을 학문적으로 접근하여 우리나라 아리랑 역사에 미친 영향
    을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영어초록

    Lee Jae-Uk is the first Korean folksongs-majored student in official
    administrative system. He was the third graduate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studying Chosun linguistics major, law department. He
    wrote <Yeongnam Traditional folksongs Collection> by using
    scientific survey method during National folksongs Survey held by
    law department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in 1929.
    Thanks to this book, Yeongnam folksongs and Arirang, the
    representatives of 1920s when the ethnic antiquities were mostly
    reserved, could be studied. Its title and chorus varied as ‘Arrang,’
    ‘Ururung,’ ‘Urirang,’ ‘Arangrung,’ etc., which indicates that it was not
    unified to ‘Arirang’ yet in 1930.
    Jeongsunjin Arangrung added in 1930 revealed the specific place
    name 'Jeongsun' in the title of song. Also, Munkyeongsaejae Arirang
    showed that it was sung during rice farming in Munkyeong area. It is
    very meaningful not only in studying the state of Yeongnam area
    Arirang but also the entire contemporary Arirang.
    This paper attempted to confirm an academic reputation of
    Yeongnam area Arirang in depth. In the process, it was found that
    Munkyeongsaejae Arirang affected directly to Ararung written on
    sheet music by Hulbert in 1896, the first sheet music of Arirang, and
    consequently influenced to JIndo Arirang as well. The fact confirms
    that Munkyeongsaejae Arirang was the start of modern Arirangs.
    Particularly, this study was focused on highlighting its value
    through the composition time, background and relations with other
    Arirangs at that time.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effect of Munkyeongsaejae
    Arirang which is starting-point of morden Arirang on history of
    Arirang approaching academically the meaning and reputation of
    Munkyeongsaejae Arirang in folksongs history through .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최신 정보를 반영하고 있어 믿을 수 있습니다. 특히, 각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 덕분에 복잡한 개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에게도 강력히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음악문헌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