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자전적 스토리텔링 연극프로그램 개발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2.01
43P 미리보기
자전적 스토리텔링 연극프로그램 개발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연극예술치료연구 / 2권
    · 저자명 : 이두성

    목차

    Ⅰ. 서론
    Ⅱ. 스토리텔링의 의미와 기능
    Ⅲ. 자전적 스토리텔링 연극 프로그램
    Ⅳ. 결론

    초록

    이 논문은 연극놀이와 교육연극, 그리고 연극치료와 무용치료, 심리치료
    등의 다양한 분야의 이론과 실천사례를 국내현장에서 각 대상자들에 맞게
    적용, 변형, 발전시켜온 것으로서, 연구자 스스로가 체험한 실천과정 및 성
    과에 대한 귀납적 탐구이다.
    ‘스토리텔링’은 인간의 원초적 예술형태로서 본 프로그램에 보편성을 부
    여하며, 실제적으로 연극을 만드는 과정을 주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토
    리텔링은 <자전적 스토리텔링 연극 프로그램>의 주요 모티프로서, 그 기
    능을 경험한 세계와의 만남을 통한 ① 자기(self)인식 기능, 가능성의 세계를
    탐구하는 ② 창의적 표현 기능, 공감공동체를 향한 ③ 대안적 세계의 창조
    경험으로 세분하여 연구하였다.
    <자전적 스토리텔링 연극 프로그램>의 실천 프로그램은 1) ‘손잡고 말하
    기’, 2) ‘몸의 상처 말하기’, 3) ‘이미지 자료 이용해서 말하기’를 제시하였다.
    1) ‘손잡고 말하기’는 ‘스토리텔링의 자기인식 기능’에 도움이 되는 놀이
    훈련으로 자기소개 이야기와 몸짓놀이를 통합해서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2) ‘몸의 상처 말하기’는 무용/동작치료 워크숍 중 자신의 몸을 민감하게
    만진 후 자신을 표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본으로 하고, 이 방법을 ‘몸의 상처
    말하기’로 변형하여 개발하였다. 이 활동은 서로 간에 라포(rapport)를 증진
    시키고 자신을 통합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였다.
    3) ‘이미지 자료 이용해서 말하기’는 연극놀이에서 상상과 표현을 확장하
    는 활동으로 사용되고 있는 ‘흰 종이로 표현하는 나’의 프로그램을 공연 형
    식으로 발전시키며 개발한 것이다. 필자는 그간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종
    이 뿐 아니라 자신을 닮은 물체, 천, 풍선, 가면, 찰흙 등으로 확장하여 여
    러 가지 변형을 모색하고 있기 때문에 ‘이미지 자료’라는 용어로 범주화 하
    였다.
    본 논고는 자전적 스토리텔링을 통해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상처를 치유
    하는 예술체험으로서의 연극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이다. 그리하여 참여자
    들이 스스로 문화 창조의 주체가 되고 자신의 개성을 재발견하며, 나아가
    타자와의 공감대를 형성하여 공동체의 문화를 창조하는 가능성 및 방향성
    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연구자 자신의 활동 경험을 토대로 하고 있기에 한계를 가질 수
    있으나, 후대의 배우나 공연예술교육 전문강사가 자신의 활동을 연구, 실천
    하는 데에 하나의 실례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일반인을 위한 연극
    만들기를 연구하는 또 다른 이들에게 좋은 참고 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영어초록

    This dissertation researches the creative theater process for the general
    public, focusing on the effectiveness of autobiographical storytelling program
    (henceforth Life Storytelling Program in Theater). Life Storytelling Program
    curriculum uses one's own life story to create a play featuring oneself as the
    main character. Performances such as these are meaningful in that they are
    unique and participatory.
    This research originated from my own experiences as an actor and a
    Teaching Artist (TA). More specifically, my choice to become an actor to put
    myself in the limelight became the backbone for this program that seeks to
    place ordinary people, who lead their lives without self-awareness,
    center-stage as well.
    This theater program, which began from my own experiences, applied,
    modified, and improved theories and practices of various fields. The main
    object of this research is the methodology of the program. This includes the
    participants’ sharing of their own life stories, creating performances using
    these stories and performing these stories in front of an audience.
    Before I discuss the methodology of the program, I explore the meaning of
    “storytelling” that is the backbone of the program, focusing on theory and
    case studies.
    I discuss the methodology. I proceed in the order of 1) storytelling of hand
    in hand, 2) storytelling of the wound on the body, and 3) storytelling of using
    image materials. This is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performance in the
    program, with each step entitled, respectively, “Sharing Life Storytelling
    Performance: Self-Awareness,” “Making Life Storytelling Performance:
    Creative Expressions,” and “Performing Life Storytelling Performance:
    Experiencing Empathetic Community.”
    In “Life Storytelling Performance” participants introduce their own
    Experiential World and form a rapport with other participants by sharing
    their life stories. The key part of this process is spontaneity.
    Being based on the researcher’s own experiences can be a limiting factor to
    this research. But I believe that this dissertation can be a good case study for
    Teaching Artists. In addition, I am convinced that this can be a good
    reference to those researching participatory theater for the general public.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극예술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