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화의 ‘짝패(double)’ 인물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1.12
32P 미리보기
설화의 ‘짝패(double)’ 인물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33호
    · 저자명 : 이강엽

    목차


    1. 서론
    2. ‘짝패’의 개념과 설화
    3. 설화 속 짝패 인물의 양상
    4. 설화에 나타난 짝패 인물의 의미
    5. 마무리
    참고문헌

    초록

    이 논문은 설화에서 짝패로 등장하는 두 인물이 벌이는 이야기들을 통해 짝패 인물의 양상과 의미에 대해 살폈다.
    첫째, 짝패의 개념을 살피고 설화에서 어떻게 드러날지 개괄했다. 짝패란 본래 둘이 함께 있어야 전체성을 지니게 되어 있는 존재가 둘로 분화하여 나타나서, 궁극적으로는 다시 그 잃어버린 전체성을 추구하는 한 쌍의 인물로, 통상 형제간처럼 불가분의 관계에서 잘 드러난다. <천지왕본풀이>, <오뉘 힘내기>, 현우형제담(賢愚兄弟譚)의 세 작품을 택하는데 이들은 차례로 신화, 전설, 민담에 속하며, 그 대립하는 인물이 쌍둥이, 남매, 형제로 다양하게 드러난다.
    둘째, 설화 속 짝패 인물의 양상에 대해 살폈다. <천지왕본풀이>의 ‘대별왕/소별왕’의 짝은 그 근원에서 볼 때 ‘천지왕/수명’의 ‘선/악’ 구도와 ‘천지왕/서수암’의 ‘존귀/미천(尊貴/微賤)’ 구도를 함께 갖는 짝패로 정리될 수 있다. <오뉘 힘내기>는 그 근원에서 천부신과 지모신, 남성성과 여성성의 맞대결 양상을 띠며, 어느 한쪽의 승리가 새로운 질서를 이끌어내기는커녕 도리어 엄청난 파탄을 몰고 온다. 현우형제담(賢愚兄弟譚)의 형제가 보인 두 가지 재능은 상보적이어서, 어느 한쪽이 없으면 나머지 한쪽도 제대로 존립할 수 없는 것으로, 결국 어머니를 되살리는 기적을 이루어낸다.
    셋째, 설화에 나타난 짝패 인물의 의미에 대해, 대결의 근원, 과업, 귀결이라는 세 측면에서 살폈다. 그 근원에서 본다면 <천지왕본풀이>가 천부(天父)와 지모(地母)의 꼴을 갖춘 신성혼의 형태라면, 나머지 두 작품은 홀어머니만이 등장하는 결핍된 상황을 보인다. 각 작품의 짝패 인물이 벌이는 과업은 각기 ‘수수께끼 / 꽃 피우기’, ‘서울 다녀오기 / 성 쌓기’, ‘처방전 내기 / 약 구하기’로 각각 남성성과 여성성을 상징하는 내용을 채워진다. 대결의 귀결은 <천지왕본풀이>가 각각의 과업에 따라 제 세상을 차지한다면, <오뉘 힘내기>는 여성성이 승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머니에 의해 패배하여 죽음을 맞지만, 현우형제담(賢愚兄弟譚)은 여성성이 승리하지만 남성성과의 보완적 관계에 의해 본래의 목적인 치병(治病)을 달성한다.
    결론적으로 짝패가 등장하는 설화는 서로 같은 근원에서 출발한 두 인물을 짝패로 배치하여 차별성을 드러냄으로써 역설적으로 그 둘이 한데 어우러진 온전한 삶을 추구하는 이야기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took a look at the aspects and meaning of the characters acting as partners through the story created by the two characters appearing as partners in traditional stories.
    First, this paper took a brief look at the concept of partners and summarized how they would be exposed in a folk tale. Partners are the beings who assume their allness basically when two of them are together, but they appear as divided into two, and thus ultimately a couple of characters in pursuit of their lost allness are clearly exposed like the siblings in an inseparable relation. This paper selected three works including Cheonjiwangbonpuri, Onwihimnaegi and Hyeonwuhyeongjedam which belong to a myth, legend, and folktale respectively in which confronting characters are diversely revealed to be twins, brother & sister and brothers.
    Second, this paper took a look at the aspect of the characters acting as partners in traditional stories. The partners-daebyeolwang/sobyeolwangappearing in Cheonjiwangbonpuri, from the viewpoint of its origin, can be wrapped up as ‘good/evil composition’ between ‘Cheonjiwang and Sumyeong’, and ‘nobility/lowliness composition’ between ‘Cheonjiwang and Seosuamm.’ Onwihimnaegi takes on an aspect of a head-to-head showdown between Cheonbushin and Jimoshin, and masculinity and feminity in its origin, but the one party victory ultimately leads to an enormous collapse far from inducing a new order. The two talents shown by two brothers in
    Hyeonwuhyeongjedam are complementary, so without one party, the other party cannot properly exist independently, finally doing miracles on their dying mother’s resuscitation.
    Third, concerning the meaning of the characters acting as partners appearing in traditional stories, this paper took a look at it from the three aspects of the cause of a showdown, task, and conclus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cause, the Cheonjiwangbonpuri shows a sacred marriage with the look of ‘Cheobu’ and ‘Jimo’ while the remaining two works show a deficient situation where only a lone mother appears. The task carried out by the characters acting as partners includes ‘riddle/ flowering’, ‘outing to Seoul/castle-building’, and ‘coming up with a prescription/ finding a medicine’ which are filled with the contents symbolic of masculinity and feminity respectively. In the conclusion of a showdown in the three works, the characters in Cheonjiwangbonpuri occupy their own world according to their own task while the sister and brother were defeated to death by their mother in spite of the high probability of feminity’s victory in Onwihimnaegi. In contrast, feminity wins the victory but two brothers managed to achieve their initial goal- curing their mother of a disease by virtue of complementary relations with masculinity in Hyeonwuhyeongjedam.
    Conclusively, the traditional stories featuring partners are composed of the contents featuring two characters paradoxically going all out for harmoniously whole life by exposing two characters’ differentiation through the placement of the two characters, who started from the same origin with each other, as partner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