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전국가 시기 작업장의 시간정치 : 노동시간 및 자유시간에 대한 분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10.07
25P 미리보기
발전국가 시기 작업장의 시간정치 : 노동시간 및 자유시간에 대한 분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여가학연구 / 8권 / 1호
    · 저자명 : 김영선

    목차

    Ⅰ. 서론: 장시간 노동문화, 모순 덩어리
    Ⅱ. 저임금-장시간 노동체제의 형성
    Ⅲ. 공장새마을운동과 시간규범의 생산
    Ⅳ. 통제적 시간정치
    Ⅴ. 결론: 국가발전을 위한 시간의 통제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87년 이전 저임금-장시간 노동체제라는 맥락 속에서 노동시간 및 노동으로부터 면제된 자유시간 영역인 휴가가 어떠한 의미를 가졌는지를 논의하려 한다. 이를 통해 공장새마을운동을 매개로 전파되었던 노동시간의 생산시간화 전략들이 자유시간 영역에 어떠한 양상으로 투영되었는지를 밝히려는 것이다. 노동시간 및 휴가의 의미재현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 텍스트들을 내용분석한다. 본 논문에 사용된 자료는 1970~80년대 모범근로자 수기 및 사례집 등에 나타난 텍스트들이다. 87년 이전 성장을 모토로 했던 발전국가의 논리는 제영역에 여과없이 관철되었다. 성장 위주의 발전모델을 강도높게 조직화했던 국가는 저임금체계를 유지하고 장시간 노동을 강제하는데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뿐만 아니라 노동윤리를 재주조하는 데에도 직접적이었다. 발전국가 시기 국가동원체제의 전형적 사례였던 공장새마을운동은 조국근대화라는 경제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동자들을 동원한 캠페인이자 노동자계급을 탈정치화한 정치적 도구였다. 공장새마을운동은 근면함이라는 새로운 의식과 태도를 주조해나갔다. 여기서의 근면은 국가와 기업이 요구하는 근면한 습관을 의미했다. 노동자들을 수출역군으로 치켜세우면서 한편으로는 노동자들의 인내심으로 포장된 발전․성장 논리를 공고화했다. 공장새마을운동의 논리는 작업장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었다. 노동으로부터 면제된 자유시간 영역인 휴가에도 예외는 아니었다. 발전과 성장에 부합하는 근면․자조․협동이외에 나머지 것들은 가차없이 통제․제거되어야 했다. ‘잠자는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자유시간, 여가시간, 가족시간 등은 생산을 위한 시간으로 전환되어야 했던 것이다. 심야업, 초야업, 휴가포기 등은 ‘조국이 요구하는 성실한 산업역군’에게 당연시되는 임무로 여겨졌다. 생산적인 노동시간이외에 다른 모든 시간은 부차적인 것으로 취급되었다. 이는 발전지상주의가 요구하는 합리적 인간, 즉 ‘산업역군’이 되는 과정들이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labor time and paid leave in the context of low wage-long hour labor regime before the 87 Labor Movement. This is to examine ways in which the strategies of 'Gongjang Saemaul Movement'(New Community Movement in Industry) designed to achieve labor time to become productive time were reflected in the notion of free time. In order to analyze more specifically the meaning structure of labor time and paid leave, the content structure of text will be examined. The data used in this paper are texts in what we called Exemplary Worker's notes and case book published between 1970s and 1980s. Its study results show that the logic of developmental state managed to force low wage and long hour and coerce into laborer into new labor ethics. 'Gongjang Saemaul Movement' was the embodiment of a developmental system, which was to mobilize laborers and depoliticalize working classes. 'Gongjang Saemaul Movement' moulded laborers into industrious workers. It means habit of industry corresponding with developmental state's interests. 'Gongjang Saemaul Movement' established the common political ideology of developmentalism and productivism. The logic of 'Gongjang Saemaul Movement' had taken place not only in production, workplace, and labor time, but much further in the realm of reproduction, extra-workplace space, and free time as well. In this context, the value of free time, leisure and family time should be excluded except productive labor time.

    Key Words : time politics, low wage-long hour labor regime, 'Gongjang Saemaul Movement' (New Community Movement in Industr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해당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