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종의 한글창제와 문화자본론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9.01
22P 미리보기
세종의 한글창제와 문화자본론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와예술 / 6권
    · 저자명 : 카이홍

    목차

    I. 序: 방법론적 문제 제기
    II. 왜 세종은 건국이념에 이단적인 길을 가려고 했나?
    III. 세종/문종프로젝트의 새로운 해석은 우리가 正史로 학교 교과에서 가
    르치던 세종 관련 역사적 사실들의 허구를 알 수 있다.

    초록

    우리는 이제 세종이 한글을 창제하고자 했던 노력 속에 담긴 개혁과 애민의 정신은 역사적 맥락 속에서 검토하여 구체적으로 생각해보아야 한다. 그리고 한글의 창제가 갖는 역사적인 의미와 잠재력을 정확하게 평가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세종의 시대로 돌아가 그의 개혁의지와 좌절의 역사를 똑바로 바라보도록 하자. 그저 찬양 일변도의 해석이 전부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As an exercise in Virtual History, I wish to ask the what-if question of what if Sejong and his heir Munjong were allowed to push their political program of ‘Universal Literacy’ for all Koreans of the 15thCentury? As Zizek points out in his chapter “The Future Anteiur in Art History”, such an exercise in Virtual History Writing can bring out new insights and longue duree historical
    perspectives on some historical event such as that surrounds Sejong’s unprecedented Language Project of the early 15th Century. Having laid the grounds for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technological conditions for Universal Literarcy for his Yi-Dynasty Korean subjects on the par with the similar stages that was arrived at by the Western Europeans with the invention of the first movable printing technology by Gutenberg, if he was allowed
    to carry on with his Universal Literacy Project, the subsequent world-historical development might have been different. There’ s no doubt that Sejong and Munjong fully intended to push for the Universal Literacy. Where’s the historical evidence? Ironically, the evidence is to be found in the content of Choi Manli’s letter of protest against Sejong and Munjong’s announce dintention to make Hangeul as the “Hun-Min-Jeong-Eum”, as THE RIGHT AND CORRECT WRITTEN LANGUAGE FOR HIS PEOPLE. That is tantamount to declaring it as the national(written) language. Choi Manli voiced his concern: “In that event, any average Korean people would be able to study the Canonical Texts of the Confucius and of the Neo Confucians ages like ChuHis in Korean translation without first studying the Chinese Writing System and
    take Civil Service Exams. The implication is clear: Choi’s main concern is the Empowerment of the ordinary Koreans with no Chinese Education through Universal Literacy on the bases of the
    knowledge of Hangeul alone. Was Choi going ahead of himself when in fact had no such intention? That is not plausible! Choi and his fellow Neo-confucian scholar-officials had good reasons for waging such a Protest-campaign against the Powers that be of Korean Kingdom then. This way of reading the historical events surrounding Hangeul project enable us to do an entirely different, alternative historical interpretation s of such subsequent major historical events as the Murder of Kim Jong seo, of the failed Coup plotted by the group of ‘Sa-Yook-Shin’ and the forceful dethronin g of Danjong. If asking one simple ‘What-If’ question harvests
    so many unexpected new historical insights and alternative interpretations, well then is this not proof enough that Virtual History, in its scenario analyses based upon alternatives and
    counterfactual a powerful tools of historical scholarship? Sejong, Gutenberg, alphabet, movable type-set, Cultural capital, universal literac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와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