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추사와 대원군의 묵란화(墨蘭畵)에 나타난 조형심리고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6.01
22P 미리보기
추사와 대원군의 묵란화(墨蘭畵)에 나타난 조형심리고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치료연구 / 13권 / 2호
    · 저자명 : 박완용

    목차

    Ⅰ. 서론
    Ⅱ. 묵란화의 역사적 고찰
    Ⅲ. 묵란화의 조형언어
    Ⅳ. 추사와 대원군의 묵란화에 나타난 조형심리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초록

    묵란화는 동양특유의 예술로서 사물의 묘사보다는 우리 선인들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한 그림으로 격한 감정을 해소하고 다양한 심리상태를 대변하는 소재로 널리 애용되었다.
    이것은 미술치료가 미술의 영역 중에서도 조형언어를 통한 외부세계의 묘사나 관심보다는 개인의 내면에서 나오는 이미지와 감성을 중시한다고 생각할 때 묵란화는 우리 조상들의 내면세계를 바라볼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소재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묵란화를 통하여 추사와 대원군은 각자 나름대로의 현실을 인식하는 인생관과 삶의 자세, 특히 극과 극을 달리하는 인생의 굴곡에 대한 심리적 외상을 솔직하게 표현하였다.
    따라서 본연구의 목적은 묵란화을 통한 그들의 조형언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삶에 대한 가치관과 다양한 심리상태, 심리적 외상에 대한 해소방법을 이해하는 데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조형언어의 비교분석은 형식과 내용으로 나누어볼 때 다음과 같았다.
    첫째, 묵란화에 나타난 선에 있어서 추사와 대원군은 차이를 나타낸다. 추사의 선이 담묵으로 허허러운 느낌을 주는 반면 대원군의 선은 농묵으로 격한 굵기의 변화를 주면서 날카로운 느낌을 주고 있다.
    둘째, 묵란화의 구도에 있어서 추사와 대원군은 차이를 나타낸다. 추사가 횡축의 안정감있는 구도를 선호한 반면 대원군은 종축의 수직선을 강조함으로써 긴장감과 격한 느낌을 표현하고 있다.
    셋째, 묵란화를 그리는 화법에 있어서 추사와 대원군은 차이가 있다. 추사가 예서를 화법의 근원으로 두는 반면 대원군은 붓을 세워 길게 삐치는 초서의 장별법에 그 근원을 두고 있다.
    넷째, 추사와 대원군은 삶의 자세에서 차이가 있다. 추사가 제주도 유배 후, 인생의 허망함과 무상함을 느끼고 삶을 조용히 관조하면서 살고자 한 반면에 대원군은 정치적 실패가 반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생을 마감할 때까지 재집권을 위해 재기의 야심을 버리지 않았고 그런 심리상태를 묵란화로 표출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Oriental paintings of orchids or Ink Orchids are unique to oriental arts, in that the painters do
    not depict the plants' literal looks, but rather describe their own thoughts and sentiments not
    only to alleviate strong emotions, but to express various states of human psychology.
    As art therapy emphasizes through a formative language more on one's inner images
    and emotions than on one's interests or depiction of the outer world, Ink Orchids must be
    the most appropriate materials through which we can approach the inner worlds of our
    ancestors.
    With Ink Orchids, Choosa and Daewongun showed their own philosophies or attitudes
    of life as to the stern realities and, especially, their traumatic feelings toward crookedness
    of their life cours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both
    persons' formative languages appeared on their Ink Orchid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philosophies of life, various states of their psychology, and how they dissolved their
    traumas.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two formative languages ended up with the
    following results in form and content.
    Frist, the lines or strokes in Ink Orchids of Choosa and Daewongun show some
    difference. Choosa's lines with light ink strokes display the feeling of empty and
    untightened mind, whereas the lines with dark ink of Daewongun exhibit poignancy through
    various changes in line thickness.
    Second, there is difference in composition of their drawings. Choosa chooses a stable
    composition achieved by horizontal axis, while Dawongun favors a vertical axis to express
    tension and strong sentiments.
    Third, the drawing methods they employed in their Ink Orchids are also different.
    Choosa's drawing methods are based on ornamental characters, but Daewongun's methods
    are based on cursive style with long downward strokes of the brush.
    Fourth, Their attitudes of life do show some difference as well. Choosa wanted to lead
    a quiet and contemplative life after realizing our life's emptiness and transience during his
    exile. Dawewongun, on the other hand, was tenacious until the time of his death in
    pursuing the political power ceaselessly even after many failures. These different life
    attitudes of the two men are easily detectable in the difference of their Ink Orchids.
    Key Words: Formative Psychology, Ink Orchids, Symbolism, Thought-Depicting Expre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덕분에 과제 제출 기한을 맞출 수 있어 정말 감사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