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도 ‘송당(松堂) 신화축제’의 의의와 계승의 필요성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7.01
41P 미리보기
제주도 ‘송당(松堂) 신화축제’의 의의와 계승의 필요성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24호
    · 저자명 : 이수자

    목차

    1. 머리말
    2. 제주도 지역축제의 현황과 특징
    3. 송당 신화축제의 성격과 의의
    4. 송당 신화축제 계승의 필요성과 그 방향
    5. 맺음말

    초록

    오랜 세월을 거쳐 형성되어 온 구비문학 자료들은 매우 중요한 문화원천 자료로서 관심을 끌고 있다. 이들은 이른바 현대의 문화산업의 원천소스로서 이제 그 가치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2004년도에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구좌읍 송당리에서 열렸던 <송당 신화축제>는 바로 이처럼 오랜 세월에 걸쳐 구비전승되어왔던 송당본풀이라는 신화를 근거로 만들어졌던 현대적인 축제였다. 그러나 이 축제는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에서 다만 일회만 개최되고 중단되고 말았다. 이 글은 이러한 송당 신화축제가 가지고 있는 의의를 살펴보고, 이것이 앞으로도 계속하여 개최될 필요가 있음을 고찰한 글이다.
    송당본풀이는 송당(松堂里)의 당굿에서 구송되고 있는 신화로 이 마을을 지켜주는 (금)백주할망이라는 여신에 관한 신화이다. 소천국이라는 남신과 백주할망이라는 여신은 아들 18명, 딸28명을 낳았으며, 손주가 78명, 일가친족이 378명이나 되었다. 나중에 백주할망은 송당, 소천국은 알송당(아래 송당)의 당신이 되고, 맏아들은 한라산의 산신이 되었으며, 나머지 자식들도 각기 제주도에 있는 광양당, 내왓당 등 유명한 당의 당신들이 된다. 따라서 송당본풀이에 근거하면, 송당이라는 지역은 제주도에 있는 마을신들의 본향, 즉 뿌리가 되는 곳이라 할 수 있다. 그러기에 송당지역에서 열렸던 축제의 이름도 ‘불휘공(뿌리공) 송당마을 신화축제’ 였다.
    송당 신화축제는 신화 내용을 근거로 하면, 최소한 제주도 마을 8〜18개 마을을 아우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다산의 여신 및 육지, 바다, 한라산을 통틀어 관리·지배할 수 있는 남성 영웅신을 캐릭터화 할 수도 있다. 또한 꿩고기, 노루 및 사슴고기, 말고기 등 송당, 혹은 제주 특산물을 이용한 먹거리 문화를 개발·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신화박물관 및 신화공원을 건립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송당 주변에는 제주도의 중산간 풍경, 황량한 벌판, 아름다운 오름들 및 비자림과 같은 훌륭한 경관이 있다. 따라서 이 모든 요건을 중시하면 송당 신화축제는 축제로서 성공할 가능성도 있다. 여타의 지역에 비해 북제주군은 축제가 별로 많지 않고, 또한 제주도 전 지역을 통해 볼 때 음력 7월 15일 백중을 즈음하여 열리는 축제도 없다. 그리고 신화를 바탕으로 형성된 축제도 없다. 이런 점에서 북제주군에서는 이와 같은 축제를 지원하고 활성화시켜 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한다.
    모든 축제의 성공은 시간과 연륜을 필요로 한다. 개최 처음부터 성공을 기대하는 것은 갓난아기에게 뛰어가라고 요구하는 것과 같다. 송당신화축제는 무한한 잠재력을 갖고 있기에 앞으로 보다 알찬 축제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개발할 필요가 있다. 흔히 제주도는 신들의 고향이며 본향이라 하고 있는데, 이런 점에서도 여기에는 이와 같이 신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신화축제가 하나쯤은 존재할 의의와 가치가 있다.

    영어초록

    The materials of folklore literature, being formed throughout a long time, has been recognized to be a great value as a source for today's culture industry. People began to acknowledge its value as an asset in today's culture business.
    In 2004, Jeju Island organized the 1st Festival of the Myth of Songdang(pine tree shrine), based on the Songdang-bonpuri(the myth of the origin of Songdang), which was handed down orally over hundreds of years. But this festival was outlived since then because it did not meet the expectations in terms of economic productivity. This work is aimed at awakening public attention by looking into its meaning and the importance so that the festival is worth to be held regularly in the future.

    Songdang-bonpuri is a myth on the Goddess called Kumbaikju, the guardian of the village of Songdangri, which has been transmitted orally throughout the shaman rituals. A God Sochunguk and a Goddess Kumbaikju had 8(18) sons, 8(28) daughters, 78 grand-children and 378 relatives. Later, Kumbaikju became the goddess of Songdang; Sochunguk, the god of Al-Songdang (down the area of Songdang); the eldest son, the god of Mt. Halla and the rest of the children became the gods of well-known shrines in Jeju Island such as Kwangyangdang, Nehwadang. The area Songdang, according to Songdang-bonpuri, is a birth place or somewhat like a root of guardians of villages in Jeju Island. This explains why the festival was named The Purigong(the meaning of the root of gods)-the Festival of the Myth of Songdang.

    As far as the myth of Songdang is concerned, the festival has an advantage of embracing 8-18 villages. There is also a strong possibility of a character business with the myth of the Goddess of Fertility and the heroic God who rules over the land, sea, Mt. Halla. And the festival can be a driving force to set up a Museum of Mythology and a Mythology Theme Park. On top of all these benefits, new cuisine with specialties of Jeju Island such as pheasant, venison, horse-meat will be an asset to attract tourists. The region of Songdang boasts magnificent landscape like mountainous scenery, wilderness, highly acclaimed Orum and a forest path. Putting all these facts together, it is more than likely the festival of Songdang myth will be a success. There are not only less festivals in the district of North-Jeju than in other regions but also nothing around Baikjung in mid July by the lunar calendar. Moreover, no festival is based on mythology. The district of North-Jeju, therefore, needs to support and revitalize festivals for publicity of Jeju Island and regional economy.

    Success of all festivals relies heavily upon time and experience. Expecting a success in the first attempt is somewhat like forcing a baby to run. The festival of Songdang myth is worthy of more attention and support to make the most of it since it has a great potential. Jeju Island is often called a birth place of gods and goddess and it is about time to have at least one festival based on a myth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