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카구라와 공동체문화 : 중국지방을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5.01
30P 미리보기
카구라와 공동체문화 : 중국지방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20호
    · 저자명 : 윤광봉

    목차

    1. 서언
    2. 공동체 문화와 일본
    3. 중국 지방의 환경과 예능
    4. 공동체 예능으로서의 카구라
    5. 결언

    초록

    신사를 중심으로 제를 올리고 따로 신을 위해 거행되는 카구라는 중국 지역 사람들이 가장 즐기면서 기다리는 축제이다. 본 연구는 일본의 중국지방 특히 히로시마현과 시마네현의 카구라 현황을 살피고, 이들이 어떠한 공동체를 이루고 어떻게 카구라를 계승 발전시키고 있는가를 살핀 것이다.
    근대화 과정에서 일본은 국민들을 국가적 집단주의로 몰아 넣고 군국주의적 전체주의로 이끌었다. 이러한 현상은 전후 과거의 반성과 함께 시민사회와 양립하는 새로운 공동체론을 대두시켰다. 일본에서 공동체라는 말은 50년대에 대단히 유행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의 대표자가 오오츠카 히사오이다. 당시의 공동체란 농촌공동체를 연상시켰는데, 이것은 근대화 이전의 농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는 규율이 엄격해 개인적으로 행동을 자제할 수밖에 없는 역사적으로 보면 낡은 개념이었다. 60년대에 농촌출신자가 도시로 진입하면서 농촌적인 가치관이 국민문화를 대표하는 상황이 되었다. 그 뒤 고도성장기를 맞아 전국 규모의 산업구조의 변화와 대도시권의 인구 이동에 의해 일본의 촌락 사회는 한결같이 초고령화하고 전통적인 생활 양식도 눈에 띠게 변화되었다. 그러함에도 각 지방에는 그 지방 전통이 나름대로 보존 계승되었다. 그것은 그 지역만이 갖는 특수한 공동체문화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동체 문화는 하나 아닌 많은 사람들이 소유하며, 개인은 물론 서로의 안전과 마을 전체의 안녕을 빌기 위해 만들어진 문화이다. 카구라는 바로 이러한 요소를 갖춘 공동체 문화라 할 수 있다.
    중국지방이란 히로시마를 비롯한 오카야마, 야마구치, 시마네, 도토리현을 이른다. 중국지방은 산간지역이 주를 이루고 있다. 신앙에 의지하면서 사는 이 지역 사람들은 이 카구라가 그들 의식에 있어 없어서는 안될 오락이다. 이러한 사고가 지금까지 그대로 살아 있어 수백개의 카구라 집단을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히로시마와 시마네의 가을 마츠리는 대단히 화려하다. 이 지역에서는 산중의 마을들이 하나의 근거지로서 수십 개의 카구라단이 조직되어 축제에 참여하여 화려한 의상을 자랑하고 있다. 이를 유지하기 위해 어린아이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그 구성원은 다양하며, 온갖 노력을 하고 있다. 그 중의 하나로 뚜렷한 사명감을 갖고 카구라를 계승해온 한 대부의 회고담은 일본의 카구라가 어떻게 전승 보존되어 왔는가를 엿보게 한다.
    神樂大夫인 후지하라(藤原元美)는 히로시마현 출신이다. 그는 히로시마현을 중심으로 카구라 봉사 경험이 풍부한 카구라의 명수이다. 그에 의하면, 명치 이후 신직의 춤을 금지했으나 그 일부는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시대 형편에 따라 의식 내용도 달라졌다. 이를테면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카구라는 마을의 안전과 가정의 안녕, 그리고 풍작을 기원하는 단계에서 전쟁에 나간 사람을 위해 무운장구를 비는 의식으로 바뀌었다. 무엇보다도 그 자신 보람된 것은 연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춤사위를 보존하기 위해 단원들의 피나는 노력이 계속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가 나중에 국가문화재로까지 지정 받는 결과를 낳았다.
    그 뒤 계속 이를 보존하기 위한 노력은 이어졌는데 카구라 보존회가 그것이다. 대원카구라의 경우, 국가지정무형문화재로 지정 받은 뒤 보존회를 만들되 완전히 이 지역사람들로 구성하여 자신들이 내는 회비로 회를 이끌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현재의 문제점을 도출시켜 카구라에 나타난 대원신앙의 본질의 규명과 제사의 엄수, 전승 보전에 대한 신직의 열의와 의욕의 필요성 그리고 카구라를 연행하는 사람들이 지역의 개성과 특징을 살려 계승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 반성을 했다. 특히 카구라 단체가 자꾸 불어남과 동시에 변형되어 전승되는 카구라를 통일화 해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이 보존회를 이끌고 가는 지침이 되었다.
    그런가하면 柳村에서는 카구라를 비롯한 마을 행사를 위해 이를 맡을 당번을 정해 보존하고 있다. 쉴새없이 닥쳐오는 마을 행사를 주최해야 할 당번인 도우야는 개인적이 아닌 공동체로서 자치행사 제도상의 주최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렇듯 조직적인 행사가 최근 간소화되어 간다는 사실이다. 행사 날짜도 축일 내지는 일요일을 기준으로 한다. 예전 같으면 평일에 해도 직장을 쉬고 왔으나, 이제는 그런 일이 많지 않아졌다. 奉納神樂을 해도 대부분 흥미가 없다고 오질 않는다. 이러한 원인으로 최근 어린이들에게 카구라 연행이 전수되어 오히려 그들에게 인기 종목이 되었다. 그 결과가 생긴 것이 최근 유행되고 있는 어린이 카구라단이다.
    또한 히키미죠(匹見町))에서는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젊은층의 유출과 급속한 아이들의 감소와 초고령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어 곤욕을 치루고 있다. 그래서 주민 한사람 한사람이 모든 일을 자신의 일처럼 생각하고 지역 행정과 협력해서 복지향상에 힘쓰고 주민 누구도 안심하고 활기 있게 살 수 있는 마을 만들기에 힘을 쏟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카구라를 계승하기 위해 카구라단 나름대로 여러 조치를 취하고 있다. 특히 한 세대에 치우치는 것을 막기 위해 대를 거르지 않고, 10대서부터 60대까지 고른 분포로 단원을 보충해 보존하고 있다.
    최근엔 다시 기존의 카구라 내용을 탈피하여 창작 카구라가 유행하고 있다. 너무 똑같은 내용에 식상한 관객들의 갈증을 해소하는 방편으로 끊임없이 연구하고 개발하는 구성원들의 열정이 이를 잘 극복하고 있다.
    카구라의 종류도 다양하여 일부 학자들은 최근에 난무하는 오락성의 카구라는 인정하지 않으려 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러한 것들 때문에 카구라가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됨도 생각해볼 일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도 피할 수 없는 것은 카구라에 대한 젊은이들의 생각이 과거와 많이 달라졌으며, 열정도 식어가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하루가 다르게 변해가는 요즈음 세상이다. 따라서 앞으로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한 공동체를 어떻게 유지할 것이며, 이에 따른 후계자 육성 문제라던가 재정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앞으로의 과제이다.

    영어초록

    Individuals who constitute a society belong in one community. Everyone narrowly belongs to a family, a place of work, a society, and a state, and widely belongs to the community of human beings. Each person lives in the present age with individuality and capability being accepted. A person who comes to realize that it is meaningless, by oneself will come to consider the consideration, concession, and collaboration of others. Therefore, it can be said the culture gathered and made by such people is the so-called community culture.
    The majority of people from farm villages became city residents in Japan till the 1960s. As the farm village population moved to the city and increased in number b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farm village sense of values became the situation that represents national culture. Therefore, the state of a community was an everyday concern those days. While living so, it turned out that the survival of a primitive community continued to change according to a series of examinations which Mr. Otani carried out in the 80s. However, among the Japanese social science community, whose tradition of empirical research is strong, his work was interpreted as reinforcing the authority of Marx's community theory.
    The external factors and inner factorsact on modernization of farm village society mutually. Because various situations occur, the continuation and change of traditions and customs are realized. In fact, the very process is found in the Kagura (sinto music and dancing) which has spread in the Chugoku district in Japan. Among the Kagura performed in the Chugoku district now, five things, aside from Hiba- Kojin Kagura have played leading roles as elements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is area.
    The Chugoku district is located in a mountainous area. Kagura is an indispensable amusement to people of this area who live depending on faith. Such thinking has remained as it is and lead to the formation of hundreds of Kagura groups. The constituents vary, from young children to old people and their self-confidence of having maintained and inherited this tradition is very strong. It is natural for just such self-confidence to become the activation which makes it possible for the Kagura to be handed down orally to be further arranged and developed. Recently, adaptations from existing Kagura are in fashion again. As the expedient that quenches the thirst of spectators fed up with similar content, people engaged in Kagura are forming communities by themselves and solving the problem with mutual wisdom, so that Kagura can be inherited indefinitel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