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독교인 부인들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4.01
33P 미리보기
기독교인 부인들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가족치료학회지 / 12권 / 2호
    · 저자명 : 박태영

    목차

    I. 서론
    II. 결혼만족도와 관련된 선행연구
    III. 연구 문제
    IV. 조사방법론
    V. 분석결과
    VI.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기독교인 부인들에 대한 결혼만족도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조사를 하였다. 지금까지의 결혼만족도와 관련된 연구를 중심으로 여러 변수 중 수입, 학력, 배우자 직업, 결혼지속년수, 결혼생활의 결정권, 가사분담, 가족과의 관계, 배우자 가족과의 관계, 부부간의 의사소통문제, 성적만족도를 중심으로 결혼만족도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들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들로서, 결혼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Schumm(1990)이 개발한 캔사스 결혼만족 측정도구(Kansas Marital Satisfaction)를 사용하였다. 결혼생활의 결정권을 측정하기 위하여 Blood와 Wolfe(1960)가 개발한 결정권 색인(Decision Power Index), 가사분업을 측정하기 위하여 Blood와 Wolfe(1960)가 개발한 업무참가 색인(Task Participation Index)을 사용하였다. 또한 부부간의 의사소통의 개념은 deTurck과 Miller(1986)가 개발한 부부의 이해 측정도구(Conjugal Understanding Measure)를, 성적 만족의 개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Hudson의 성적 만족의 색인(Index of Sexual Satisfaction)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가족과의 관계와 시댁 식구와의 관계를 측정하는 도구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태임으로, 연구자가 만들어 사용하였다.
    표집방법으로는 비모수 표집방법 중 편의표집과 눈덩이 표집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응답자는 부인 370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부인들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는 성적만족도, 의사소통, 시댁식구와의 관계, 그리고 자신의 가족과의 관계가 중요한 변인들이었으며, 이 4가지 변인들이 부인들의 결혼만족도의 51.5%를 설명하였다. 특히, 응답자가 기독교를 가지고 있는 부인들임에도 불구하고 성만족도와 의사소통의 변수가 결혼만족도의 45.5%를 설명하여 준다는 점이 특이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marital satisfaction among Christian wives in South Korea. It was hypothesized that marital satisfaction among Christian wives could be predicted from income, educational level, spouse's occupation, the number of years of marriage, decision making, division of household tasks, relationship with current family, relationship with spouse’s family, communication problems, and sexual satisfaction.
    The study used a number of existing measures. These included Index of Sexual Satisfaction, Task Participation Index, Decision Power Index, Conjugal Understanding Measure, and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Additionally, other more general demographic information was gathered including respondent's income, religion, educational background, the number of years of marriage, husband's occupation, relationship with spouse's family and relationship with current family. The present study collected data from Christian wives in South Korea. Using snowball, purposeful and convenient sampling methods, a sample of 370 Christian wives completed surve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sexual satisfaction, conjugal communication, relationship with spouse’s family and relationship with current famil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among the Christian wives, explaining 50.4% of the variance in the marital satisfaction score. Sexual satisfaction was the best predictor of marital satisfaction and accounted for 36.4% of the variance in marital satisfaction among Christian wives. The second most important predictor of marital satisfaction among the Christian wives was conjugal communication and explained 8.9% of variance. The relationship with spouse's family was the third significant variable to account for the variance of marital satisfaction among the Christian wives and explained 4.1% of the variance. As the least predictor, the relationship with current family accounted for 1.1% of the variance of the marital satisfaction among the Christian wive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e principal finding was the important role of sexual satisfaction in marital satisfaction among the Christian wives. Future studies might explore this factor further. This study found the importance of conjugal communication in marital satisfaction among the Christian wives. This result suggests the importance of enhancing couples' skills in direct negotiation and decision making. Therefore, Christian couples need to learn conjugal communication skills to enhance their marital relationships with spouses.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e significance of relationship with spouse's and wives' family in the degree of marital satisfa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가족치료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