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홍수신화 비교 연구 : 신․자연․인간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3.01
36P 미리보기
동아시아 홍수신화 비교 연구 : 신․자연․인간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16호
    · 저자명 : 조현설

    목차

    1. 머리말
    2. 홍수의 원인, 그 세 갈래의 유형
    3. 우연한 홍수와 자연의 우연성
    4. 신의 행악과 내재하는 신
    5. 신인의 적대와 인간의 잘못
    6. 징벌에 대한 인식과 텍스트의 변형
    7. 맺음말

    초록

    홍수신화는 인류의 재창조를 이야기하는 창조신화이다. 그런데 인류는 재창조되기 위해 죽음이라는 문을 통과해야 한다. 홍수는 바로 이 문의 상징이다. 홍수는 모든 것을 파괴하고 모든 것을 혼돈 혹은 원상태로 되돌리는 파괴적인 힘이다. 그러나 달리 말하면 그것은 자연이 스스로를 조절하는 능동성의 상징이기도 하다. 파괴와 조절의 상징인 홍수신화는 홍수의 원인을 통해 자연과 신, 그리고 인간의 관계를 극명하게 드러낸다.
    홍수의 원인이 자연 안에 있을 때 홍수는 우연히 발생한 자연재해일 뿐이다. 거기에는 하등의 필연성이 없다. 홍수의 원인이 신 안에 있을 때도 사정은 유사하다. 홍수는 신들의 싸움이나 알 수 없는 신의 분노, 혹은 악한 신의 악행에서 발생하지만 이때 신은 외재적 신이 아니라 자연 안에 있는 내재적 신이다. 신원인형 홍수신화는 자연원인형 홍수신화의 신화적 변형이다.
    인간원인형 홍수신화는 홍수의 원인을 신의 말을 듣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신을 살해하는 인간, 신성한 땅을 갈아엎거나 식량을 낭비하는 인간의 모습에서 찾는다. 이런 인간의 양태를 잘못으로 인식하는 것은 농경 양식과 무관치 않다. 그러나 여기에는 또 하나의 국면이 있다. 그것은 이 유형의 홍수신화가 인간과 신의 관계, 즉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범례적 기능을 수행한다는 사실이다. 인간의 생존을 위해 자연을 변형시키는 것은 불가피하지만 그것이 지나칠 때 홍수는 모든 것을 처음으로 되돌리는 조절의 능동성을 발휘한다는 사실. 이것이 인간원인형 홍수신화가 말하는 재창조의 비밀이다.
    인간원인형 홍수신화가 종교적 목적이나 사회적 규율을 위해 재생산될 때 홍수신화는 다시 변형된다. 홍수의 결과 남매혼이 이뤄지지만 남매혼 자체가 다시 홍수를 부르는 이중의 홍수신화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는 인간원인형 홍수신화의 특수한 사례이지만 이 변형 안에는 남매혼의 신화적 능동성을 뒤집고 자연의 우연성을 사회적 필연성으로 확정하려는 강력한 도덕의 목소리가 숨어 있다.

    영어초록

    The flood myth is the creation myth telling a recreation of mankind. By the way mankind should pass the gate of death to be recreated. Flood is just the symbol of this gate. Flood is the power destroying everything and returning everything to chaos or the original situation. But in other words it is also the symbol of the activity which nature controls itself.
    The flood existing as the symbol of destruction and control tells not only through a new creation after the flood, but also through the cause of flood throwing before the flood. The flood myth reveals the relations with nature, god and mankind through the cause of flood. That's because the East-Asian flood myths are finding the cause in nature, god and mankind.
    When the cause of flood is in nature, the flood is just an accidental nature disaster. There is no necessity in it. Human beings get absentminded in front of the sudden violence of nature. It is also similar when the cause of flood is in god. The flood originates through the struggles between gods, unknown anger of god or evil conduct of bad god but the flood is just the violence of nature because that god is the immanent god existing in nature, nature itself. This god-cause type flood myth is a transformation of the nature-cause type flood myth.
    When the cause of flood is in mankind, the flood escapes contingency and meet with an agricultural production mode. The mankind-cause type flood myth finds the cause of flood in figures of mankind not hearing god's word , killing god, plowing a divine field out or wasting food. To regard these as fault is to relate with agricultural form. But here is another aspect. That's the fact this kind of flood myth performs the function of example to the relation between mankind and god, in other words between mankind and nature. To change nature for the existence of mankind is necessary. But when it's excessive, flood acts the activity of control returning everything into the first. That's the secret of recreation which the mankind-cause type flood myth is referring.
    When the flood myth telling that its cause is the fault of mankind is recreated for the religious purpose or social rule, the flood myth is changed again. Double flood myth that brother and sister's marriage results from flood and again brother and sister's marriage itself is responsible for flood is made. This is a special case of the mankind-cause type flood myth, but in this transformation a strong moral voice turning over the mythological activity of brother and sister' marriage and confirming the contingency of nature to the social necessity is hidde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