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동엽(1982), “熱河日記의 文學的 硏究”, 建國大學校 大學院, 박사학위논문.
· 강미옥(1996), "최인훈 小說 연구 : 古典 小說의 패러디 양상과 그 의미", 全北大 敎育大學院, 석사학위논문.
· 琴章泰(1981), “北學派의 實學思想”, 韓國학中央硏究원, 情神文化硏究, 4권 2호 (통권 10호) 1981.6, pp. 42~48(7pages)
· 김경화(2010), “「옥갑야화」의 구조 분석을 통한 ‘許生전’의 敎育방안 연구”, 경원대학교 敎育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경희(2005), "연암 朴趾源 文學의 敎育 방안 연구 : 한문小說·『열하일기』를 中心으로“, 연歲대 敎育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경희(2005),“燕巖 朴趾源 文學의 敎育 方案 硏究 : 한문小說『熱河日記』를 中心으로“, 연歲대학교, 敎育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규천(2006), "古典文學의 수용론적 文學감상 지도방법 연구“, 충남대 敎育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동석(2002), “『隨사綠』 硏究 : 『熱河日記』와 비교연구의 관점에서”, 成均館大學校, 박사학위논문.
· 金明昊(1990), "『熱河日記』연구", 서울大 大學院, 박사학위논문.
· 김명호(1990), “『熱河日記』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박사학위논문.
· 김명호(1992), "燕巖 朴趾源의 삶과 文學", 歷史비평사, 歷史비평, 통권 18호 1992.2, pp. 204~214(11pages).
· 김명호(1992), “人物평전 朴趾源의 삶과 文學”, 歷史문제연구소.
· 김영(1993),“利用厚生의 實學者, 朴趾源”, 월간말, 월간말, 통권 81호 1993.3. pp.74~75(2pages)
· 김영(2008), “近代轉換기 知識人의 이국체험과 世界관의 變化”, 韓國古典硏究학회, 韓國古典硏究 17집, 5-29쪽.
· 김영진(2005), “朴趾源의 필사본 小集들과 作品 創作년 考證”, 대동한文學회, 學術저널, p.47-82(36쪽).
· 金銀美(1982), "熱河日記의 敍述形態 考察",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일만(2008), “燕巖 朴趾源의 社會思想과 社會改革론”, 좀 姿勢히 찾아보고 적용할 것 , 동아대학교.
· 김정호(2000), “燕巖 朴趾源의 改革思想에 대한 재조명”, 韓國政治外交사학회, 韓國政治外交사논총, p.5-32(28쪽).
· 김진아(2006), “재량시간을 활용한 『열하일기』의 敎授학습 연구 재량시간을 활용한 [열하일기]의 敎授학습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敎育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현미(2004), "18歲기 연행록의 전개와 特性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효순(1989), “燕巖의 文學論 考察”,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석사학위논문.
· 노준영(2010), "『열하일기』 중 「일신隨筆」의 敍述 양상과 서사 전략", 한양대 敎育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문현경(2005), “朴趾源 文學 연구 : 생태思想과 국어敎育적 활용에 대한 소고(小考)”, 동국대학교 敎育대학원: 국어敎育전공,석사학위논문.
· 박기석(2008), "『熱河日記』에 나타난 朴趾源의 中國文化 認識“, 韓國文學치료학회, 學術저널 文學치료硏究 제8집, pp. 70-104(25쪽).
· 박향란(2010), “燕行錄 所載 筆談의 硏究 : 洪大容, 朴趾源 등을 中心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배병삼(2008), “國制政治思想가로서의 朴趾源(燕巖) 朴趾源 硏究”, 韓國政治外交사학회, 學術저널, pp. 35~71.
· 沙明東(2009), "朝鮮後期 朴趾源의 청국인식 : 『열하일기』를 中心으로“, 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용웅(1988), "朴趾源 漢文 短篇 硏究 : 現實批判과 利用厚生의 限界와 意義", 京畿大學校 大學院, 석사학위논문.
· 서현경(2008),“『열하일기』 정본의 탐색과 敍述 분석”, 연歲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송재소(2006), “새로운 길을 찾다 : 朴趾源, 朴齊家 새로운 길을 찾다”, 경기文化재단.
· 송정희(1999), "연암 朴趾源에 있어서 인식의 문제에 관한 연구 : 「열하일기」를 中心으로" , 성균관대 儒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병철(2002), “朝鮮 正祖時代 文人의 中國小說관 시탐”, 韓國中國小說학회, 中國小說노총, 제15집, 2002.2 pp.283~298(16pages).
· 吳能根(1983), "『열하일기』 에 나타난 燕巖小說 의 思想성 연구", 충남대敎育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吳承恩(1998), "崔仁勳 小說의 상호텍스트성 硏究 : 패러디 양상을 中心으로", 西江大 大學院, 석사학위논문.
· 우묘(2010), "18歲기 朝鮮 文人의 淸나라에 대한 인식 연구 : "연행록"에 나타난 화이思想 및 북학思想을 中心으로", 國民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元裕韓(1978), “燕岩 朴趾源의 社會經濟思想에 대한 考察”, 學術저널, 홍익대학교.
· 劉琳(2010), "18歲기 後半 朴趾源의 열하체험과 국제秩序의 變化 : 『열하일기』를 中心으로:, 서울대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병환(1982), "연암 朴趾源 小說의 근대文學적 考察",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위경(1997), “『열하일기』에 내재된 연암의 宗敎思想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장근(2009), “中國歷史학계의 淸사硏究 동향: 韓國 關聯 分野을 中心으로”, 동북아歷史재단 硏究총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