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간호연구/논문)간호학생의 성인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간호연구/논문)간호학생의 성인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1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3.02.24 최종저작일 2011.10
16P 미리보기
(간호연구/논문)간호학생의 성인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 미리보기

    소개

    (간호연구/논문)간호학생의 성인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자 및 연구기간
    3. 시뮬레이션실습 운영
    4. 연구 도구
    5. 자료 수집 방법
    6. 자료 분석 방법
    7. 윤리적 고려

    본문내용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발달과 건강에 대한 대중의 요구변화에 따라 전문직으로써의 간호사의 역할이 대두되었다(Jang, Lee, Hong, Ha, Gong, Shin, & Kang, 2009).
    이에 간호교육은 대상자들의 건강문제를 발견, 해결,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키기 위해 간호사로서 필요한 전문적인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고 임상실습에 이를 적용, 경험하도록 하여 전문적인 적합한 사고과정을 개발하도록 해야 한다(Yang, 2008). 그러므로 간호사는 양질의 서비스를 간호대상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에만 치우치기보다는 판단력과 자율성,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함양의 대해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편 현재 간호교육에서는 이론적인 주입식 교육이 주를 이루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임상실습이 시행되고 있지만 90년 대 이후부터 간호대상자들의 새로운 인식의 변화로 인해 환자의 숙련된 간호사로부터의 간호요구 욕구가 증가되고 있는 현실로 간호학생들은 임상에서 간호수행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고 관찰자의 역할로만 행해지고 있다. 또한 최근 간호현장에서는 졸업간호학생들의 실무능력이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 되고 있으며 간호사 면허증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신규간호사들을 다시 교육하는 상황이다.

    <중 략>

    5. 자료 수집 방법
    설문지를 이용한 자료 수집은 시뮬레이션실습이 모두 끝나고 난 후 강의실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연구자 중 한 명이 연구의 목적, 방법 등을 설명한 후 설문지와 동의서를 배부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작성하게 한다. 설문지에 응답하는 동안 연구자들이 질문에 바로 응답해주며 설문지를 모두 작성한 경우 동의서와 설문지를 별도로 수거한다. 설문지에 응답하는 시간은 30분 정도 소요되며 대상자의 이름과 개인 정보는 작성되지 않는다.
    매주 시뮬레이션실습이 끝난 후 개별적으로 작성된 성찰일지는 대상자의 이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연구에의 사용에 서면으로 동의한 경우만 연구에 포함한다.

    참고자료

    · 국립국어원 (2008). 국립국어원 표준 국어대사전.
    · Shin, M. J., Kang, Y. S., Ha, N. S., Gong, B. H., Kim, I. S., Hong, Y. M., Jang, G. S., Lee, M. H., & Jung, K. H.(2009). Nursing ethics and professions. 2nd ed. Seoul: Hyeonmunsa.
    · Raines, D. A. (2010). Obstetrical nursing experience simulation. Nursing for women's health, 14(2), 112-119.
    · Kim, Y. H. (2010). Effect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among new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 Chung, S. E. & Lee, S. H. (2010).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education using simulation. Qualitative research, 11(1), 50-59.
    · Lee, J. H., Kim, S. S., Yeo, K. S., Cho, S. J., & Kim, H. L. (2009). Experience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n high-fidelity simulation: a focus group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2), 183-193.
    · Lee, S. O., Eom, M. R., & Lee, J. H. (2007). Use of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1), 90-94.
    · Lee, W. S., Cho, K. C., Yang, S. H., Roh, Y. S., & Lee, G. Y. (2009).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gombined with simulation on the basic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1), 64-72.
    · O'Boyle-Duggan, M. (2010). Developing a simulation model to explore challenging behaviour. Learning disability practice, 13(10), 35-38.
    · Shin, H. S. & Shim, K. K. (2010).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n pediatric nursing simulation practic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6(2), 147-155.
    · Yang, J. J. (200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cours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4), 548-560
    · Wotton, K., Davis, J., Button, D., & Kelton, M. (2010). Third-Yea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high-fidelity simul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9(11), 632-639.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 덕분에 ,복잡했던 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질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완벽한 자료였습니다. 매우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