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사주명리를 12율려에 적용하여 현대음률로의 해석에 관한 연구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命과 運을 알고 싶어 하고 또한 행복한 삶을 원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행복한 삶만을 영위할 수는 없다. 사람들은 그러한 원인을 모두 運으로 돌리려 하고 있다. 그러면 運이라는 것은 무엇이며, 또 이를 알기 위하여 어떠한 방법을 취하는 것인가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은 이를 알려고 했었다. 고대 중국에서는 하늘의 氣인 天干과 땅의 氣인 地支 그리고 사람의 氣인 人氣, 이 모두를 종합하여 인간이 태어난 생년, 생월, 생일, 생시의 사주(四柱)로 命과 運을 해석했었다. 그런데 사주의 命과 運이 변화하는 근본적인 요인은 ‘율려운동(律呂運動)’이며, ‘율려’는 우주 삼라만상의 생성변화와 우주질서의 기본구조를 이룬 것을 통칭한 말이다. 이 율려작용에는 고저와 장단 그리고 강약이 있다. 陰이 강할 때는 陰다운 특징과 형상이 있으며, 陽이 강할 때는 陽다운 특징과 형상이 뚜렷하다. 또한 율려의 장단은 상호 보완 하려고 하며, 고저는 높고 낮음의 조화를 이루려고 한다. 율려가 자체적인 특성으로 율동을 하고 있는 소리를 음률이라 한다. 음률은 音이 다른 音과 결합·율동하여 움직임을 보여 주며, 공기를 가르는 파동을 타고 들어올 때 느껴지는 것이다. 또 음률로서 음악적 요소가 하나의 패턴을 이룰 때, 비로소 인간의 정신과 육체를 움직이게 한다. 본 논문은 초자연적인 원리에 기초한 율려운동이 氣가 변화되고 그에 따라서 運이 변화되고 있는 흐름을 12율려에 적용하여, 현대적인 음률에 의한 방법을 통하여 해석 해 보자는 것이다. 이 방법을 현대음률인 협화음, 어울림화음, 불협화음 세 가지 화음으로 구분하여, 하나의 모형의 틀을 만들어 사주를 배속한 후 이를 해석 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검증을 하기 위하여, 실제 사고사로 사망자한 사람들의 생년월일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학위논문은, 경기대 문화예술대학원에서 독창적 우수성이 인정된 내용으로 선정되었다.
10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2.08.31 최종저작일 2011.12
106P 미리보기
  사주명리를 12율려에 적용하여 현대음률로의 해석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소개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命과 運을 알고 싶어 하고 또한 행복한 삶을 원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행복한 삶만을 영위할 수는 없다. 사람들은 그러한 원인을 모두 運으로 돌리려 하고 있다. 그러면 運이라는 것은 무엇이며, 또 이를 알기 위하여 어떠한 방법을 취하는 것인가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은 이를 알려고 했었다.
    고대 중국에서는 하늘의 氣인 天干과 땅의 氣인 地支 그리고 사람의 氣인 人氣, 이 모두를 종합하여 인간이 태어난 생년, 생월, 생일, 생시의 사주(四柱)로 命과 運을 해석했었다.
    그런데 사주의 命과 運이 변화하는 근본적인 요인은 ‘율려운동(律呂運動)’이며, ‘율려’는 우주 삼라만상의 생성변화와 우주질서의 기본구조를 이룬 것을 통칭한 말이다. 이 율려작용에는 고저와 장단 그리고 강약이 있다. 陰이 강할 때는 陰다운 특징과 형상이 있으며, 陽이 강할 때는 陽다운 특징과 형상이 뚜렷하다. 또한 율려의 장단은 상호 보완 하려고 하며, 고저는 높고 낮음의 조화를 이루려고 한다.
    율려가 자체적인 특성으로 율동을 하고 있는 소리를 음률이라 한다. 음률은 音이 다른 音과 결합·율동하여 움직임을 보여 주며, 공기를 가르는 파동을 타고 들어올 때 느껴지는 것이다. 또 음률로서 음악적 요소가 하나의 패턴을 이룰 때, 비로소 인간의 정신과 육체를 움직이게 한다.
    본 논문은 초자연적인 원리에 기초한 율려운동이 氣가 변화되고 그에 따라서 運이 변화되고 있는 흐름을 12율려에 적용하여, 현대적인 음률에 의한 방법을 통하여 해석 해 보자는 것이다. 이 방법을 현대음률인 협화음, 어울림화음, 불협화음 세 가지 화음으로 구분하여, 하나의 모형의 틀을 만들어 사주를 배속한 후 이를 해석 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검증을 하기 위하여, 실제 사고사로 사망자한 사람들의 생년월일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학위논문은, 경기대 문화예술대학원에서 독창적 우수성이 인정된 내용으로 선정되었다.

    목차

    제 1장 서 론
    제 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제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 2장 명리의 기존 이론과 새로운 모형의 제시
    제 1절 干支 연원과 율려
    제 2절 중국 명리학서 내용 체계
    제 3절 우리나라 명리학의 새로운 모형 필요성

    제 3장 사주 명리를 12율려에 적용한 방법
    제 1절 12율려와 십이지의 상관성
    제 2절 천간을 12율려에 적용

    제 4장 12율려로 구현된 명리를 현대음률로 변환
    제 1절 12율려를 현대음률로 변환
    제 2절 십이지와 현대음률과의 상관관계
    제 3절 사주를 현대음률 화음(Chord)으로 해석

    제 5장 연구 결과 및 검증
    제 1절 명리학서에 의한 연구결과 검증
    제 2절 사망원인에 관한 통계적 분석과 검증

    제 6장 결론

    본문내용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命과 運을 알고 싶어 한다. 고대(古代) 사람들은 물론, 현대를 살아가는 오늘날에 있어서도, 사람들은 자신의 명과 운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이것은 인간으로서는 너무나 당연한 본능이다.
    고대는 농경사회로서 그 해의 풍년과 흉년 그리고 가뭄과 홍수에 대해서 천문(天文) 현상에 의존하였다. 그래서 고대 중국에서는 하늘에 대한 숭배심(崇拜心)이 있으며, 황제(皇帝)를 천제(天帝)의 아들이란 의미로 천자(天子)라고 칭하였다. 천자는 매년 동짓날에 남쪽 둥근 언덕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동짓날은 음기(陰氣)가 최대이며 이 날을 시작으로 양기(陽氣)가 생겨나기 시작한다. 이 같은 동짓날의 행사는 하늘과 태양을 숭배하는 사상이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천자(天子)가 자신과 백성들을 위해 안녕과 평온을 기원한 것은, 지구상에서 하늘의 기운인 天을 가장 절대적인 기운(氣運)이라 여겼기 때문이다.
    “천기(天氣)의 태양빛 등 여러 에너지가 내려오며 대지에서는 이것을 받아서 지기(地氣)를 발생시킨다. 지기(地氣)에는 지구 자신의 인력(引力)과 지구 자전에 의한 가속력, 지자기(地磁氣)의 힘, 땅속의 에너지, 바다의 기능, 태양열에 의해서 증발된 수증기와 여러 가지 원자·분자, 그 밖의 지구의 모든 기능들의 기운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천기와 지기가 교류해서 비와 안개 등의 자연현상부터 인간까지 모든 만물의 형태를 갖추게 한다.”1) 인간은 천기와 지기가 교류해서 탄생된 하나의 생명체이며, 모든 생명체는 각각의 기운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 ‘만물의 영장(靈長)’이라 하는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기운을 인기(人氣)라 한다.



    와 같이 횡사자 총 4,746명이 년지, 월지, 일지와 사망한 해의 지지와의 형·충·해·파의 관련성을 볼 때, 흉살로 나타난 총 3,668건 중 삼형은 783건으로 21.3%를 차지하였다. 충은 총 3,668건 중 1,180건으로 32.1%에 해당하며, 해는 총 3,668건 중 833건으로 22.7%에 해당하며 파는 총 3,668건 중 872건으로 23.7%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데이터로 볼 때 횡사자는 충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개인 일간과 세운 일지에서의 충이 412건, 8.7%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장에서 연구한 ‘현대음률에 의한 화음(Chord)으로 해석’에서, 충은 증4도로 불협화음(어울리지 않은 화음)을 이루고 있으므로 사주와 세운에 ‘충이 있다면, 좋은 것은 아니다.’는 것이 검증되고 있는 결과이다.

    참고자료

    · 『呂氏春秋』
    · 『史記』
    · 『五行大義』
    · 『律呂新書』
    · 『正易』
    · 『增補文獻備考』
    · 『淵海子平』
    · 『滴天髓』
    · 『子平眞詮』
    · 『窮通寶鑑』
    · 고바야시 산고, 『우주와 인체의 생성원리』, 서울 : 집문당, 2005.
    · 권영원, 『正易句解』, 대전 : 상생출판, 2011.
    · 김동구, 『四柱命理學 總論』, 서울 : 명문당, 2010.
    · 김수길, 윤상철, 『五行大義 上·下』, 서울 : 대유학술총서, 2008.
    · 김익현譯, 『증보문헌비고(악고 1)』, 서울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4.
    · 김지하 강연모음집, 『율려란 무엇인가』, (주)한문화멀티미디어, 1999.
    · 김창남, 『김민기』, 서울 : 한울, 1986.
    · 남상숙, 『악학궤범 악론연구』, 서울 : 민속원, 2009.
    · 박제상著, 김은수譯註, 『부도지』, 서울 : (주)한문화멀티미디어, 2009.
    · 사마천著, 김원중譯 , 『사기』, 서울 : 민음사, 2011.
    · 사마천著, 스진 풀어씀, 노만수옮김 , 『사마천 史記』, 서울 : 일빛, 2009.
    · 사마천著, 정범진외 옮김, 『사마천 사기』, 서울 : 까치, 1996.
    · 서울특별시장 오세훈, 『서울역사 2000년』,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0.
    · 심효첨著, 서락오評註, 박영창譯 , 『子平眞詮評註』, 서울 : 청학, 2007.
    · 야오간밍著, 손성하譯, 『老子講義』, 경기 : 김영사, 20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