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텔레비전 드라마의 주된 시청층이 여성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여성의 사회화과정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텔레비전 드라마가 우리사회 여성의 위상과 지위, 생활문화와 가치관의 변화를 사실적으로 반영하여 바람직한 역할모델을 제시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 연구는 TV드라마의 영향력과 현실을 반영, 재창조, 왜곡하는 이중적인 역할에 주목하여, 드라마의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30대 여성의 이미지재현방식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30대 미혼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드라마인 ‘달콤한 나의 도시’를 중심으로 그들의 성, 사랑, 일과 관련하여 이를 드라마가 어떤 식으로 표현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드라마에 등장하는 30대 여성들은 기존의 아름다움과 젊음은 20대 여성에게만 제한했었던 드라마 공식을 깨고 30대 미혼여성들도 자신의 외모를 가꾸고 젊음을 가지고 있는 여성으로 표현되었고, 자신의 직업의식을 가지고 공적영역에 참여하며, 성적인 욕망을 드러내는 여성으로 그려졌다. 이는 기존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남성주도적인 여성의 일과 사랑이 드라마를 통해 재현된다는 기존의 연구와 달라진 결과를 보임으로써 드라마 속 30대 여성의 이미지가 진취적, 능동적, 주체적으로 변하고 있고 이는 30대 미혼여성을 바라보는 사회의 인식과 이데올로기도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다는 증거가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 1. 기본자료
· 손혜진 극본, SBS금요드라마 달콤한 나의 도시 극본.
· 박흥식 연출, SBS금요드라마 달콤한 나의 도시 영상물.
· <달콤한 나의 도시>홈페이지 http://tv.sbs.co.kr/sweetseoul/
· 2.단행본, 연구논문
· 강현두, 이강수, 「한국의 사회와 문화”:한국텔레비전 드라마의 가치관」,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0.PP189-260
· 김주영, 「시트콤 올드미스다이어리에 대한 장르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 김민, 「정치드라마의 허와 실, 방송과 시청자(1996년 1월호), p23
· 김민정, 「사이버여성문화로서 팬픽연구-환타지와 성정체성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2002
· 김승현, 한진만 , 『한국사회와 텔레비전드라마』,서울한울아카데미,2001, P57
· 노수연, 「멜로 드라마에서 재현된 여성성의 변화와 그 문화정치적 함의 」,동국대학교 연극 영화학과 대학원,2003
· 모현주, 「화려한 싱글과 된장녀」,사회연구사, 사회연구 통권 15호(2008년1호),P.47
· 박길순, 이수인, 「영상매체에 나타난 복식의 의미작용에 관한 기호학적 접근-TV드라마 『애인』을 중심으로」,(복식문화역구6(4),1998),P668
· 박지훈, 『영화제작매스터북』, 책과길,2004,P375
· 박혜진 , 「TV드라마 속에 나타난 여성의 직업관에 관한 연구」,
·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2001
· 이하경, 「TV드라마의 형식미학 고찰 : <내 이름은 김삼순>을 중심으로」,
· 동국대학교 대학원,2007
· 정여울, 『아가씨, 대중문화의 숲에서 희망을 보다』, 강, 2006, P246
· 정진선, 「30대 미혼여성의 라이프스타일과 결혼에 대한 태도」,이화여대대학원, 2007
· 주창윤, 「텔레비전드라마의 미학적 성격」,한국극예술학회(한국극예술연구 제23집), 2006
· 최창섭, 『방송총론』,서울법문사,1991,p198
· 홍석경, 『애인: TV 드라마 문화 그리고 사회』,한나래,1997,p52
· 3.인터넷 자료
· 강은영, “드라마속 연하남과 로맨스 `이젠 대세다!` ”,스포츠한국, 2008년 5월15일
· 김선주, “브라운 안 화려함…밖에선 ‘삶과의 전쟁’”,우먼타임즈,2007년9월8일.
· 디지털 뉴스부, "달콤한 나의 도시 최강희 패션 뜬다.",아이비타임즈. 2008년 7월 25일
· 배국남, "이혼녀· 미혼모 없으면 드라마 안된다?" ,마이데일리,2006년 7월 8일
· 정현목, ‘내가 누나로만 보이니, 토이보이 신드롬’, 중앙일보, 2006년2월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