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현행 중등 과정의 음악 교과서의 기악 영역의 내용 체계가 제 7차 교육 과정의 개정 기본 방향인 포괄적이고 연계성 있는 교육 과정에 부합되었는지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음악 교과서의 개선점과 활용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문헌과 자료를 근거로 하여 포괄적 음악 교육의 개념과 현대 음악 교육 이념의 동향에 대해 살펴본 후 연계성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고찰한다. 그리고 기악 학습의 의의와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각 영역별 비율을 학년별로 분석하고 출판사별로 기악 영역의 비율을 분석한다. 중학교 음악 교과서 9종의 기악 영역의 수직적 연계성과 수평적 연계성을 분석함으로써 음악 교과서의 내용이 연계성 있게 제시가 되고 있는지를 알아본다.
분석 결과 모든 출판사의 기악 영역 비중이 가창이나 이해 영역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고 이로 인해 우리나라의 음악 수업에서는 기악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학습되지 않고 있었다. 태성 교과서를 제외하고 모든 출판사에서 리코더는 7, 8, 9학년에서 모두 나오는 계속성을 보여주며 리코더는 소프라노 리코더나 알토 리코더로 심화되고 2중주나 3중주가 이루어지며 계열성 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단소 또한 연계성 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출판사가 많았는데 천재 교육과 성안당을 제외한 다른 출판사에서는 단소가 7, 8, 9학년에서 모두 학습되는 계속성을 보여주며 단소를 학년에 올라감에 따라 좀 더 어려운 제재곡으로 발전시키거나 소금이나 대금으로 발전시키는 계열성 있는 연계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소금과 기타는 연계성 있는 학습이 되고 있지 않으며, 하모니카, 스네어드럼, 오카리나, 피페의 악기는 몇몇 출판사에서만 다루어지고 있다.
수직적ㆍ수평적인 연계성이 학년과 출판사마다 각각 다르게 되면, 교과서에 의존하는 학교의 수업에서 학년마다 서로 각기 다른 출판사를 선택하게 될 경우 그 수직적ㆍ수평적인 연계성에 문제가 생기게 되고, 학년별로 같은 출판사를 선택한다고 하여도 수직적인 연계성이 부족한 악기가 있어 학생들이 악기를 체계적으로 연계성 있게 습득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한 학생이 다른 학교로 옮기게 되었을 경우 전의 학교와 다른 출판사의 교과서로 학습을 하게 되면 수직적ㆍ수평적 연계성에도 분명 문제가 생기게 될 것이고, 전의 학교에서 배우지 않은 악기를 학습해야 할 경우 학생에게 큰 혼란을 가져다 줄 것이다.
현재 교과서는 학생들이 중학교에서 선택해야 하는 악기의 정확한 기준 없이 출판사에서 교과서를 만들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은 중학교에서 배우는 악기 또한 기준이 없다. 그러므로 앞으로 교육 과정을 개정하거나 교과서를 편찬하게 될 때에는 학년별로 연계성 있는 악기 선택의 기준을 만들어 학생들이 기악 학습을 할 경우 체계적이고 연계성 있는 학습이 되도록 하고, 다양한 악기를 학생들이 접하도록 하여 중ㆍ고등학교시기에 배운 악기를 성인이 되어서도 다룰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 1. 단행본
· 교육부.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해설」, 서울 :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99
· 권덕원. 「음악과 교수ㆍ학습 방법 개선을 위한 제언」, 서울 : 교육마당 21, 2003 5월호
· 김종서 외 4인.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서울 : 교육과학사, 1997
· 류주옥. 「지속성에 의한 기악 수업」. 서울 : 교육마당 21, 2004 2월호
· 송순희, 이영하, 이종록, 감성원, 박종원, 강순자, 김규환, 유계화. 초ㆍ중 ㆍ고 수학 및 과학 교과서 내용의 과목별 연계에 관한 연구」, 이 화여대 : 문교부 연구보고서, 1988
· 유봉호. 「현대 교육과정」, 서울 : 교학 연구사, 1998
· 이용일. 「음악 교육학 개설」, 서울 : 현대 음악 출판사, 2001
· 이홍수. 느낌과 통찰의 음악교육, 서울 : 세광 음악 출판사, 1992
· ______. 「음악교육의 현대적 접근」, 서울 : 세광 음악 출판사, 1990
· 이홍수 외 4인. 「현대의 음악교육」, 서울 : 세광 음악 출판사, 1992
· 장호. 「중등학교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예솔출판사, 2005
· 조희형, 박승재. 「과학론과 과학교육, 서울 : 교육 과학사, 2001
· Abeles, H., C. Hoffer, & R. Klotman, 「Foundation of Music Education」, New York : Schirmer Books, 1984
· Dewey, J. 「Experience and Education」, New York : Collier Books, 1963
· Bruner, J,. S.ㆍ이홍우(역)「교육의 과정」, 서울 : 배영사, 1986
· Lawrence, F,. H. 「Curriculum developement and articulation : Is it really necessary?」, University of Hawaii, 1985
· Bentovym, A.ㆍBoyd, D.ㆍ김현숙(역) 「우리 아이에게 알맞은 악기 선택법 악기 여행」, 서울 : 이치 출판사, 2004
· 2. 학위 논문
· 김경순. 현행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음악 교과서의 연계성에 관 한 연구-이해 영역 중심, 2003
· 김혜원. 제 7차 중ㆍ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서양 음악사 내용과 연계성 고찰, 2005
· 모정원. 중ㆍ고등 음악 교과서의 서양 음악사적 요소에 관한 분석-학년별 및 영역 간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1999
· 박민선. 제 7차 교육 과정에 의한 중ㆍ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감상 영역 내용 분석: 형식, 셈여림, 빠르기, 음색을 중심으로, 2005
· 박현옥. MMCP에 의한 음악활동이 정신지체아의 음악인지 과제수행능력 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 송은미. 초ㆍ중ㆍ고등학교 국악 교육의 연계성 분석, 2004
· 신소연. 제 7차 음악과 5ㆍ6학년 교과서와 교육과정 간의 연계성 분석, 2002
· 이어진. 중ㆍ고등학교 음악 교육 과정의 이론 교육의 내용 및 연계성에 관한 분석, 1997
· 이재숙. MMCP 이론을 배경으로 한 새로운 음악교육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1987
· 조지혜.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이산 수학의 연계성 연구, 계명대학교 교 육대학원, 2003
· 최선민. 중학교 2학년 음악 교과서의 기악 영역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 한경숙. 초등학교 3ㆍ4학년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 연계성 분 석 연구, 2002
· 한경주.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7ㆍ8ㆍ9ㆍ10학년 음악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2004
· 한미경. 전통 음악 감상곡 분석 및 학년별 연계성에 대한 고찰: 초등학교 3-6학년 기악 감상곡을 중심으로, 2005
· 3. 교과서
· 고춘선ㆍ홍종건. 중학교 음악 1, 2, 3, 세광음악출판사
· 김준수ㆍ이동훈. 중학교 음악 1, 2, 3, 동진음악출판사
· 백병동ㆍ최헌ㆍ문정해ㆍ홍기순ㆍ김은하. 중학교 음악 1, 2, 3, (주)천재교육
· 서한범ㆍ주대창ㆍ홍수진ㆍ신주연. 중학교 음악 1, 2, 3, 도서출판 태성
· 윤경미ㆍ문진. 중학교 음악 1, 2, 3, (주)아침나라
· 윤명원ㆍ김영희. 중학교 음악 1, 2, 3, (주)지학사
· 이홍수ㆍ황병훈ㆍ이성훈ㆍ김향정. 중학교 음악 1, 2, 3, (주)두산출판사
· 조창제. 중학교 음악 1, 2, 3, 교학연구사
· 최필림ㆍ김영재ㆍ신금석ㆍ유계향. 중학교 음악 1, 2, 3, 성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