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재배식물의 기원과 발달
Ⅰ. 작물재배의 시작과 농경사회의 성립
1. 작물재배의 시작
(1) 농업의 시작과 문명의 발생
① 구석기 시대 원시인들은 채집생활을 하며 자연상태의 식물을 수확
② 인구 증가와 채집방법 진보에 따라 작물 재배 시작
③ 재배기술의 고급화 및 발전
④ 음식의 질 향상을 위한 지속적 노력
(2) 식물의 순화
① 최소 수만 년의 장구한 세월에 걸쳐 다양한 지역에서 발생
② 농업은 여러 원인으로 무수히 많은 지역에서 동시에 발생
(3) 농업의 기원
① 약 10,000년 내지 12,000년 전 홍적세에 근동지역에서 최초로 경작 시작
② 2,500~3,000년 전 중국문헌에 오곡 언급
• 오곡의 구성: 조, 차조, 콩, 밀, 벼
2. 주요 식량작물의 재배기원
(1) 11,000~7,000년 전
① 화곡류가 최초 등장
• 벼, 보리, 밀, 옥수수, 강낭콩, 렌즈콩, 완두콩, 마 등
(2) 7,000~5,000년 전
① 조, 호밀, 수수, 병아리콩, 동부, 상추, 수박, 호박, 목화, 대마 등
② 아보카도, 포도, 망고, 카사바, 감자, 고구마, 타로, 올리브, 땅콩, 참깨, 사탕수수 등
(3) 5,000~2,000년 전
① 귀리, 콩, 셀러리, 고추, 호박, 가지, 양파, 무, 순무, 마늘, 아마 등
② 사과, 바나나, 아보카도, 핵과류, 복숭아, 오렌지, 무화과, 멜론 등
③ 아주까리, 잇꽃, 해바라기, 알팔파, 코코아, 차 등
(4) 2,000~250년 전
메밀, 유채, 토마토, 파파야, 파인애플, 클로버, 커피, 겨자, 호프, 사탕무, 담배 등
(5) 250~현재
블루베리, 딸기, 고무나무, 사료작물 등
Ⅱ. 작물이란 무엇인가
1. 작물의 정의
(1) 야생식물의 재배화
① 인간에 의해 자주 채집되어 이용하던 식물이 재배 시작
② 인간의 관리하에서 변화된 환경에 적응
③ 인류의 이용목적에 맞게 개량 및 보호
(2) 재배식물의 특성
① 필요로 하는 부분만 이상발달
② 필요하지 않는 부분은 퇴화
③ 특수부분이 매우 발달한 기형식물화
④ 인류의 특별한 보호가 필수적
2. 작물의 재배화 과정
(1) 재배화의 경로
① 야생식물에서 직접 재배화: 벼, 밀
② 경지잡초 가운데서 선발: 호밀, 완두
(2) 순화과정의 결과
① 농업생태 조건에 순응
② 인간의 이용성 최대화를 위한 육종 개량
③ 처음과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변모
3. 작물의 정의
(1) 작물의 개념
① 반드시 순화된 식물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님
② 채집과 순화과정을 거쳐 인간에 의해 선택
③ 식량과 타산업의 원료를 제공하는 중요한 생물
④ 수확하기 위하여 재배하는 모든 식물
Ⅲ. 문화와 문명
1. 문화의 어원
(1) 문화의 기원
① 라틴어 '토지를 경작한다'는 말에서 시작
② 인간이 작물을 경작함으로써 문화가 태동
2. 문화와 문명의 관계
(1) 문화와 문명의 차이
① 문화: 자연적, 불가시적, 내생적인 미세진화
② 문명: 인공적, 가시적, 외생적인 거시진화
③ 서로 이어지는 시공간의 연속체 위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환류
(2) 인류문명의 기초
① 모두 독특한 농경문화를 기초로 시작
② 작물 발상과 지구상 문명의 연관성
• 벼: 중국 황하문명, 말리문명, 한국, 일본, 인도, 미얀마, 태국 문명
• 보리와 밀: 메소포타미아 문명, 에티오피아 문명, 이집트 문명
• 콩: 중국문명, 한국문명
- 중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