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욱모․김지훈, 베이비부머의 성공적 노화 주요변인 간의 인과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2014.
· 김미령, 연령과 성별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차이분석, 한국노년학, 2012.
· 김연지 외, 중년 후기 성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인, 건강증진학회, 2018.
· 김완기, 노인복지주택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경영대학원 논문, 2008.
· 김유진․정가윤, 베이비부머의 노후 준비에 대한 이해,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14.
· 김윤정, 노년학, 2008.
· 김윤정, 여성노인의 사회적 관계에 따른 여가활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4.
· 김정미․엄기욱,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특성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014.
· 김정선․강숙, 베이비붐세대의 자녀돌봄부담감, 노화불안, 노후준비 및 삶의 질.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12.
· 김정희,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3.
· 김주성․최수일,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2010.
· 김향아․이준상, 여성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간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2015.
· 남화수, 기초노령연금의 정책과정과 정책내용 분석연구, 노인복지연구, 2010.
· 박상헌, 건설현장 근로자들의 노후생활 준비에 관한 의식,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9.
· 박혜숙, 지역사회 가정간호와 연계한 보건소 방문간호사업의 활성화 방안,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논문, 2007.
· 백인자, 중년기 여성의 직업 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6.
·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 2015.
· 양경미, 중년여성의 우울, 생활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가정간호학회지, 2015.
· 유정현․성혜영(2009). 노년기 우울에 대한 가족 관계. 만족도의 중재 효과. 한국노년학, 29(2), 717-728.
· 윤양희, 중년 여성 자아 존중감의 변인과 향상에 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0.
· 이미자,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인제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1.
· 이윤주․박정숙, 중년후기 여성의 성공적 노화인식과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한국자료분석학회지, 2015.
· 이은정․성미혜, 중년후기 여성의 건강지각, 노화불안, 성공적 노화인식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17.
· 이종운․이선애, 중년여성의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분노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2018.
· 장성덕, 노후최저소득보장제도의 합리적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논문, 2014.
· 장성희, 사회적 관계망이 중년기혼여성의 임파워먼트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8.
· 정여진․안정신,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가족관계 변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