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과 | 문화교양학과 | 학년 | 3학년 |
---|---|---|---|
과목명 | 열린사회와21세기 | 자료 | 3건 |
A형 |
<추천도서> ● 이창언・오수길 외 (2014). 『갈등을 넘어 협력사회로』. 살림터. ● 김성균・이창언 (2015). 『함께 만드는 마을, 함께 누리는 삶』 .지식의 날개. <지시사항> 위에 제시한 추천도서를 활용하여 ① 지속가능발전의 개념의 등장과 정립과정(A4 1장) ② 로컬거버넌스에 대한 개념정의(A4 1장 이내) ③ 지방의제 21의 성과와 한계를 정리한 후 (A4 1장) ④ 지방의제 21과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시오(A4 1장 이상~2장 이내). (※아래 내용은 제시한 문제와 관련된 기본 개념입니다. 과제물 작성 시 참고하여 주십시오.)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지구정상회담에서 비롯된 지방의제21은 도시와 지방정부가 이전에는 자신들의 문제로 생각하기 어려웠던 지구의 문제를 연결하여 생각해보는 분수령이 되었다. 1992년 리우회의의 의제21Agenda 21 28장은 “시민에게 가장 가깝게 다가가는 차원의 거버넌스로서 ‘지방정부’가 지속가능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대중을 교육하고 끌어 모으며 반응하는 데에 있어서 분명한 역할이 있다”고 하며 지방의제21 추진을 촉구했다. 이어 의제21은 각국의 지방정부가 1996년까지 지방의제21을 작성하여 실천하도록 명시했다. 목표로서 지속가능발전, 수단으로서 거버넌스가 지역 차원에서 확산되는데 지방의제21의 역할이 컸음을 부정할 수 없다. |
파일오류 | 중복자료 | 저작권 없음 |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
---|---|---|---|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