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대진, 『오뒷세이아-모험과 귀향, 일상의 복원에 관한 서사시』, 그린비, 2012,
· 김유동, 『아도르노 사상-고통의 인식과 화해의 모색-, 문예출판사, p1993.1,
· 김수용, 고규진, 최문규, 조경식 지음, 『유럽의 파시즘』,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 김덕영 지음, 『막스베버』, 길, 2012, p661
· 권용선, 『이성은 신화다, 계몽의 변증법』, 그린비, 2003
· 노명우, 『계몽의 변증법』, 살림출판사, 2005
· 디몬트 맥스, 『유대 민족사』, 김재신 역, 크리스턴 다이제스트, 1994,
· 막스 호르크하이머, 박구용 역, 『도구적 이성 비판-이성의 상실』, 문예출판사, 2006
· 문병호지음, 『비판과 화해』, 철학과 현실사, 2006.
· 이순예, 『아도르노와 자본주의적 우울』, 풀빛, 2005
· 이병탁, 『아도르노 사상-고통의 인식과 화해의 모색-』, 김유동, 문예출판사, 1993.1
· 이병탁 『아도르노의 경험의 반란』, 이병탁, 북코리아
· 임마누엘 칸트, 이한구 편, 『역칸트의 역사철학』, 서광사, 1992
· 장문석 지음, 『파시즘』, 책세상, 2010
· 정미라 지음, 『주체의 형성과 타자, 그리고 자기보존』
· J.F노이로드, [제3국의 신화], 김남석역, 한길사,
· 클로디아멜, 프레데릭코셰, 이세진 역,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의 오뒷세이아』, 열린책
· 들,2014
· 한나아렌트, 『전체주의 기원1』, 이진우.박미애 공역, 한길사, p88
· 호메로스, 천병희 옮김, 『오뒷세이아』, 숲, 2011,
· 신혜경, 『대중문화의 기만 혹은 해방』, 김영사,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