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로그램의 필요성
국내의 열악한 보조기구 지원 현실에서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서 추진했던 전동휠체어 보급(0000년, 전동휠체어 베터리 지원(0000년) 등은 장애인의 이동권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큰 의미있는 사업으로 평가되나, 보조기구 지원사업의 경우 사업 종결과 함께 지원보조기구의 활용도, 만족도, 수리문제 등을 외면하였으며, 일부에서는 지원된 보조기구를 방치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에 장애 보조기구를 소유하고 사용하고 있지만 고장, 수리비 등의 문제로 인하여 보조기구를 활용하지 못하는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보장구를 수리•점검하여 장애인이 소유하고 있는 보장구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목차
1. 프로그램의 필요성
2.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
1) 이론적 배경
가.재가복지서비스의 유형
<표-1>재가복지 서비스의 분류
나. 재가복지서비스 수준
<표-2>장애인들의 장애인복지관 복지서비스 이용현황
2) 지역욕구조사 반영
3) 경험적근거
3. 프로그램의 목적
장애인 보장구 이용 장애인의 편리성 제공 및 경제저 부담감소
4. 프로그램의 목표
1) 수시 보장구 이용장애인 보장구 무료 수리 및 점검
5. 논리모델
6. 프로그램의 추진과정
7. 프로그램 진행일정
1) 연간활동 간트차트
8. 프로그램 운영
1) 목표대비 프로그램 운영내용
9. 프로그램 평가
1) 과정평가
2) 성과평가
10. 기대효과
11. 설문지
12. 첨부서류 목록
본문내용
2.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
1) 이론적 배경
가.재가복지서비스의 유형
우리나라의 재가복지서비스의 유형은 노인복지법에 의한 재가복지시설과 사회복지사업법에 의한 재가복지 서비스로 나누어 진다.
①보건복지부의 재가노인봉사사업지침을 보면 재가노인사업은 심신이 노쇠하여 일상생활유지에 불편이 있는 노인의 가정에 필요한 각종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사회내에서 건전하고 안정된 생활을 영위하도록 도와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실시주체는 시·군·구로 되어 있고, 실시기관은 사회복지법인 등 비영리법인에서 하도록 하며, 서비스대상은 65세 이상 단독세대 노인가정, 그리고 노인을 부양하고 있는 맞벌이 부부의 노인가정, 기타 재가노인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노인(60세~64세)가정 등을 들 수 있다. 주요사업 내용은 상담사업, 결연사업, 노인가족 및 보호자 교육 계몽, 가정봉사원 파견사업 등이다.
참고 자료
- 2012. 12 『보건복지부』 장애인등록현황
- 보건복지부(2011), <2011년도 재가복지봉사센터 운영지침>
- 장애인 복지법 제6장 장애인 보조기구, 제66조(장애인보조기구의 교부 등) 1항
- 장애인 복지법, 제2장 18조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하나의 경우라도 아래의 내용에 해당된다면
문의 즉시 구매자료를 환불해드립니다.
1 . 파일오류
2 . 중복자료
3 . 저작권 없음
4 . 설명과 실제내용 불일치 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