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E,MRSE 감염관리
- 최초 등록일
- 2016.05.25
- 최종 저작일
- 2016.05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원

판매자sung**** (본인인증회원)
45회 판매
소개글
VRE, MRSA 에 대해
정의 역학기전, 병원체,전파방법, 치료,감염관리
핵심요약 정리한 자료입니다
목차
VRE :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nfection)
1. 정의
2. 역학
3. 임상적 의의
4. 감염경로
5. 치료
6. 격리
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1. 정의
2. 역학
3. 병원체 및 전파 방법
4. 치료
5. 감염관리
본문내용
정의-장구균은 그람양성구균으로 수 년 동안 사람에가 감염을 일으킨 일이 거의 없는 내인성 상재균으로 비교적 독성이 약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사람의 구강, 질, 간담도계, 피부 그리고 장관 내에서도 분리되기도 한다, 장구균은 외부 환경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여 60℃에서 30분 가온 처리해도 생존하며 10℃에서 45℃까지의 온도, 저장성, 고장성, 산 혹은 염기성 환경에도 생존할 수 있으며, 담즙의 존재 하에서도 성장이 가능하다.
<중 략>
VRE의 감염경로는 VRE 감염이 있었던 환자들의 변 검체의 96%에서 VRE가 확인된 바와 같이 위장관에 군집되어 있던 균주의 내인성 감염 또는 다른 환자나 병원직원 등 병원환경으로부터의 전파가 주요 전파경로로 이해되고 있다.의료인의 손,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이 집락되어 있는 환자나 보호자를 통한 직접 전파와환자의 대변과 소변에 의해 수동적으로 집락된 오염된 환경에 의한전파, 즉 전화, 청진기, 문손잡이 등에서도 분리되었다. 1. 예전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