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MOND
DIAMOND 등급의 판매자 자료

간호학과 미생물학 ) 보고서 다제내성 원내감염 균 - 병원 내 감염을 일으키는 다제내성 원내 감염균의 종류를 확인하고, 감염관리 혹은 치료 방법에 대해 숙지한다.

1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3.09.14 최종저작일 2023.09
13P 미리보기
간호학과 미생물학 ) 보고서 다제내성 원내감염 균 - 병원 내 감염을 일으키는 다제내성 원내 감염균의 종류를 확인하고, 감염관리 혹은 치료 방법에 대해 숙지한다.
  • 미리보기

    목차

    1. 다제내성 원내 감염균의 종류
    1) MRSA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
    2) VRE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
    3) VRSA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
    4) MRAB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
    5) CRE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
    6) MRPA (다제내성녹농균)

    2. 감염관리/치료 방법

    3. 시사점 및 고찰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다제내성 원내 감염균의 종류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지정감염병으로 지정된 병원체(다제내성균)는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VRE;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메티실린내성 황색 포도알균(MRS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다제내성녹농균(MRPA; Multi drug-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MRAB; Multi 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Carbapen en-resistant Enterobacteroceae) 여섯 가지이다.

    1) MRSA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
    -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aureus)의 정의: 메티실린(Oxacilline)이나 베타락탐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황색 포도알균. 그람 양성알균인 Stap hylococcus aureus 중에서 methicillin, oxacillin 등의 penicillin 제제에 내성을 가진 것을 말하며, methicillin말고도 다른 모든 β-lactamase 에 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됨
    - MRSA는 1961년 영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된 것으로 황색 포도알균이 mecA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PBP2a 단백을 만들어 냄으로써 베타 락타메제에 안정한 methicillin, oxacillin, nafcillin 등이 결합하지 못해 이들의 항균제에 내성을 초래하며, mecA유전자는 SCCme 이동성 유전자 단위 안에 존재해서 수평적 전파가 이루어짐.
    - 국내에서 서울지역 한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20년간 임상 분리주의 MRSA의 비율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1976년에는 5% 정도였던 것이 1990년대 초부터 60~70%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참고자료

    · 질병관리본부(2012.10.).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침」.
    · Rice LB, Bonomo PA. Mechanisms of resistance to antibacterial agents. In Murray PR, Baron EJ, Jorgensen JH, Landry ML, Pfaller MA, eds. Manual of Clinical Micro biology. 9th ed. Washington DC: ASM Press; 2007:1114-45.
    · Lee, K., Kim, Y. A., Park, Y. J., Lee, H. S., Kim, M. Y., Kim, E. C., ... & Chong, Y. (2004). Increasing prevalence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and cefoxitin-, imipenem-and fluoroquinolone-resistant gram-negative bacilli: a KONSAR study in 2002. Yonsei medical journal, 45(4), 598-608.
    · Kim MN, Jeong JS, Kim BC, Song JH, Pai JH. Com parison of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nosocomial and community-acquired pathogens. Korean J Infect Dis 1993;25:333-42.
    · Lee K, Lee MA, Lee CH, Lee J, Roh KH, Kim S, et al. In crease of ceftazidime- and fluoroquinolone-resistant Klebsiella pneumoniae and imipenem-resistant Acinetobacter spp. in Korea: analysis of KONSAR study data from 2005 and 2007. Yonsei Med J 2010;51:901-11.
    · Kim JM, Park ES, Jeong JS, Kim KM, KIm JM, Oh HS, et al. 1996 National nosocomial infection surveillance in Korea.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1997;2:157-76.
    · Lee SB, Lee WC, Jung HC, Song SH, Lee DW, Kim YB,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factors of bacteremia and sepsis. Korean J Med 1999;56:347-58.
    · Yoon HJ, Choi JY, Kim CO, Kim JM, Song YG. A com pari­son of clinical features and mortality among me thicillin-resistant and methicillin-sensitive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endocarditis. Yonsei Med J 2005;46:496-502.
    · Kim SH, Ryu JH, Kim MS, Choi HJ. The risk factors and prognosi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focus on nosocomial acquisition. Korean J Med 2006;71:405-14.
    · Cosgrove SE, Qi Y, Kaye KS, Harbarth S, Karchmer AW, Carmeli Y. The impact of methicillin resistance in Sta 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on patient outcomes: mortality, length of stay, and hospital charges.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5;26:166-74.
    · Engemann JJ, Carmeli Y, Cosgrove SE, Fowler VG, Bronstein MZ, Trivette SL, et al. Adverse clinical and eco nomic outcomes attributable to methicillin resistance among patients with Staphylococcus aureus surgical site infection. Clin Infect Dis 2003;36:592-8.
    · Chong Y.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of recent clinical isolates of bacteria. J Korean Soc Chemother 1991;9:5-11.
    · Lee HK, Lee WG, Cho SR. Clin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analysis of a nosocomial outbreak of vanco mycin- resistant enterococci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cta Paediatr 1999;88:651-4.
    · Lee K, Kim YA, Park YJ, Lee HS, Kim MY, Kim EC, et al. Increasing prevalence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and cefoxitin-, imipenem- and fluoro­qui nolone-resistant gram-negative bacilli: a KONSAR study in 2002. Yonsei Med J 2004;45:598-608.
    · Yoo SJ, Sung H, Cho YU, Kim MN, Pai CH, Kim YS. Role of horizontal transfer of the transposon Tn1546 in the nosocomial spread of vanA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at a tertiary care hospital in Korea.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6;27:1081-7.
    · Kim HB, Kim NJ, Lee SH, Kim T, Kim US, Oh MD, et al. Prevalence of Staphylococcus aureus with reduced sus ceptibility to vancomycin in a tertiary hospital. Korean J Infect Dis 2000;32:294-300.
    · Kim HB, Lee YS, Kim BS, Cha JO, Kwon SU, Lee HJ, et al. Prevalence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Staphylococcus aureus with a vancomycin MIC of 4 microg/ml in Korea. Microb Drug Resist 2006;12:33-8.
    · Han SH, Chin BS, Lee HS, Jeong SJ, Choi HK, Kim CK, et al. Recovery of both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from culture of a single clinical specimen from colonized or infected patients.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9; 30:130-8.
    · 질병관리본부. (2012). 「중환자실의 MRAB(Multi-drug resistant Acinetoacter bauma nnii) 감염 위험 요인 분석」. 학술연구용역사업 연구보고서.
    · 박주경. (2020). 일반병동 입원 환자의 입원 시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arbap 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보유율과 위험요인.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미나. (2011). 다제내성균과 의료 관련 감염. <Hanyang Medical Reviews>, 31(3), 141-152.
  • AI와 토픽 톺아보기

  • 자료후기

      Ai 리뷰
      병원 내 감염을 일으키는 다제내성 원내 감염균의 종류와 감염관리 및 치료 방법을 체계적이고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