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3개
-
디지털시스템실험 A+ 9주차 결과보고서(Sequential Circuit)2025.05.141. 동기식 UP/DOWN Counter 설계 이번 실험을 통해 동기식 카운터와 비동기식 카운터의 차이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엘리베이터 코드토의를 작성할 때 if문 안에 module을 불러오면 오류가 떠서 모듈을 이용하지 않고 q값의 변화에 관한 코드를 이용하였습니다. 2. 카운터를 이용한 Sequential Circuit 미니프로젝트 설계 또한 모듈의 입력값이나 출력값이 두 자리 이상일 때 하나로 묶어서 넣어 주게 되면 값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1. 동기식 UP/DOWN Counter 설계 동기식 UP...2025.05.14
-
A+맞은_전기전자기초실험2_일반실험6_결과보고서_op-amp특성,Schmitt trigger,unitygain voltage follower2025.05.101. op Amp의 입출력 전달 특성(No Feedback) op Amp의 입출력 전달 특성(No Feedback)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Vin+가 Vin-보다 크면 출력전압 Vout이 VH(10V)값이 되고, Vin+가 Vin-보다 작으면 Vout이 VL(0V)값이 됩니다. 또한 Vin+와 Vin-의 전압차(Vd)가 0.1mV 이하가 되면 Vout이 VH와 VL 사이의 의미 있는 값을 갖게 됩니다. 2. Schmitt Trigger (Positive Feedback) Schmitt Trigger 회로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2025.05.10
-
한양대 Register2025.05.041. D Flip-Flop D Flip-Flop은 SR FF에 Not gate를 추가한 것으로, (0,1)과 (1,0) 값만 사용하고 싶을 때 input 낭비 없이 사용할 수 있다. D에 0이 입력되면 Q에는 1이 출력되고 Q'에는 0이 출력된다. 반대로, 1이 입력되면 Q에는 0이 출력되고 Q'에는 1이 출력된다. D FF의 timing diagram은 T FF의 timing diagram과 큰 차이가 있다. 다른 FF는 모두 positive edge로 clock이 0에서 1로 바뀌는 시점에 작동하지만, T FF은 negative...2025.05.04
-
[전자회로실험] 베이스 접지 증폭기 및 이미터 폴로워 회로 결과보고서2025.04.261. 베이스 접지 증폭기 베이스 접지 증폭기 실험을 통해 입력 저항이 낮고 출력 저항이 큰 회로 특성을 확인했습니다. 실험 결과, 전압 이득과 입력 저항 값은 이론값, 시뮬레이션값, 실험값이 모두 근사한 값을 나타냈지만 출력 저항의 경우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입력 저항보다 훨씬 작은 값을 가진다는 점은 공통적이었습니다. 2. 이미터 폴로워 회로 이미터 폴로워 회로 실험을 통해 입력 저항이 높고 출력 저항이 낮은 회로 특성을 확인했습니다. 실험 결과, 전압 이득과 입력 저항 값은 이론값, 시뮬레이션값, 실험값이 모두 근사한 값...2025.04.26
-
중앙대 전자회로 설계 실습 예비보고서 6_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2025.01.111. Emitter 저항을 삽입한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 설계실습 6.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에서 Emitter 저항을 사용한 Common Emitter Amplifier 회로를 설계하고자 합니다. Early effect를 무시하고 이론부의 overall voltage gain 식을 이용하여 부하저항에 최대전력이 전달되도록 부하저항을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필요한 저항 값들을 계산합니다. 또한 PSPICE 시뮬레이션을 통해 출력파형을 분석하고 증폭기의 특성을 확인합니다. 2. ...2025.01.11
-
아주대학교 A+전자회로실험 실험3 결과보고서2025.05.091. 미분기 회로 실험 1에서는 미분기 회로의 특성을 알아보고, 회로를 구성한 후 측정한 출력 값을 이론, 시뮬레이션 값과 비교하여 입/출력 전압 관계식을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이론, 시뮬레이션 값과 비교했을 때 오차가 3%~7%정도로 크지 않았으며, 미분기의 입출력 관계식이 V_o = -R_F C dV_i/dt와 같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미분기가 차단주파수 이상의 고주파에서 반전증폭기로 동작하는 것도 관찰할 수 있었다. 2. 반전증폭기 실험 결과에서 미분기 회로가 차단주파수 이상의 고주파에서 반전증폭기로 동작하는 것을 확...2025.05.09
-
전기회로설계실습 9. LPF와 HPF 설계2025.01.211. Thevenin 등가회로 설계, 제작 및 측정 Thevenin 등가회로를 설계, 제작, 측정하여 원본 회로 및 이론값과 비교하는 것이 이 실습의 목적입니다.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 등의 부품을 사용하여 LPF(Low Pass Filter)와 HPF(High Pass Filter) 회로를 구현하고, 입출력 파형, 전달함수 등을 측정 및 분석합니다. 2. LPF(Low Pass Filter) 설계 및 분석 제시된 차단주파수 15.92kHz에 맞추어 LPF 회로를 설계합니다. 저항과 커패시터 값을 계산하고, 전달함수의 크기와 위상...2025.01.21
-
디지털논리회로 (논리 게이트)2025.01.091. 논리 게이트의 기본 개념 논리 게이트는 디지털 회로에서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논리 게이트는 불리언 논리를 기반으로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 신호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디지털 논리 게이트는 이진 데이터 0과 1을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2. 논리 게이트의 종류 논리 게이트는 기본 논리 게이트(BUFFER, NOT, AND, OR)와 확장 논리 게이트(NAND, NOR, XOR, XNOR)로 구분된다. 이들은 각각 특정 논리 연산을 수행하며, 논리 입력이 전제된 논리 ...2025.01.09
-
부산대 어드벤쳐디자인 1장 예비보고서2025.05.051.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차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내부에 소량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레지스터, 명령어를 해석하여 레지스터나 연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산술연산을 담당하며 제어장치의 제어를 받는 연산장치를 포함하여 연산에 특화된 기능을 갖는 장치이고 마이크로컨트롤러는 하나의 칩에 CPU, 메모리, 입출력장치가 통합되어있는 집적회로이다. 차이점으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이고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임베디드 시스템의 핵심이라는 점,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입출력 컴포넌트가 외부에 연결되어 회로가 복잡하지만 ...2025.05.05
-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9. LPF와 HPF 설계2025.01.171. LPF 설계 C = 10nF, f_c =15.92`kHz이므로 omega_c =2 pi f_c =100.03`krad/s이다. LPF에서 omega_c = {1} over {RC}이므로 R= {1} over {omega_c C} = {1} over {100.03 TIMES 10^{3} TIMES 10 TIMES 10^{-9}} =999.7 SIMEQ 1`k OMEGA 이다. 위의 값으로 회로를 구성하며 다음과 같다. 2. LPF 전달함수 분석 위 그래프 전달함수의 위상 linear(H) - log(주파수)아래 그래프전달함수의 ...2025.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