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8개
-
음악 뭉게구름 감상 수업지도안2025.01.271. 리듬 익히기 먼저 선생님의 시범창을 듣고 나서 따라서 리듬패턴을 익혀볼게요. 이 땅이 끝나는 곳에서 뭉게구름이 되어 저푸른 하늘 벗삼아 훨훨 날아다리라 이땅의 끝에서 모두다시 만나면 우리는 또 다시 둥글게 뭉게구름 되리라의 리듬을 익히게 한다. 2. 메인 선율 부르기 이제는 반주를 들으면서 메인 선율을 불러볼건데요. 이번에도 먼저 선생님의 시범을 듣고나서 선율을 익혀볼게요. 교과서 페이지에 있는 악보를 보면서 들어보세요. 3. 화음 선율 부르기 이제는 반주를 들으면서 화음 선율을 불러볼건데요. 이번에도 먼저 선생님의 시범을 듣...2025.01.27
-
헨델의 오페라 <리날도> 중 '울게 하소서'의 감성2025.04.261. 헨델의 오페라 <리날도> 헨델의 오페라 <리날도>는 3막 구성의 작품으로, 십자군 원정을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리날도와 알미레나의 사랑 이야기, 그리고 아르간테 왕과 아르미다 여왕의 사랑 이야기가 주요 내용을 이룬다. 이 작품에서 '울게 하소서'는 여주인공 알미레나가 아르미다 여왕의 성에 갇혀 부르는 노래이다. 2. '울게 하소서'의 정서적 특징 '울게 하소서'는 탄식적인 가사를 가지고 있지만, 장조의 조성을 따르고 있어 무거운 비탄이 느껴지지 않고 맑은 슬픔의 감성이 느껴진다. 또한 노래 선율이 쉼표를 가지고 있어 흐느낌의...2025.04.26
-
유아국악교육 활동계획안_민요 감상 및 부르기_'옹헤야' 활동계획안2025.01.221. 우리 민요의 특징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로 이루어진 우리 민요의 특징을 안다. 2. 휘모리 장단의 흥 휘모리 장단의 흥을 느껴본다. 3. 옹헤야 민요 옹헤야는 경상도 지방의 일노래로, 보리를 거두어 도리깨로 타작하면서 부르던 노래이다. 일꾼들은 옹헤야 소리를 내며 도리깨질을 하였다. 4. 옹헤야 노래 부르기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로 이루어진 옹헤야 노래를 다함께 불러본다. 유아들이 메기는 소리 부분의 노랫말을 새롭게 만들어 불러보기도 한다. 5. 옹헤야 활용 놀이 출석을 부를 때, 유아들이 자기 이름을 소개하는 놀이 등에 ...2025.01.22
-
토속민요 3곡 소개2025.04.281. 정선아리랑 정선아리랑은 산중에 묻혀사는 서러움과 고된 시집살이, 남편을 원망하고 그리워하는 마음 등을 가락으로 엮어 불렀다. 정선아이랑은 다양하게 쓰였으며 농사짓는 노동현장에서도 불렀지만 유희를 즐길때나 아이를 재울 때도 사용했다. 정선아리랑은 선율이 단조롭기 때문에 즉흥적으로 부르기가 편했다. 정선아리랑은 동부지역을 대표하는 토속민요로 미-솔-라-도-레 음으로 구성된 완전한 미음계이며 3분박으로 구성된 9/8박자의 중모리 장단이 특징이다. 2. 양구얼레지타령 양구지역의 민요는 강원도 산간문화와 관련된 소재를 형상화시켰다. 얼...2025.04.28
-
1. 민요란 무엇인가 2. 학습한 민요 중 장단이 다른 민요 3곡을 선정하여 각각 곡의 특징과 장단2025.04.261. 민요의 특징 민요는 특정한 작곡가가 만든 것이 아니라 사람들 사이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났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민요는 주로 백성들이 부른 노래이기 때문에 민중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내용들이 주를 이룬다. 민요는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나는 것이기 때문에 주로 특정한 지역에서만 발생해서 전승되다가 사라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조선 시대 이후 교통이 발달하면서 전국적으로 유행하는 민요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2. 아리랑 아리랑은 대표적인 민요로, 2012년에 대한민국의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아리랑은 우리나라의 각 지...2025.04.26
-
1. 민요란 무엇인가 2. 학습한 민요 중 장단이 다른 민요 3곡을 선정하여 각각 곡의 특징과 장단2025.04.281. 민요 민요는 우리 민족의 얼이 담겨있는 서민들 사이에서 불린 노래로 오랜 세월동안 구전되어 전해졌다. 일상생활이나 노동을 할 때 작업의 능률을 올리고 피곤함을 잊기 위해서 불렀으며, 민족 특유의 감정이 자연스럽게 민요 속에 녹아들었다. 민요는 창작자를 알 수 없이 구전되면서 민중들의 보편적인 정서가 담겨졌다. 민요는 일반인들도 쉽게 부를 수 있는 일정한 율격을 가지고 전승된다. 민요는 토속민요와 통속민요로 나뉘며, 토속민요는 특정 지방에 국한되어 부르는 노래이고 통속민요는 여러 지역에서 유행하는 노래이다. 2. 밀양 아리랑 밀...2025.04.28
-
작은별 변주곡을 감상해보아요2025.01.221. 작은별 동요 작은별 동요는 모차르트가 작곡한 곡으로, 아이들이 자주 부르는 노래입니다. 이 동요를 바탕으로 모차르트가 작은별 변주곡을 작곡했습니다. 아이들은 이 노래를 들으며 다양한 느낌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2. 작은별 변주곡 작은별 변주곡은 모차르트가 프랑스 여행 중 듣고 좋아했던 작은별 동요를 피아노 곡으로 만든 것입니다. 이 곡을 감상하며 아이들은 선으로 자신의 느낌을 표현해볼 수 있습니다. 3. 음악 감상 활동 이 활동에서는 작은별 변주곡을 감상하고 그 느낌을 선으로 표현해봅니다. 아이들은 곡의 배경과 느낌을 이해하...2025.01.22
-
연령에 따른 음악성 발달과 아동의 음악발달 특징, 음악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 및 어린이집 교사로서의 음악교수 효능감을 기르기 위한 방안2025.05.031. 연령에 따른 음악성 발달과 아동의 음악발달 특징 1~2세 영아는 소리를 내기 위해 리듬악기를 다룰 수 있고, 단순한 멜로디악기나 목소리를 사용하여 선율을 만들기도 한다. 2세 영아는 노랫소리를 가다듬기 시작하여 노래의 선율에 근접한다. 3세 영아는 간단한 노래를 부를 수 있고, 음악의 박자에 맞추어 율동할 수 있다. 4세 유아는 자발적으로 음악이나 노래를 만들어 부르며, 악기를 연주할 수도 있다. 5세 유아는 리듬과 가락을 정확히 지키면서 노래를 부르고, 음정과 음역도 더 넓어진다. 2. 음악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 교사는 미래...2025.05.03
-
시나위에 관한 음악교육2025.05.121. 시나위의 정의 시나위는 남도 지역의 민속 기악 합주라고 한다. 심방곡이라고도 불리며, 남도 지역의 무속 음악에 유래한 민속 기악 합주곡이다. '심방곡(心方曲)'이란 뜻은 무가의 뜻을 담고 있는 노랫말을 말한다. 무속 음악에 영혼을 달래기 위하여 시작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특히 기악 독주의 형식으로 연주 한 산조를 여러 악기와 더불어 연주하는 것인데 살풀이의 춤 반주에도 사용된다. 2. 시나위의 유래 시나위는 한강 이남과 태백산맥 서쪽 지방의 무속음악에서 유래하였다. 민속 기악 합주곡은 육자배기 토리를 바탕으로 하고 각종 악기가...2025.05.12
-
고기잡이 합창지도실기 약안2025.05.081. 2/4박자의 셈여림을 살려 노래 부르기 학생들이 2/4박자의 셈여림을 이해하고 이를 살려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셈여림의 개념을 설명하고 실제로 노래를 불러보는 활동을 진행한다. 2. 2/4박자의 지휘를 하며 노래 부르기 학생들이 2/4박자의 지휘법을 익히고 이를 활용하여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지휘의 올바른 자세와 방법을 설명하고 실제로 지휘하며 노래를 부르는 활동을 진행한다. 1. 2/4박자의 셈여림을 살려 노래 부르기 2/4박자의 셈여림을 살려 노래 부르는 것은 음악의 리듬감과 표현력을 높이는 데 중...2025.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