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48개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표현 교육론2025.01.161. 한국어 발음 오류 외국인 학습자는 모국어의 발음체계와 한국어의 발음체계가 달라 다양한 발음상의 오류를 보일 수 있다. 일본인 학습자의 경우 'ㅗ'와 'ㅓ'를 구별하지 못하거나 받침 발음이 어려워 '김치'를 '기무치'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다. 파키스탄 출신 학습자는 '소고기'를 '서고기', '소거기' 등으로 발음하는 오류를 보였다. 2. 한국어 어휘 사용 오류 한국어는 동의어, 다의어, 동음이의어가 많아 학습자들이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지도'와 '약도'의 혼동, '떨어지다'의 의미 혼동, 감탄사와 호칭어 사용의 오류 등이...2025.01.16
-
한국어가 알타이어족 언어인가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2025.01.061. 알타이어족 알타이어족은 투르크어, 몽고어, 만주-퉁구스어의 세 어군으로 구성된 언어 가족입니다. 일부 학자들은 한국어나 일본어를 이 언어 가족에 포함시키기도 합니다. '알타이'라는 명칭은 이들 언어를 사용하던 민족이 분열하기 전의 원주지가 알타이산맥 부근이었다는 가설에서 유래했습니다. 하지만 이 가설에 대한 확고한 근거는 없습니다. 2. 한국어와 알타이어족의 관계 역사 비교언어학자 이기문은 과거에 한국어가 알타이어족에 속한다고 믿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연구 결과, 한국어와 알타이어족 언어들 간의 공통성이 매우 낮다는 것이 밝혀...2025.01.06
-
자신이 좋아하는 팝송 가사 번역 및 문법 설명2025.05.101. 조동사 조동사 다음에는 무조건 동사원형이 나와야 한다. 여기에서는 조동사(will)뒤에 동사원형(hold)가 적혀있다. 2. 현재완료 <have/has p.p>과거에 일어난 일을 현재와 연관 지어 나타낼 때 사용하는 문법. 여기에서는 has given up, has given in으로 표현되어 있다. 3. 영문법의 수 일치 법칙 <명사 + of + 명사> 구문에서는 앞의 명사의 수에 일치하여야 한다. 'this house of mine'에서는 앞의 명사 'this house'(단수 명사)에 수를 일치시켜 동사가 'stands'...2025.05.10
-
국어국문4 우리말의역사 국어사의 연구 방법2025.01.251. 국어사의 연구 방법 국어가 어떻게, 그리고 왜 변화하는가를 밝히기 위한 대표적인 연구방법으로는 크게 문헌자료의 연구, 비교방법, 내적재구, 방언의 연구 4가지로 볼 수 있다. 문헌자료의 연구방법은 옛 문헌자료를 통해 국어의 변천과정과 역사를 연구하는 방법이다. 비교방법은 문헌자료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비교를 통해 국어를 연구하는 방법이다. 내적 재구 연구방법은 언어 또는 단어의 자체 형태에 기반하여 과거 또는 이전의 변형과정을 추론하는 방법이다. 방언의 연구 방법은 각 지역의 방언들을 연구하고 이를 중앙방언과 비교해보는...2025.01.25
-
유아기 언어발달 과정과 단계별 특성 및 실수 분석2025.05.121. 유아기 언어 발달 과정 유아기 언어 발달은 웃음과 몸짓에서 시작하여 한 단어로 표현하는 과정, 단어의 수가 늘어나는 시기, 복잡한 문장을 만들어내는 시기, 높임말이나 시제를 적절히 사용하는 등의 성인과 유사한 언어 과정까지 이루어진다. 2. 언어표현 이전기 아동의 언어 발달 특성 및 실수 신생아 울음으로 자신의 욕구를 전달하고, 2~3개월이 되면 쿠잉 단계로 눈을 맞추고 말소리에 주의를 기울이는 의사소통을 시작하며, 6개월 정도부터 옹알이 단계로 복잡한 소리를 만들어낸다. 몸짓언어도 발달한다. 3. 첫 낱말기 아동의 언어 발달...2025.05.12
-
제 2언어 습득에서 문법 교육의 필요성 제고2025.01.231. 의사소통 중심 접근의 중요성 의사소통 중심 접근(Communicative Approach)은 언어 학습의 핵심이 단순한 문법 규칙의 암기가 아니라 실제 의사소통 능력의 배양에 있다고 주장한다. 이 접근법은 학습자가 언어를 사용하여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통해 언어를 습득한다고 본다. 학습자들이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문법적으로 완벽하지 않더라도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이는 언어의 본질적 목적이 의사소통임을 시사한다. 2. 습득론과 자연적 순서 가설 Stephen Krashen의 습득론(Acquisition Hypothesis)...2025.01.23
-
손다이크의 자극-반응 이론에서 설명하는 주요 법칙과 후속 법칙2025.05.111. 손다이크의 기본 법칙 세 가지 손다이크는 동물 학습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자극-반응 이론을 발전시켰습니다. 이 이론은 동물이나 인간의 학습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개념들을 제시합니다. 손다이크는 실험을 통해 연습의 법칙, 준비성의 법칙, 효과의 법칙 등 세 가지 기본 법칙을 설명하였습니다. 2. 손다이크의 후속 법칙 다섯 가지 손다이크의 연구를 통해 제시된 후속 법칙은 태도의 법칙, 연합적 전이의 법칙, 유사성의 법칙, 요소 우월성의 법칙, 중다 반응의 법칙 등 다섯 가지입니다. 이 후속 법칙은 학습 이론과 실제 ...2025.05.11
-
한국어와 중국어 - 시제의 차이점과 공통점에 관하여2025.05.131. 한국어와 중국어의 시제와 상의 차이점 한국어와 중국어는 언어 체계상 큰 차이가 있다. 한국어는 어간에 어미와 문법 형태소가 결합하는 교착어이지만, 중국어는 형태 변화가 없고 어순과 허사로 문법 기능을 표현하는 고립어이다. 이에 따라 시제와 상의 표현 방식에서도 차이가 있다. 한국어에는 시제를 나타내는 어미가 있지만, 중국어에는 시제를 나타내는 문법 형태소가 없다. 또한 중국어에는 상을 나타내는 허사가 많지만, 한국어에서는 보조용언 구문이 상을 표현한다. 2. 한국어와 중국어의 시간 개념 이해 방식 한국어와 중국어는 공간 개념을...2025.05.13
-
각 언어 기능(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수업 원리에 대해 정리2025.01.191. 말하기의 수업 원리 한국어 말하기 수업은 실제 언어 중심으로 교육해야 하며, 과제수행 중심의 교육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유의적 교육으로 실시되어야 하고, 절충주의적인 교수법을 활용해야 한다. 학습자의 요인을 고려하고, 언어의 네 가지 영역을 통합해 교육해야 한다. 담화적 차원의 교육과 목표어 문화에 관한 이해 교육이 기반이 되어야 하며, 소통 전략 및 학습 전략의 개발과 양성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2. 듣기의 수업 원리 한국어 듣기 수업에서는 학습자가 듣는 양을 늘리고, 현재 학습자의 청취수준보다 한 단계 위의 내용을 ...2025.01.19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설계2025.01.191. 교수요목 개관 교수요목은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수자에게는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학습자에게는 학습에 대한 이정표 역할을 한다. 교수요목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있으며, 교육과정과 유사한 개념이지만 구분되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교수요목은 학습자가 숙달해야 할 과제 목록이자 교과 과정에 대해 학습할 항목을 배열하는 방식으로 구체화한 계획을 의미한다. 2. 교수요목 유형 교수요목의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문법적 교수요목, 상황적 교수요목, 의미-기능적 교수요목이 있다. 문법적 교수요목은 문법과 어휘 영역...202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