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6개
-
한국어 자음체계와 외국어(태국어) 자음체계의 특징 및 대조2025.01.181. 한국어 자음체계의 특징 한국어의 자음은 21개로, 조음 위치에 따라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등 다섯 가지로 나뉘고, 조음 방법에 따라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활음으로 나뉜다. 또한 기(aspiration)의 세기에 따라 평음, 경음, 격음으로 분류된다. 2. 태국어 자음체계의 특징 태국어에도 21개의 자음이 존재하며,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 성대진동의 유무에 따라 나뉜다. 무성음의 경우 기의 유무에 따라 무기음(평음)과 유기음(격음)으로 나뉜다. 한국어와 다르게 순치음이 있으며, 파찰음...2025.01.18
-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에 대해서2025.01.151. 국내 문화권의 유아 국내에서 자라거나 국내에 이주한 외국 문화권의 부모에게서 자란 유아의 경우 국내 문화권의 유아로 분류할 수 있다. 국내 유아에게는 유아의 인지 발달 과정에 맞추어 정확한 문법 구문, 구조적인 문장 완성 등의 영역보단 쉽게 말을 시작하는 것을 돕는 교육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유아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자음, 모음 등의 추상적인 개념은 배제하고 글자와 직접적인 사물 그림을 함께 제시하여야 효과적이다. 또한, 친숙해진 글자는 말놀이, 동요로 각 단어의 소리를 직접 내어보는 연습이 필요하다. 2. 국내 문화권의...2025.01.15
-
별자리로 사람들을 분류하는 것에 대한 자신의 관점 말하기2025.05.031. 점성술 점성술이란 천체 현상을 관찰하여 인간의 운명이나 장래를 점치는 방법이다. 서양에서 점성술은 태양과 달 그리고 다른 행성 객체들의 위치에 기반하여 개인의 성격을 설명하고 그들의 인생에서 미래의 사건을 예언한다고 주장되는 천궁도의 체계로 구성된다. 중국의 점성술은 중국 철학(하늘과 땅과 사람의 삼조화 이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음양, 오행, 십천간, 십이지, 시진(종교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던 시간기록 방식)의 개념들을 사용한다. 2. 별자리별 성격 특성 12개의 별자리마다 각각의 특성과 개성들이 있는데, 많은 사람들과 ...2025.05.03
-
주체적 디지털 생활 1주일 실천(휴일 포함) 일지 작성2025.01.251. 스마트폰 사용 실태 점검 최근 1주일 이상의 스마트폰 사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 유튜브, TVING, 카카오톡이 주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나타났다. 유튜브는 하루 3시간 22분 동안 사용되며, 주로 음악 모음집이나 드라마 클립 영상을 시청하는 데 이용된다. TVING은 총 55분간 사용되며, OTT 플랫폼을 통해 드라마와 애니메이션 시청에 주로 이용된다. 카카오톡은 총 41분 동안 사용되며, 업무와 가족, 친구, 지인들과의 일상적인 소통을 위한 주된 수단이다. 스마트폰 과의존 검사 결과, 일반 사용자로 분류되어 상대적으로...2025.01.25
-
특정 언어권에서 발음할 수 없는 한국어의 자음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이를 어떻게 교육시킬지 그 방안을2025.05.141. 한국어 자음 /ㄹ/과 중국어의 대조 분석 한국어 자음 /ㄹ/은 자음 중 유음에 속하며 한국어의 유음은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첫째는 혀의 끝을 윗잇몸에 대서 기운데 쪽의 숨 통로를 막고 양쪽으로 기류를 내보내는 소리인 설측음으로 이러한 경우 /ㄹ/은 받침이 된다. 다른 하나는 혀의 끝을 잇몸에 한 번 또는 연속적으로 대거나 떨어뜨리거나 하며 내는 소리로 이는 설타음, 탄설음이라고 한다. 이 경우 모음 앞의 자음으로 실현된다. 중국어는 /I/이 한국어 탄설음과 대응하는 데 단지 한국어 /ㄹ/은 중국어보다 잇몸에 대었다가 떨...2025.05.14
-
한국어 교재의 한글 자모 교육과 발음 교육 비교 및 문제점 분석2025.05.031. 한글 자모 교육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1 교재에서는 예비단원에서 한글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고 자음과 모음의 발음 기호와 대표음을 안내하고 있다. 이화 한국어 1 교재에서도 1급에서 /ㄴ/ 첨가, 유음화 등의 발음 규칙을 설명하고 있다. 두 교재 모두 한글 자모 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 발음 교육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1 교재에서는 대사 속 어휘의 발음을 제시하여 기본적인 음운 현상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화 한국어 1 교재에서는 발음 부분이 거의 없어 추가적인 학습 자료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