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86개
-
아날로그 및 디지털회로 설계 실습 실습4_신호발생기_결과보고서2025.01.211. 신호 발생기 이번 실험에서는 Wien bridge RC 발진기를 이용하여 신호 발생기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가변 저항과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에서 발진하는 회로를 구현하였고, 가변 저항을 조정하여 출력 파형의 왜곡을 관찰하였다. 또한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왜곡을 줄이는 회로를 설계하고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예상한 발진 주파수와 실제 측정된 주파수 사이에 약 8%의 오차가 있었으며, 이는 저항과 커패시터 값의 오차로 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실험 목적을 달성하였으며, 신호 발생기의 구조와 출력 파형 특성에...2025.01.21
-
전자전기컴퓨터설계1 결과보고서 2주차2025.05.041. 오실로스코프 오실로스코프는 전기신호를 화면에 나타내 주는 장치로, 전원 공급부, 입력 증폭부, CRT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 편향계는 시간축 발생장치와 수평입력신호에 의해 작동하며, 평균치, 첨두치, 실효치, 최소치, 최대치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2. 함수발생기 함수발생기는 전송 회로의 시험을 위해 다양한 파형(정현파, 사각파, 삼각파, Noise, Sawtooth 등)의 출력 정도와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범위에 따라 높은 주파수에서 낮은 주파수까지 발생시킬 수 있다. 3. 프로브 보정 프로브 보정은 프...2025.05.04
-
설계실습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 예비보곳서2025.05.161. DMM 내부저항 측정 DMM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은 회로에 전압원에 V(V)가 측정될 때, 전압원과 22MΩ, DMM을 직렬로 연결하면 DMM 내부저항 Rin을 구할 수 있다. DMM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여 V_0라고 두면 KVL을 만족해야 하기 때문에 V_0 = {Rin} over {22M OMEGA +Rin} V (V) 식을 통해 Rin을 구할 수 있다. 2. RC time constant 측정 DMM의 내부저항과 2.2μF의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RC time constant를 측정하는 방법은 회로에 전압원에 연결된...2025.05.16
-
전력전자공학 설계된 값을 가지고 PSIM으로 시뮬레이션을 하여 설계 조건을 만족하였는지 확인하고 각부 파형2025.01.221. 승압 컨버터 설계 이번 설계 과제에서는 저항 부하에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도록 하는 승압 컨버터를 설계하였다. 공급전압이 일정할 때 원하는 출력전압을 얻기 위해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설계하였으며, 설계된 컨버터의 동작을 PSI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하고 각 부위의 파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전력 변환의 원리를 깊이 이해하고 실제 설계와 시뮬레이션을 경험할 수 있었다. 2. 승압 컨버터의 동작 원리 승압 컨버터(Boost Converter)는 입력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DC-DC 변환기로, 스위치가 꺼져...2025.01.22
-
에너지변환실험 A+레포트_차등증폭기2025.01.131. 단일입력 차동 증폭기 단일입력 차동 증폭기의 출력파형을 입력파형과 비교하고, 위상관계를 살펴본다. 서로 반대의 위상을 갖거나, 차동모드인 두 입력에 대한 차동 증폭기의 출력파형을 관찰하고, 입력파형과의 위상관계를 살펴본다. 2. 차동 증폭기의 출력파형 두 입력신호에 대한 차동 증폭기의 출력파형을 관찰한다. 3. 차동 증폭기의 전압이득 차동 증폭기의 전압이득을 확인한다. 4. 차동 증폭기의 구조 차동 증폭기는 두 개의 입력과 하나의 출력을 갖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트랜지스터와 컬렉터의 부하저항으로 브리지를 구성...2025.01.13
-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72025.05.151. RC 회로의 시정수 측정 이 보고서는 RC 회로의 시정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주요 내용은 DMM의 내부 저항 측정, RC 시정수 측정 방법 설계, 10μs의 시정수를 갖는 RC 회로 설계 및 전압 파형 예측, 오실로스코프 연결 및 설정, 그리고 RC 회로의 전압 파형 예측 등입니다. 1. RC 회로의 시정수 측정 RC 회로의 시정수 측정은 전자 회로 분석에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시정수는 RC 회로에서 전압이나 전류가 초기값의 약 63.2%까지 변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이 값은 저...2025.05.15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5. Oscilloscope, Function Generator 사용방법2025.05.151. 전기회로설계실습 전기회로설계실습(5번 실습- 결과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실습 내용에는 오실로스코프와 함수 발생기의 사용 방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실습 과정에서 다양한 저항값을 가진 회로를 구성하고 측정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오실로스코프 사용법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회로의 파형을 관찰하고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화면 고정, 트리거 설정, 정지파형 관찰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 함수 발생기 사용법 함수 발생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파형을 생성하고 회로에 인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2025.05.15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82025.05.141. RL 회로의 과도응답 이 보고서는 RL 직렬 회로의 과도응답을 설계하고 측정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주어진 시정수 10 μs를 갖는 RL 회로를 설계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 계획을 수립합니다. 회로 구성, 오실로스코프 설정, 예상 파형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2. RC 회로의 과도응답 보고서에서는 RL 회로의 과도응답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RC 회로의 과도응답을 예상하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RC 회로에 동일한 사각파 입력을 가했을 때의 저항 및 커패시터 전압 파형을 그래프로 나타내고, 이론적 근거를 설명하고 있습...2025.05.14
-
[A+]전자회로설계실습 실습 3 결과보고서2025.01.101. 브릿지 전파정류회로 4개의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브릿지 전파정류회로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정류회로 양단의 전압차를 측정하는 실험을 제외하고 실험의 측정값들이 수식으로 구한 이론값들과 큰 오차를 보이지 않고 설계와 일관된 결과를 얻었지만 5KΩ의 저항을 사용했을 때보다 20KΩ의 저항의 사용했을 때 오차가 소폭 상승하였다. 2. 전압 파형 측정 Function Generator를 10Vpp, 40kHz로 설정하고 회로를 연결하여 A와 B점 사이의 전압 파형을 측정해 보았지만 원하던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이는 회로의 GND와 ...2025.01.10
-
[A+] 중앙대학교 전기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13. 발전기 원리 실험2025.04.291. 코일의 인덕턴스 측정 RL 직렬 회로의 time constant를 이용하여 코일의 인덕턴스를 측정하였다. 최대 전압이 6.6 [㎲]에서 704 [mV]로 측정되었고, 최댓값의 0.368배가 걸리는 지점은 18 [㎲]에서 256[mV]로 측정되었다. 이를 이용해 인덕턴스를 계산하면 L = R * τ = 10.1 [㏀] * 11.4 [㎲] = 0.115 [mH]이다. 2. 자석 움직임에 따른 전압 파형 관측 자석을 코일에 넣을 때와 뺄 때 자속의 변화율이 반대가 되어 전압 파형이 반대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코일과 자석을 뒤...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