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7개
-
[화공생물공학기초실험 A+] 미생물 비성장속도 측정 실험 레포트2025.01.121. 미생물 비성장속도 측정 실험에서는 미생물 비성장속도 측정을 위해 흡광도가 균체 농도에 비례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액체배양 중 비탁계로 미생물의 균체량을 측정하였다. YM배지를 농도별로 제조하고 효모 전배양액을 접종하여 진탕배양하면서 일정 시간마다 배양액을 채취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흡광도를 Lambert-Beer 법칙에 따라 계산하여 균체 농도를 구하고, Monod 식을 적용하여 비성장속도를 도출하였다. 비성장속도와 균체 농도 간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포화 현상을 보인다. 2. Lambert-Beer 법칙 Lam...2025.01.12
-
CFU 미생물 실험보고서, Colony Forming Unit2025.05.061. 미생물의 집락형성능(Colony Forming Unit : CFU) 실험의 원리는 시료 내의 살아있는 미생물은 생장을 통해 colony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들 colony 수를 세면 시료 내의 살아있는 미생물의 수를 측정할 수 있다. Colony수를 세면 시료 내의 살아있는 미생물의 수를 측정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CFU를 사용하는데, CFU를 통해 측정한 미생물의 수는 현미경 관찰을 통해 측정한 미생물의 수와 차이가 난다. 2. 실험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로 NB, agar, 증류수를 사용하였고 실험 기기로 UV spe...2025.05.06
-
미생물의 배양과 관찰 결과 보고서2025.01.121. 미생물 배양 실험을 통해 미생물을 배지에 배양하고 관찰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spreading 한 배지에서는 전반적으로 많은 미생물이 관찰되었고, streaking 한 배지에서는 도말 순서에 따라 미생물의 양이 점차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colony는 흰색, 주황색, 노랑색의 원형을 띄고 있었다. 손가락을 찍은 R2A 배지에서도 다양한 미생물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미생물 관찰 실험을 통해 미생물의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spreading 한 배지에서는 한 가지 미생물로 보였지만, streaking...2025.01.12
-
Crystal Violet Assay 세포생존력검사, 세포독성검사 결과 레포트2025.05.111. Crystal Violet Assay 이번 실험에서는 in vitro 상에서 세포의 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을 농도에 따라 처리해 세포의 생존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Crystal Violet Assay 방법을 통해 농도별 cisplatin 투여시 B16F10 cells의 control 대비 세포 생존력을 확인할 수 있다. 2. 세포독성검사 세포독성 검사는 생체(in vivo)에서 하는 방법과 생체 외(in vitro)에서 하는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생체 외에서는 주로 배양된 세포나 조직을 재료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2025.05.11
-
[생화학실험] (A+) Using gel filtration to study ligand-protein interactions 예비 결과레포트2025.05.031. 효소 효소는 기질과 결합해서 효소-기질 복합체를 형성하여 화학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를 낮춤으로써 물질대사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생체 촉매이다. 효소는 일반적으로 단독으로 또는 더 큰 복합체로 작용하는 구상 단백질이며, 아미노산의 서열은 효소의 촉매 활성을 결정하는 구조를 지정한다. 2.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는 size-exclusion chromatography(SEC)라고도 부르며, 단백질의 크기에 따라 분리․정제할 수 있는 분석 기법이다. ...2025.05.03
-
LDH assay2025.01.231. 단백질 정제 실험 주제에서 다루고 있는 LDH assay는 단백질 정제 과정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단백질 정제는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이 섞여 있는 샘플에서 원하는 단백질을 분리하는 작업입니다. 크로마토그래피, SDS-PAGE, Western blot 등의 방법을 통해 단백질의 순도를 점차 높여나가는 과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2. 효소 활성 측정 이 실험에서는 LDH(Lactate Dehydrogenase)라는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효소 활성은 반응 속도, 특정 활성, 수율 등으로...2025.01.23
-
식물분자생물학실험 Plant Transformation 결과보고서2025.01.181. Floral-dipping method Floral-dipping method는 Arabidopsis를 간단하게 형질 전환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이며 1993년 Bechtold et al.(1)의 논문을 통하여 제안되었다. 이 방식은 대부분의 형질 전환된 자손에서 유전적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조직 배양 및 재생과 관련된 체세포 변이가 최소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 방법의 주요 단점은 단 하나의 식물 종인 Arabidopsisthaliana에 대해서만 정상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으로, 다른 식물종에 이 방식을 활용하지못한다는 ...2025.01.18
-
유전학-박테리아의 증식접합, 형질전환, 형질도입2025.01.171. 자가영양성(Prototrophic) Prototrophic 생물은 일반적으로 최소한의 영양소만으로도 생존하고 번식할 수 있는 박테리아이다. 기본적인 탄소원, 질소원, 염류 등의 기본 영양소만으로 모든 필수적인 유기 분자를 합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생물은 대사 경로가 완전하게 작동하여 추가적인 영양소나 보조 인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자연 환경에서 잘 생존하며, 실험실 조건에서도 기본적인 배지에서 잘 자란다. 2. 영양요구성 돌연변이(Auxotrophic) Auxotrophic 생물은 특정 필수 영양소를 합성하지 못하는 돌연변...2025.01.17
-
동식물 세포의 관찰2025.05.101. 식물세포 양파 세포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염색 전에는 핵이 미세하게 보였지만, 염색 후에는 핵이 더 명확히 관찰되었다. 식물세포는 세포벽이 있어 규칙적인 구형 모양을 띠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 동물세포 구강 세포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염색 전에는 핵을 관찰할 수 없었지만, 염색 후에는 핵의 모양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동물세포는 세포벽이 없어 불규칙한 다각형 모양을 띠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 세포 구조 비교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핵 크기 차이는 육안으로 크게 차이나지 않았다. 이는 현미경 조건 설정의 차...2025.05.10
-
세포 용해를 통한 단백질 추출2025.01.021. 세포 용해 방법 세포 용해(또는 세포 파괴)에 사용되는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방법을 살펴보고, RIPA 용해 완충액을 사용하여 세포를 파괴하고 세포 단백질을 얻을 수 있다. RIPA 용해 완충액은 세포막, 핵막, 단백질 결합을 모두 분해할 수 있는 강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어 세포질, 핵 단백질 등 다양한 단백질을 추출할 수 있다. 2. 단백질 추출 과정 배양 중인 MCF-7 세포를 DPBS로 세척하고 세포 긁개로 세포를 모아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릿을 얻었다. 이 세포 펠릿에 RIPA 용해 완충액을 처리하여 세포를 용해하...2025.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