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9개
-
용해열의 측정2025.05.031. 용해열 용해열은 일정한 압력과 온도에서 용질이 용매 안으로 확산되어 균일하게 섞이는 용해 과정에서 생기는 엔탈피의 변화량입니다. 용질 1몰이 용매에 녹을 때 발생하는 열량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용해열은 용매의 양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말하는 용해열은 용매의 양이 많아서 그 이상의 용매를 가하여도 열의 출입이 없는 극한의 값을 말합니다. 용해는 크게 세 가지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며, 이 과정의 엔탈피 변화량들의 총합이 용해열입니다. 용해열을 측정할 때에는 보통 열량계를 사용합니다. 2. NaOH NaOH(수산화나트륨)은 ...2025.05.03
-
Potassium hydrogen phthalate 및 식초시료의 분석2025.01.051. 산-염기 적정 산-염기 적정은 중화반응에 의거한 적정으로, 산 또는 염기의 농도를 알지 못할 때 정확한 농도를 알고 있는 염기나 산의 표준 용액으로 중화 반응을 진행시켜서 농도를 밝혀낼 수 있다. 중화 적정 곡선은 중화시키는 물질과 중화되는 물질의 산 또는 염기의 세기에 따라서 달라지며, 지시약의 종류는 중화적정곡선의 형태에 따라 선택해야 한다. 적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에는 지시약 오차, 방울 오차, 화학용 부피계 공차, 부피 측정에 관한 오차 등이 있다. 2. KHP KHP(Potassium Hydrogen Pht...2025.01.05
-
5주차 실험 결과보고서 산염기 적정2025.01.241. Gran plot Gran plot은 산-염기 적정 시에 종말점에 이르는 당량의 80~90%를 진행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종말점을 구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이다. 약산을 강염기로 적정하는 경우에 약산의 산-해리평형과 평형 상수를 이용하여 Gran plot을 작성하고 종말점을 구할 수 있다. 2. 산 해리 상수 Gran plot 분석을 통해 구한 종말점 부피와 적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탈산의 산 해리 상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프탈산 음이온과 프탈산수소 음이온의 활동도 계수는 이온 세기를 고려하여 계산한다. 3. 종말점 검출 방...2025.01.24
-
[물리화학실험] 화학평형의 온도 의존성 결과보고서2025.01.221. 4-나이트로페놀의 해리 반응 이번 실험은 4-나이트로페놀의 원래 상태와 해리된 상태의 가시광선 흡광 파장의 차이를 이용하여 해리 상수를 여러 온도에서 구하고 해리 반응의 엔탈피를 구해보는 실험이었다. 실험 결과, 온도가 올라갈수록 Ka 값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반트호프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엔탈피 값은 조교님 값으로는 19.36kJ/mol, 측정 값으로는 82.45kJ/mol로 나왔다. 오차가 큰 이유로는 용액 혼합 과정에서의 문제, 온도 변화에 따른 영향, 흡광도 측정 시 발생한 오차 등이 고려되었다. 1. 4...2025.01.22
-
서강대 일반화학실험2 A+ < 재결정 > 레포트2025.05.011. 재결정(Recrystallization) 산과 염기의 성질을 활용하여, 용해도가 비슷한 아세트아닐라이드(Acetanilide)와 벤조산(Benzoic acid)을 재결정하여 분리한다. 용해도, 산과 염기의 정의와 성질, 재결정의 원리 등을 설명하고 있다. 2. 용해도 용해도란 용질이 용매에 포화상태가 될 때까지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양을 뜻하며, 용해도 평형과 용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3. 산과 염기 산과 염기의 정의와 성질, 르샤틀리에의 원리와 공통 이온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4. 재결정 재...2025.05.01
-
이산화탄소의 헨리상수 보고서2025.01.231. 기체의 용해도와 Henry 법칙 1801년 영국의 화학자 Wiliam Henry는 기체의 용해도가 부분 압력 P에 정비례함을 실험적으로 관찰했다. 용액 위의 압력이 높아진다는 것은 단위 부피당 기체 분자수가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액체 표면에 충돌하는 기체 분자수가 증가해 결과적으로 기체가 녹아 들어갈 확률을 높이게 된다. 그러나 기체 분자가 액체에서 다시 빠져나가는 확률은 압력과 무관하므로, 기체의 용해도가 부분 압력에 비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 산-염기 적정 적정은 분석물(analyte)이라고 부르는 시료를...2025.01.23
-
일반화학실험(2) 실험 15 어느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또는 탄산수소염일까 결과2025.05.091.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및 탄산수소염 이번 실험에서는 화학양론을 통해 주어진 미지시료가 탄산염인지 탄산수소염인지 결정하였다. Part Ⅰ에서 사용한 방법은 질량 보존의 법칙을 토대로, 반응물의 질량에서 생성물의 질량을 뺀 값이 반응이 진행된 직후 기화된 CO2의 질량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CO2의 질량을 분자량으로 나누어 몰수를 알아내고, 1:1로 반응함을 통해 미지시료의 몰수 또한 알아내었다. Part Ⅱ에서 사용한 중량법은 질량 측정을 토대로, 미지시료의 질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와 동시에 ...2025.05.09
-
나일론 합성 결과 보고서2025.01.021. 나일론 610의 구조 나일론 610에서 610은 탄소의 숫자를 나타낸다. 앞의 숫자는 아민화합물에서의 탄소 수를, 뒤의 숫자는 카복실산 화합물에서의 탄소수이다. 그림 1에서와 같이 빨간색 부분이 다이아민 부분, 파란색 부분이 다이카복실산 부분이므로 빨간 부분의 탄소수는 6개, 파란부분의 탄소수는 10개이다. 따라서 나일론 610이 된다. 2. 수산화나트륨의 역할 나일론 합성 실험을 할 때 염화 세바코일을 넣는다. 이때 물이 아닌 염산이 생기는데 이 염산을 중화시켜주기 위해 수산화나트륨을 넣는다. 중화를 시켜주면 생성물인 염산을...2025.01.02
-
완충용액을 이용한 암 치료 (르샤틀리에 원리)2025.04.261. 암 미세환경 암 미세환경이란 암세포 내에 존재하는 혈관세포, 기질세포, 면역세포 등 구성 세포와 암 세포가 놓여 있는 환경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암 미세환경은 저산소 환경이며 산성화되어 있는데, 이는 암세포에서 수소 이온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산성화된 암 미세환경은 암세포의 생존에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2. 완충용액의 정의와 르샤틀리에 원리 완충용액은 외부로부터 산이나 염기가 가해져도 수소 이온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용액이다. 완충용액에서는 공통 이온 효과로 인해 적은 양의 강산이나 강염기를 첨가해도 pH가 크게 변하지...2025.04.26
-
아두이누 pH meter 결과레포트2025.04.281. 아두이노(Arduino) 아두이노는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래밍에 경험이 없는 초심자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센서, 모터,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전자 소자들을 본체와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습니다. 초심자 수준의 프로그래밍으로도 이러한 하드웨어들을 제어 할 수 있게 되어 프로그래밍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2. pH 센서 pH 미터에사용되는 전극은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 지시전극(indicator electrode)으로 구성되며 이 두 전극을 용액 속에 담갔을 때 이들 전극 사이에 전위차로 인...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