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91개
-
사도행전 7장 17-362025.01.151. 모세의 생애 사도행전 7장 17-36절에서 스데반은 모세의 생애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첫째, 애굽에서의 교육기간(23절), 둘째, 미디안 광야에서의 시간(30절), 셋째,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하는 40년의 사역(36절)입니다. 이를 통해 하나님께서 모세를 준비시키고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하시려는 계획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들은 모세와 그의 메시지를 거부했습니다. 2. 이스라엘 백성의 거부 스데반은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하려 했지만 그들이 모세를 인정하지 않았다고 말합니다(25절). 이스라엘 백성들은...2025.01.15
-
여로보암의 우상숭배 죄악과 신앙의 본질2025.11.151. 여로보암의 우상숭배 북이스라엘의 초대 왕 여로보암은 백성들이 예루살렘 성전으로 돌아갈 것을 두려워하여 벧엘과 단에 산당을 짓고 금송아지를 만들어 섬기게 했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약속을 믿지 못하고 스스로 방법을 찾은 결과로, 레위인이 아닌 일반인을 제사장으로 삼고 절기를 정하여 금송아지에게 제사를 드리게 한 행위는 여호와 앞에 큰 죄가 되었습니다. 2. 하나님의 약속과 믿음의 부족 하나님은 아히야 선지자를 통해 여로보암에게 열 지파를 주고 말씀에 순종하면 견고하게 세워주신다고 약속하셨습니다. 그러나 여로보암은 이 약속을 믿지 ...2025.11.15
-
구원의 확신에 대한 성경적 이해2025.01.201. 구원의 확신 개념 구원의 확신은 단순한 감정이나 추측이 아닌 하나님의 적극적인 개입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성경은 구원의 확신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며, 이는 객관적 확신과 주관적 확신이 함께 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2. 구약성경의 구원의 확신 구약성경에서는 하나님이 믿음을 강화시켜 주신다는 개념을 발견할 수 있다. 성경의 여러 인물들이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확신한 구절들이 있다. 3. 신약성경의 구원의 확신 신약성경은 기독교 신앙을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즐거운 확신으로 묘사하며, 구원의 확신의 규범적 성격을 강조한...2025.01.20
-
사무엘상 3장 1-9절: 하나님의 소명과 영적 각성2025.11.121. 사사시대의 영적 상황 사무엘상 3장 1절에 기록된 사사시대는 하나님의 말씀이 희귀하고 이상이 흔히 보이지 않는 시대였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계시를 받을 사람이 없었고, 사람들의 마음이 자기 소견으로 가득 차 있어 하나님의 말씀이 들어갈 자리가 없었음을 의미합니다. 하나님과의 소통의 통로가 막혀 있던 영적으로 암울한 시대였습니다. 2. 엘리와 사무엘의 대조 본문은 엘리와 사무엘을 비교하여 보여줍니다. 엘리는 자기 처소에 누워 자기 것에 밀착했으나, 사무엘은 여호와의 전 안에 누워 하나님과의 관계에 밀착했습니다. 이는 어디에 누워...2025.11.12
-
하나님이 보이지 않는 역사 속에서 역사하시는 하나님2025.01.241. 화려한 잔치와 권력의 한계 아하수에로 왕의 화려한 잔치는 물질 만능주의와 성공 우선주의로 가득한 세상의 이면을 보여줍니다. 왕의 권력과 부에도 불구하고 그의 내면에는 불안, 결핍, 낮은 자존감이 도사리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람이 가진 힘과 권력에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 하나님의 부재와 역사하시는 하나님 에스더서에는 하나님의 이름이 등장하지 않아 독자들로 하여금 하나님이 부재한 것 같은 느낌을 받게 합니다. 그러나 이는 하나님께서 다른 방식으로 역사하고 계심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우리는 믿음의 눈으로 세상 속...2025.01.24
-
전도서2장12 172025.04.261. 솔로몬의 지혜 솔로몬은 하나님이 주신 지혜를 가지고 부와 명예, 권세를 누렸지만 그것을 잘못 사용하여 인생에서 실패한 자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그러나 전도서를 보면 솔로몬이 정말 부지런히 하늘 아래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연구하고 살펴보려 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문제는 그가 생각하는 지혜와 나중에 깨닫게 된 지혜가 달랐다는 것입니다. 솔로몬은 하나님께 지혜를 구했지만, 그 지혜의 대상을 이 세상에만 두었기 때문에 결국 헛됨을 깨닫게 됩니다. 참 지혜는 하나님을 경외하고 인정하는 것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2. 지혜...2025.04.26
-
노아 홍수 내러티브의 이해2025.01.161. 노아 홍수 내러티브 노아 홍수 내러티브는 성경의 시초론이면서도 종말론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나님의 한탄과 근심으로 인한 심판이 아니라 인간의 악함으로 인한 것이며, 노아는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의인으로 선택되었다. 방주는 하나님의 언약과 구원의 상징이며, 노아 홍수 사건은 인류 멸절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한다. 1. 노아 홍수 내러티브 노아 홍수 내러티브는 성경에 등장하는 중요한 이야기입니다. 이 이야기는 인류의 죄악이 극에 달했을 때 하나님께서 노아와 그의 가족을 구원하시고 세상을 물로 씻어내셨다는 내...2025.01.16
-
출애굽기 4장 18-26절 말씀 강해 및 영적 교훈2025.11.121. 모세의 소명과 순종 모세는 미디안에서 40년간 양을 치며 훈련받은 후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아 애굽으로 돌아간다. 장인 이드로에게 보고하고 아내와 아들들을 데리고 떠난다. 모세는 하나님의 지팡이를 손에 잡고 가는데, 이는 하나님이 주신 능력과 이적을 상징한다. 모세의 여정은 자신의 민족을 위한 소명을 현실로 받아들이는 순종의 과정이다. 2. 할례의 영적 의미 십보라가 돌칼로 아들의 포피를 베어 모세의 발에 갖다 대는 사건은 할례의 영적 의미를 보여준다. 할례는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에서 생명을 담보로 거룩함을 다짐하는 표시이다. ...2025.11.12
-
로마서 9장 19-29: 하나님의 주권과 피조물의 위치2025.11.131. 하나님의 절대주권 로마서 9장은 하나님의 주권적 선택에 관해 설명합니다. 야곱과 에서, 모세와 바로의 사례를 통해 모든 주권이 하나님께 있음을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누군가에게는 긍휼을 베푸시고 누군가에게는 완악하게 하시는데, 이는 창조주의 절대적 권한입니다. 토기장이가 진흙으로 귀한 그릇과 천한 그릇을 만드는 비유처럼, 하나님은 피조물에 대한 완전한 주권을 가지고 계십니다. 2. 피조물의 위치와 책임 피조물인 인간은 창조주 하나님을 판단하거나 반문할 수 없습니다. 우리의 지혜와 지식은 제한되어 있고 하나님의 일을 완전히 이해할...2025.11.13
-
종교개혁사: 루터, 츠빙글리, 칼빈의 신학적 특징 비교2025.01.031. 마르틴 루터의 신학적 특징 마르틴 루터는 신약 성경을 통해 회개의 의미를 재발견하여 성경 중심적으로 신학을 전개했습니다. 그는 하나님 중심적이고 목회 지향적인 신학을 펼쳐 하나님의 말씀을 신학의 출발점이자 최종 권위로 주장했습니다. 또한 예수 그리스도로서의 하나님의 말씀이 곧 교회를 만든 것이 아니라 성경과 교회 모두 예수 그리스도 곧 복음에 의해 존재한다고 보았습니다. 2. 울리히 츠빙글리의 신학적 특징 울리히 츠빙글리도 기독교 신앙의 뿌리는 성경이라고 보았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정의와 인간의 정의를 구분하며, 하나님의 정의...2025.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