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0개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6차 예비보고서2025.04.271. DMM을 이용한 접지 전압 측정 DMM을 교류전압측정모드(ACV)로 세팅하고, DMM의 한 단자를 220V 교류전원 power outlet(소켓) 접지에, 나머지 단자를 또 다른 220V 교류전원 접지에 연결하여 두 콘센트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계하였습니다. 2. 계측기의 입력 저항 및 주파수 특성 Function Generator의 출력저항은 50Ω이며, DMM의 입력저항은 보통 10MΩ, 오실로스코프의 입력저항은 보통 1MΩ입니다. 주파수에 따른 DMM의 측정값과 오실로스코프의 최대전압 측정값의 관계를 그래프로 ...2025.04.27
-
아주대학교 기초전기실험 A+ 예비보고서 Ch. 10, 12 (AC) 영문2025.05.031. Series-parallel sinusoidal circuits 이 실험에서는 R-L, R-C, R-L-C 회로를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하고 AC 전원을 인가할 때 Kirchhoff의 전압 법칙과 전류 법칙이 성립함을 확인하고, 각 소자에 가해지는 전압과 회로를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위상차를 계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Thevenin's theorem and maximum power transfer 이 실험에서는 Thevenin의 정리가 성립함을 확인하고, DC 회로와 AC 회로 사이의 차이를 알아보며, 최대 전력 ...2025.05.03
-
교류및전자회로실험 실험5-2_다이오드 정류회로 결과보고서2025.01.201. 다이오드 정류회로 이번 실험에서는 다이오드와 커패시터를 사용해 정류회로와 배전압회로를 구성하여 다양한 다이오드 응용회로의 기능을 확인해보았다. 실험을 통해 반파정류회로와 전파 정류회로의 작동 원리와 특성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회로의 응용 분야와 이론적 기반을 이해했으며 원하는 신호를 얻기 위해서 다이오드를 이용한 정류 회로를 구성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커패시터 필터는 입력 신호의 AC 구성 요소를 허용하고 DC 구성 요소를 차단하여 신호를 정류하는 역할을 하며, 저항값과 커패시턴스 값을 조절함으로써 리플값을 줄일 수 있음을...2025.01.20
-
전기회로설계실습 실습2 결과보고서2025.01.201. DC Power Supply 사용법 이 실험에서는 DC Power Supply에서 다이얼을 돌림으로써 모니터에 나타나는 CC와 CV를 통해 최대 전류와 최대 전압의 개념을 알 수 있었으며, 과전류가 흐를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알게 되었다. 또한, DC Power Supply의 output 1, output 2 사이의 전압을 측정할 때는 (-) 단자끼리 측정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2. DMM 내부저항과 외부저항 관계 DMM은 내부저항보다 외부저항이 충분히 클 때 저항 측정이 정상적으로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측...2025.01.20
-
일반물리학실험 전기저항 결과레포트2025.05.151. 전기저항 전기저항(電氣抵抗, electrical resistance)은 도체에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국제단위계 단위는 옴이다. 전기 회로 이론에서는 간단히 줄여 저항이라고 부른다. 반대로 전기를 얼마나 잘 흐르게 하는 지를 나타내는 물리량은 전기 전도도라고 한다. 전기 전도도는 전기저항의 역수이다. 전기저항은 세기 성질과 크기 성질을 모두 보인다. 물질마다 서로 다른 값을 갖는 비저항은 전기저항의 세기 성질이고, 물질의 모양은 크기 성질이다. 전기저항의 비저항(比抵抗, resistivity) 은...2025.05.15
-
테스터기 사용법 예비보고서2025.01.121. 테스터기 사용법 이 실험에서는 테스터기(멀티미터)의 원리와 사용법을 익히는 것이 목적입니다. 테스터기는 전압, 전류, 저항 등 전기량을 측정할 수 있는 종합계기로, 직류와 교류를 모두 측정할 수 있습니다. 실험에서는 테스터기를 사용하여 직류전압, 직류전류, 교류전압, 저항 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분석합니다. 2. 저항 측정 저항 측정 시 테스터기의 단자봉을 적색(+), 흑색(-)으로 구분하여 연결하고, 선택 스위치를 Ohm계에 맞춥니다. 단자봉을 단락시켜 영점조정을 한 후 주어진 저항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기록합니다. 저항값...2025.01.12
-
[A+] 중앙대학교 전기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6.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 설계2025.04.291. 전기회로 설계 실습 전기회로 설계 실습을 통해 DMM(Digital Multi Meter)과 오실로스코프, 함수발생기의 접지 상태와 특징, 사용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20V 교류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 높일 수 있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접지 단자 간 전압 측정, 단자 간 전압 측정, 오실로스코프와 DMM의 전압 측정 비교, DMM의 DC/AC 모드 특성, 오실로스코프의 접지 연결 방법, 주파수에 따른 측정값 차이 등이 있다. 2. 계측장비 특성 분석 DMM과 오실로스코프의 주파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DMM은 200...2025.04.29
-
중앙대학교 3학년 1학기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12025.05.141. Function generator 특성 및 voltage division 첫 번째 실험에서는 Function generator의 자체 특성과 voltage division에 의해 output resistance에 걸리는 전압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관측하였고, 정확하게 측정되었다. 2. Inverting amplifier 설계 및 특성 두 번째 실험에서는 inverting amplifier를 사용하였다. 예비보고서와 최대한 비슷하게 설계를 하였고, 센서의 내부저항을 고려하여 amplifier gain이 -10배가 되도록 설계하였다...2025.05.14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6.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설계(예비) A+2025.01.271. DMM을 사용한 교류전원 접지 전압 측정 DMM의 측정단위를 Vac로 설정하고, 측정치를 220V 이상으로 설정한다. DMM의 한 도입선을 1번 교류전원 power outlet의 접지 단자에, 다른 도입선을 2번 교류 전원 power outlet의 접지 단자에 연결하여 두 접지 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한다. 2. 계측기의 입력 저항 함수발생기(Function Generator)의 출력측에서 본 내부저항은 대부분 50Ω이다. DMM의 입력저항은 약 10MΩ이고, 오실로스코프의 입력저항은 보통 1MΩ이 많이 사용되며, 고가의 고속...2025.01.27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6.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설계2025.05.151. DMM, Oscilloscope, 함수발생기의 접지상태와 내부연결 DMM, Oscilloscope, 함수발생기의 접지상태와 내부연결, 입력저항을 고려하여 이들의 정확한 사용법을 익혔다. 모든 전압측정 실험에서 수식을 통한 이론값을 이용하여 결과값을 추정하였고 이론값과 측정값의 오차가 모두 0.6%~1.9%이내의 오차로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전압 측정 실험 DMM을 이용하여 교류전압 측정, 오실로스코프와 DMM을 이용한 전압 측정, DC+AC 신호의 측정 등 다양한 전압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이론값...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