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5개
-
한국어 초급 교재 비교 분석: 서울대·연세대 교재2025.11.151. 조사(Particles) 제시 순서 및 명칭 비교 서울대 교재(자료A)는 격조사와 보조사 15개를 제시하나 교수요목과 본문의 순서가 불일치하며, 이형태인 '-은/는', '-을/를' 중 하나만 먼저 설명하는 문제가 있다. 연세대 교재(자료B)는 1과에서 많은 조사를 동시에 제시하여 학습자 혼란을 야기한다. 명칭 비교에서 자료A는 'particle', 'suffix', 'marker' 등이 혼용되어 통일성이 부족하고, 자료B는 상대적으로 명칭이 통일되어 있으나 '-께서'를 'marker'로 정의하는 차이가 있다. 2. 종결어미(S...2025.11.15
-
한국어 조사의 기능과 중요성2025.01.021. 한국어 조사의 종류와 기능 한국어 조사는 문장 구성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언어적 요소입니다. 조사는 명사나 대명사와 결합하여 그들의 문법적 관계를 명확하게 나타내며, 문장 내에서의 역할과 기능을 지정합니다. 조사는 크게 격조사와 보조사로 나뉘며, 각각은 문장 구조와 의미 전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격조사는 명사의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고, 보조사는 명사에 추가적인 의미를 부여하거나 특정 감정이나 뉘앙스를 전달합니다. 2. 한국어 조사의 중요성 한국어 조사의 다양한 사용 방법은 매우 풍부한 표현력을 제공하며, 한국...2025.01.02
-
한국어 교재 비교 분석: 세종한국어와 즐거운 한국어2025.11.151. 세종한국어.3 교재 구성 세종한국어.3는 재외동포 대상 초급자용 교재로, 단원 제목, 학습 목표, 도입, 예시문, 어휘와 표현, 문법, 연습, 듣고 말하기, 발음, 읽고 쓰기, 새 어휘와 표현, 자기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직업, 좋아하는 것, 축하, 할 일, 휴가 계획, 쇼핑, 여행과 방문, 공공예절, 생활 습관, 물건 찾기, 날씨, 부탁, 살고 싶은 집, 꿈 등의 주제를 다루며, 각 단원별 명확한 학습목표와 통합 교육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2. 다문화가정과 함께하는 즐거운 한국어 교재 구성 다문화가정 및 이주노동자 대상...2025.11.15
-
품사분류와 용언의 불규칙 활용2025.01.161. 품사분류의 기준 품사분류의 기준은 크게 의미적 기준, 형태적 기준, 통사적 기준으로 나뉩니다. 의미적 기준은 단어의 의미적 특성을 바탕으로 분류하고, 형태적 기준은 단어의 형태 변화에 따라 분류하며, 통사적 기준은 문장에서의 역할과 기능을 기준으로 분류합니다. 2. 현행 학교문법의 품사분류 체계 현행 학교문법에서는 단어를 9개의 품사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는 의미적, 형태적, 통사적 기준을 종합하여 만들어진 체계로,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사로 구성됩니다. 3. 용언의 불규칙 활용 ...2025.01.16
-
초급과 중급(고급) 한국어교재를 각각 한 권씩 선택하여 교재 안에 제시된 문화2025.05.041. 초급 한국어 교재의 문화 요소 초급 한국어 교재 1A와 1B에서는 문화적 특색이 많이 드러나지 않는다. 하지만 존대문화, 기초적인 대화법 등 언어 사용 측면에서의 문화적 요소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급 단계에서는 생존에 필요한 기본적인 내용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문화적 부분은 상대적으로 소홀할 수밖에 없다. 2A와 2B 교재에서는 한국인과의 소통을 위한 기초적인 대화법, 질문 등 문화적 요소가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 2. 중급 한국어 교재의 문화 요소 중급 한국어 교재 3A와 3B에서는 언어 사용 측면에서 보다 발전된 내용을...2025.05.04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개론: 한국어 교육이란 무엇인가2025.01.191. 한국어 교육 개관 한국어 교육학은 외국어를 습득하는 과정과 절차를 연구하여 한국어를 효율적으로 교수하고 학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학문이다. 한국어 학습의 목표는 일반적 관심, 유학, 취업, 이주, 다문화 가정 적응, 귀국 청소년 적응 등 다양하다. 2. 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 비교 국어는 한 나라의 국민이 사용하는 말이며, 한국어는 한국의 국어를 대외적으로 사용할 때 사용하는 용어이다. 국어 교육은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대상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이며, 한국어 교육은 한국어가 모어가 아닌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2025.01.19
-
한국어 음운론: 활음과 관련된 음운 현상2025.01.221. 활음의 정의 한국어에서 '활음'(活音)이란 특정한 자음이나 모음이 주변 음운의 영향으로 인해 다른 소리로 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활음화(活音化)라고도 하며, 이 과정에서 음운의 위치, 음절 구조, 발음 환경 등에 따라 소리가 변화하게 된다. 활음은 반모음, 반자음, 과도음이라고도 불리며, 자음, 모음과 같은 분절음의 하나이다. 2. 활음화 활음화는 특정 음운이 발음 환경에 따라 다른 음운으로 변화하는 현상이다. 주로 자음과 모음의 결합이나 자음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난다. 대표적인 활음화 현상으로는 j화(i화), w화(u화...2025.01.22
-
한국어 교재 개발의 역사와 미래의 디지털 교재2025.11.111. 한국어 교재 개발의 역사 한국어 교재 개발은 6가지 시기로 구분된다. 1870년 이전의 역학 중심 교육기에서는 역관을 위한 교재가 주를 이루었다. 1870-1910년 근대 태동기에는 외국인 학자들이 회화와 문법 중심의 교재를 개발했다. 1910-1945년 양적 팽창기에는 단원 구성과 전문적 회화 교재가 등장했다. 1946-1988년 도약기에는 청화식 교재와 카세트테이프를 활용한 듣기 연습이 중심이 되었다. 1989-1999년 발전기에는 구조주의와 인지주의가 결합된 형태의 교재가 개발되었다. 2000년 이후 세계화 시대에는 멀티...2025.11.11
-
한국어 중급 문법 '-(으)ㄹ 뿐만 아니라' 교안2025.11.161. -(으)ㄹ 뿐만 아니라 문법 구조 한국어 중급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법 항목으로, 동작이나 상황을 추가할 때 사용된다. 동사와 형용사의 경우 받침이 없으면 'ㄹ 뿐만 아니라'를 붙이고, 받침이 있으면 '을 뿐만 아니라'를 붙인다. 'ㅂ' 불규칙과 'ㄷ' 불규칙도 적용되며, 명사의 경우 '이다'와 함께 '일 뿐만 아니라'를 사용하고, 명사만 나올 경우 '뿐만 아니라'를 사용한다. 2. 한국어 교수학습 활동 설계 도입, 제시, 연습, 마무리의 4단계로 구성된 50분 수업으로 진행된다. 도입 단계에서는 실생활 상황을 통해...2025.11.16
-
우리말의 시제 체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2025.01.151. 과거 시제 과거 시제는 이미 완료된 사건이나 행위를 나타내며, 주로 '-았/었-' 형식을 사용하여 동사나 형용사에 붙는다. 과거 시제는 한국어 문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은 문장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 필수적이다. 과거 시제는 다양한 문맥에서 사용되며, 사건의 시간적 배경을 제공하여 독자나 청자가 사건의 전개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준다. 2. 현재 시제 현재 시제는 현재 진행 중이거나 일반적인 사실을 나타내며, 동사나 형용사의 기본형을 사용하여 표현된다. 현재 시제는 다양한 상...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