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402개
-
아보가드로 수의 결정2025.05.011. 몰과 아보가드로 수 1몰은 12g의 순수한 동위원소 를 가지는 물질의 양으로 정의된다. 아보가드로 수는 12g의12C에 들어있는 원자의 수로 정의되며, 6.0221421 ×10^〖23〗 의 값을 가진다. 2. 실험에 사용되는 물질 Hexane은 무극성 분자이며 유기용매로 사용된다. Stearic acid는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을 모두 가진 계면활성제이다. 송화가루는 물과 Hexane에 녹지 않아 정확한 반경 측정이 가능하다. 3. 실험 방법 피펫의 보정을 통해 Hexane 1방울의 부피를 측정한다. 송화가루 위에 Stea...2025.05.01
-
질량 측정과 액체 옮기기 결과 보고서2025.05.131. 질량 측정 실험 A에서는 OHAUS 모델명 PAG213C 저울을 사용하여 최대 측정용량 210g, 정밀도 0.001g으로 무게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및 분석을 통해 저울의 정밀도와 유효숫자 규칙에 대해 학습하였다. 2. 액체 옮기기 실험 B와 D에서는 피펫과 뷰렛을 이용하여 증류수를 옮기고 그 부피와 밀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분석을 통해 각 기구의 불확정도와 오차 요인을 파악하였으며, 피펫이 뷰렛보다 정확한 부피 측정이 가능함을 알게 되었다. 3. 밀도 측정 실험 D에서 뷰렛을 이용해 측정한 증류수의 밀도는 0.991...2025.05.13
-
충북대 일반 화학 및 실험 질량 측정과 액체 옮기기2025.01.121. 무게 측정 실험 A를 통해 올바른 저울 사용법을 익히고, 저울의 제조회사, 모델, 측정 용량, 정밀도 등을 확인하였다. 저울의 정밀도가 0.001g으로 화학 실험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2. 피펫을 이용한 액체 이동 실험 B에서 피펫의 사용법을 익히고, 2mL의 증류수를 3회 옮기며 무게를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피펫 사용 시 주의사항과 불확정도(3.007 x 10^-2g)를 확인하였다. 3. 눈금실린더를 이용한 액체 이동 실험 C에서 눈금실린더를 사용하여 3mL의 증류수를 3회 옮기며 무게를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눈금실...2025.01.12
-
초자기구 보정2025.01.061. 부피 측정 기구 보정 실험에 사용되는 부피 측정 기구인 뷰렛, 홀 피펫, 부피 플라스크의 보정 방법과 절차를 설명하였습니다. 각 기구의 보정 실험을 통해 계통 오차를 줄이고 재현성 있는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보정 실험에서는 물의 밀도와 온도 보정, 메니스커스 법, 유효숫자 등의 개념을 활용하였습니다. 2. 오차 분석 실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계통 오차와 우연 오차를 설명하고, 이를 구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G-test를 통해 의심되는 데이터를 판단하고 제거하는 방법을 소개하였습니다. 정확도와 정...2025.01.06
-
수리실험 부체의 안정성2025.01.241. 부체의 안정성 이번 실험은 수면에 떠있는 부체에 작용하는 부력의 크기를 계산하고 부력의 작용점, 중력에 의한 부체 무게의 작용점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부체의 정적 안정을 실험했다. 부체의 중심, 즉 부심을 변화시켜 부체가 안정되는 한계조건을 이해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표였다. 부심을 B, 물체의 무게중심을 G, 경심을 M으로 한다면 M이 G보다 위에 있으면 부체는 안정하고, M이 G보다 아래에 있으면 불안정하다. 각 층의 양 끝단과 중간, 그리고 가운데 점으로 중심이동추를 움직이면서 그에 따른 경사각을 측정했다. 2. 부체의 ...2025.01.24
-
분석화학 - 수학 소도구2025.04.281. 유효숫자 유효숫자는 측정값(계산값)에서 오차를 고려해도 신뢰할 수 있을 만큼 과학적인 표기방법으로 나타내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자릿수입니다. 숫자 '0'은 숫자 사이에 있거나 소수점 오른쪽에 있는 숫자의 끝에 있을 때 유효합니다. 내연장(내삽법, interpolation)은 모든 눈금을 읽을 때 눈금 사이 1/10 정도의 간격까지 추정하는 것입니다. 덧셈과 뺄셈은 소수점 이하에서 최소인 유효숫자 개수에 맞추고, 곱셈과 나눗셈은 가장 적은 유효숫자를 갖는 수의 자릿수에 맞춥니다. 로그는 지표와 가수 부분을 구분하여 가수부분에 유...2025.04.28
-
검사 또는 시험에서 신뢰도와 타당도란 무엇이며 어떤 방식으로 확인 가능한지에 대해 살펴보시오2025.01.211. 신뢰도의 개념과 필요성 신뢰도란 한 가지를 반복적으로 측정하였을 때 일관성 있는 측정결과가 나타나는 정도를 의미한다.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는 검사-재검사 신뢰도 산출법, 동형 검사 신뢰도 산출법, 조사자 간 신뢰도 확인, 반분법, 내적일관성 분석 등이 있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평가 지표 및 항목의 안정성, 평가 실시 조건 및 방법의 표준화, 평가 대상자의 태도 관리 등이 필요하다. 2. 타당도의 개념과 필요성 타당도란 검사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하였는지를 의미한다. 타당도에는 내적타당...2025.01.21
-
삼각 weir에 의한 유량 측정2025.05.161. 유체역학 실험 유체역학 실험에서 유량 측정은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실험입니다. 본 실험에서는 삼각 weir를 이용한 유량 측정 방법을 학습하고, weir와 수두와의 관계를 구하여 유량계수를 산출합니다. 2. 삼각 weir 유량 측정 삼각 weir에서 weir 양면이 연직선에 θ/2만큼 기울어져 있으면 유량 공식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유량계수 K를 고려한 최종 유량 공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3. 실험 방법 실험 과정에서는 weir 및 수로의 치수 측정, 수위 측정, 유량 측정 등의 단계를 거치며, 다양한 수두 ...2025.05.16
-
산, 염기 표준액 조제 및 표정 레포트2025.05.091. 적정 분석 적성 분석에서 사용하는 표준액의 정확한 농도를 알아내기 위하여 실험 전에 표정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두 번의 실험을 통해 산, 염기 표준액을 조제하고 직접법과 간접법을 통해 표준액의 몰농도를 표정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2. 0.1 M HCl 조제 및 표정 첫 번째 실험은 0.1 M HCl 500mL 조제 및 표정입니다. 35% HCl 5mL에 증류수 495mL을 가하여 0.1 M HCl 500mL를 조제 했습니다. 이후 KHCO3 2.5g을 취하여 증류수 500mL과 함께 비커에 넣고 조제한 후 KHCO3 ...2025.05.09
-
실험기구의 사용법 및 세척법2025.05.051. 용량(부피)측정용 기구 메스실린더, 뷰렛, 피펫, 용량(부피)플라스크 등의 용도와 사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TC(to contain)와 TD(to deliver)와 같은 기호의 의미도 설명합니다. 2. 일반 기구 비커, 시험관, 삼각플라스크, 분액깔대기 등의 용도와 사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3. 실험기구 사용법 용량(부피)측정용 기구와 일반 기구의 올바른 사용법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4. 실험기구의 세척법 실험기구의 세척 방법, 주의사항, 보관 방법 등을 설명합니다. 1. 용량(부피)측정용 기구 용량(부피)측정용 기구는 실...2025.05.05